• 제목/요약/키워드: Poverty areas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2초

주숙(朱橚)의 생애(生涯)와 저서(著書)에 관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Life of Jusuk(朱橚) and His Writings.)

  • 지명순;안상우;윤창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1
    • /
    • 2010
  • King of Jujeong(周定王) named Jusuk(朱橚) was thought to be an exemplary character as a scholar and a politician, who was not an Oriental medical doctor but a compiler publishing a set of three medical books and a set of volumes on famine relief to save people in the areas of natural disasters or spring poverty. He was born on July 1, 1361 as the fifth son of Juwonjang(朱元璋), the first Emperor (1368-1398) of the Myeong-dynasty (1368-1644) of China. It was not clearly known about his mother other than assuming, but hard to ascertain, that she was from Goryeo, the ancient country in the Korean Peninsula, and became a loyal concubine of Juwonjang(朱元璋). He was the brother of Yeongrakje(永樂帝), the third Emperor(1402-1424) of the Myeong-dynasty. As a focal figure in the political forces at that time in the Myeong-dynasty, he had a life full of vicissitudes such as being removed from office, being exiled to a remote place, being scattered far and wide between family members, being implicated in the rebellion and so on. It seemed that he brushed up on his study, taking a class on an emir until the year of 1380 at the age of twenty. And he published "Bosaeng-yeorok(保生餘錄)" and "Bojebang(普濟方)" for eight years from 1381 to 1389 (at age 21-29), "Sujinbang(袖珍方)" in 1391 (at 31), and "Guhwangboncho(救荒本草)" in 1406 (at 46), republishing "Sujinbang(袖珍方)" in 1415 (at 65). Endowed with a brilliant talent from early days, Yeong-rakje(永樂帝) wrote the poem(the poem paying a high tribute to a King) well and composed one hundred pieces of poetry on the story of the Won Dynasty (1271-1368) of China. He leaded a quiet life in his later years and died a natural death at Gaebong(開封, a city in China) at 65 in 1425. He had 15 sons including king of Juheon(朱憲王) Yudon(有敦) and 11 daughters. His books contributed absolutely to the growth of Oriental medical field, and also to the increase in population, having influence on bringing about compilation of the books on Oriental medicine and famine relief of the Joseon Dynasty (the old Korean kingdom from AD 1392 to 1910).

흰쥐의 성별과 체중에 따른 족삼리(足三里) 전침자극의 시간과 심도(深度)의 변화가 수장수송능(小腸輸送能)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Relation of Stimulated Duration and Depth of Electroacupuncture with Sex and Weight In Rats)

  • 김영삼;유윤조;오인균;김명동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44-452
    • /
    • 2007
  • Acupuncture treatment cures disease by regulating the functional excessiveness or deficiency which occurs in the meridian and visceral organs, and by letting stagnated Qi and Blood flow through the whole body and then controlling Qi. Whether or not to have Qi feeling is the main factor needed to manifest the efficacy of acupuncture. So it needs the very stimulus to make Qi felt rather than the simple stimulus. In order to have Qi feeling, it needs to acupuncture a patient according to patient's thinness or fatness, constitution, richness or poverty and age. And also it needs to vary the way to acupuncture a patient according to meridian, kinds of pulse, degrees of disease, new or old diseases, seasons with a disease and local areas of disease. In order to ascertain that it is important for the quality and quantity of acupuncture stimulus and the state of feeling acupuncture to get the efficacy of acupuncture, the experiment was planned to confirm whether the form and Qi of subject has different result according to the stimulated duration and depth. On the basis of the report that acupuncture on derma, when using electroacupuncture at Zusanli(ST 36) which denotes small intestinal motility, is more efficient than full depth acupuncture, I got the following result, after I observed whether the stimulated duration and depth give different efficacy according to the sex and weights of rat in experiment. The increased effects of small intestinal motility by electroacupuncture on Zusanli(ST 36) appeared after stimulating full depth for thirty minutes without distinction of sex and weights. This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only in the female experimental group when I distinguished the sex. The small interstinal motility in rats by electroacupuncture at zusanli(ST 36) decreased in the 10 minutes' stimulated group and 30 minutes' stimulated group by duration on the one hand, and derma-deep stimulated group and full depth stimulated group by the depth of stimulus on the other hand, as the weights increased. This result shows that the duration and depth of acupuncture depends on the differences of acupuncture points, sex of the experimental animals, ages, and, weights. And the further study on the experimental and clinical differences and sextual differences need to be continued on.

고령사회 노인여가활동의 지리적 특성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Leisu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in an Aged Society)

  • 박종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5-415
    • /
    • 2011
  • 인구 고령화는 출생률과 사망률 저하에서 비롯된다. 급속한 고령화 사회는 노인의 빈곤과 역할 상실, 소외, 건강문제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유발시킨다. 이러한 문제 해결에 있어서 중요한 것이 노인의 여가 선용이다. 노년기의 여가 활동은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유지 발전시키는 등 개인 욕구를 충족시키고, 노년기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하다. 또한 사회적 친밀성을 형성하여 건강한 사회구조를 만드는데 이바지 한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 요소에도 불구하고 실제 노인 여가활동이 여러 요인들에 의해 잘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는 노인 여가활동을 지리적으로 살펴볼 필요성이 있으며, 이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여가활동이 지역에 따라 어떤 특성과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서울은 타 지역에 비해 비교적 다양한 여가활동을 하며, 광주는 주로 집안에서, 고흥지역은 친목도모를 위한 여가활동에 주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가활동 참여유형, 가정 내외의 여가활동 유형, 여가활동의 목적 및 만족도, 국내여행 빈도를 포함한 여가활동 등 많은 분야에서 지리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 PDF

Consequences of Water Induced Disasters to Livelihood Activities in Nepal

  • Gurung, Anup;Karki, Arpana;Karki, Rahul;Bista, Rajesh;Oh, Sang-Eu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9-136
    • /
    • 2012
  • BACKGROUND: The changes in the climatic conditions have brought potentially significant new challenges, most critical are likely to be its impact on local livelihoods, agriculture, biodiversity and environments. Water induced disasters such as landslides, floods, erratic rain etc., are very common in developing countries which lead to changes in biological, geophysical and socioeconomic elements. The extent of damage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is more sever in least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disasters affect women and men differently. In most of the cases women have to carry more burden as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 during the period of disasters. METHODS AND RESULT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disasters on the local livelihood especially agriculture and income generating activities of women in three districts of Nepal. The study uses the primary data collected following an exploratory approach, based on an intensive field study. The general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women had to experience hard time as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 both during and after the disaster happen. Women are responsible for caring their children, collecting firewood, fetching water, collecting grass for livestock and performing household chores. Whereas, men are mainly involved in out-migration and remained out-side home most of the time. After the disaster occurred, most of the women had to struggle to support their lives as well as had to work longer hours than men during reconstruction period. Nepal follows patriarchal system and men can afford more leisure time as compared to women. During the disaster period, some of the households lost their agricultural lands, livestock and other properties. These losses created some additional workload to women respondent, however at the same time; they learn to build confidence, self-respect, self-esteem, and self-dependency.Although Nepal is predominantly agriculture, majority of the farmers are at subsistence level. In addition, men and women have different roles which differ with the variation in agro-production systems. Moreover women are extensively involved in agricultural activities though their importances were not recognized. Denial of land ownership and denial of access to resources as well as migration of male counterparts are some of the major reasons for affecting the agricultural environments for women in Nepal. CONCLUSION: The shelter reconstruction program has definitely brought positive change in women's access to decision making. The gradual increase in number of women respondent in access to decision making in different areas is a positive change and this has also provided them with a unique opportunity to change their gendered status in society.Furthermore, the exodus out-flow of male counterparts accelerated the additional burden and workload on women.

우리나라 서해 중남부의 불법어업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llegal Fishery at the Korean Central and Southern Coast of the Yellow Sea)

  • 서만석;김일평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170-179
    • /
    • 2005
  • 우리나라 서해 중 남부 연근해의 불법어업에 대한 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양경찰청의 불법어업 단속 건수는 1998-2001년가지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002년에는 증가한 것으로 보여 주고 있다. 2. 해양수산부 자료에서 1992-1996년까지는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으나, 1997년부터는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고, 동해는 2001년부터 증가를 보였다. 남해는 1998년 기점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서해는 1997년부터 증가하였다. 특히 서해 중 남부 해역은 1998년부터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3. 서해 중 남부의 업종별 불법어업은 소형기선저인망어업(40.9%), 유형별은 무허가어업(38.1%)이 가장 많았다. 4. 어업인들이 불법어업을 하게 된 동기는 생계를 위한 것이 27.4%으로 가장 많았고, 불법어업에 대한 어업인들의 견해에 대해서는 현실에 맞는 수산정책이 23.9%으로 가장 많았으며, 지속적인 불법어업 단속과 적절한 교육이 각각19.3%, 새로운 어업개발 18.3%,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4.6%, 기타(중국어선 단속, 어장확대, 직접실험 후 정책수립, 남획금지 등)의 순으로 불법어업의 대책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설문에 의한 해양경찰관의 불법어업에 대한 의견으로는 연근해 어선이 전반적으로 불법어업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78.0%), 불법어업을 하게 된 동기는 생계유지를 위해서 (83.5%), 불법어업으로 어족고갈(68.9%) 등 으로 나타났다. 불법어업 근절 대책으로는 현행법 및 제도개선(68.4%)를 해야 한다는 견해를 보였다.

지속가능발전 및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대학생과 교사들의 인식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College Student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이선경;이재영;이순철;이유진;민경석;심숙경;김남수;하경환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9권1호
    • /
    • pp.1-13
    • /
    • 2006
  •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the level of awareness of Korean teachers and college student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SD)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A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us of awareness of SD and ESD among 317 college students and 625 teachers in Korea from April to May of 2005. The questionnaire included items asking whether they heard about terms such as sustainability 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ource of information on S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r the urgent task for SD in Korea. It also included questions about experiences in participating in or conducting ESD, the need for ESD, important areas in and the modality for ESD and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ES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n SD among teachers was low compared to college students, who have a relatively high level of access on SD issues through textbooks and classes in high school. Interestingly, most of college students replied that they never received any ESD, even though they learned SD in class. Both the teacher and student group thought that tile priority of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an 'environment-related' area in the social,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s. Most of the students and teachers considered the concept of SD as 'pursuing the balance betwee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Some of the teachers recognized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paradigm of continuous economic development. Both groups responded that the urgent task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i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he 'reduction of poverty.' On the other hand, they had experiences in teaching related to natural resources, gender equity, health, human rights, climate changes and other SD issues in class, but not under the name of ESD. They also emphasized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 decision-making' in education. Most of the students and teachers responded that it was needed to carry out ESD, and that the way of life for SD would be the priority.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pedagogy and modalities according to various target groups should be considered in providing ESD. It is necessary to use more effective strategies for ESD rather than just introducing the concept of SD. Also, it is needed to review the ESD practices of teache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within the scope of ESD.

  • PDF

중소기업 근로자의 은퇴준비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Retirement Preparation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 Workers)

  • 이형종;이한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449-465
    • /
    • 2017
  •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낮은 임금수준과 열악한 근로조건으로 인해 은퇴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은퇴 후에는 노후빈곤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재무적 비재무적 은퇴준비 실태를 살펴보는데 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은퇴에 대해 크게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충분한 노후소득을 확보하지 못했고, 매우 적은 국민연금 수령액으로 노후를 보내야 하는 현실을 걱정했다. 둘째,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가족, 재무, 건강, 일자리, 사회참여와 같은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길어지는 노후생활을 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은퇴준비를 하였다. 그들은 소비지출 감소, 자녀교육비 축소, 낮은 임금의 일자리 선택, 현금 확보 등 은퇴에 대비하여 안전성과 현실성을 우선 고려하였다. 결론적으로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은퇴에 대비해 다양한 해결책을 추구하고 있다. 그들이 퇴직 후 삶의 재구성에 초점을 둔 통합적이고 실용적인 교육을 통해 은퇴설계 니즈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베트남 공정무역의 발전: 공정무역조직 사례연구 (The Development of Vietnam's Fair Trade: The Case Study of Fair Trade Organizations)

  • 김선화;황선영;응우엔하프엉;장승권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8권2호
    • /
    • pp.1-45
    • /
    • 2018
  • 본 논문은 베트남의 공정무역조직들의 발전 사례를 통해 현재 베트남 공정무역의 현황과 특수성, 그리고 시사점을 토론한다. 베트남은 사회주의 시장경제 하에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뤄왔으나 동시에 빈부격차의 문제도 겪고 있다. 소수민족이나 산간지역의 농업분야 생산자들의 빈곤문제가 커져가고 있다. 초기의 공정무역은 북반구 자선단체나 개발협력단체들에 의해 도입 되었고 지금도 그들이 주도한다. 이에 비해 베트남의 경우, 1990년대 말부터 자발적 동기를 가진 베트남인들에 의해 공정무역이 도입되었다. 이런 측면에서 남반구의 다른 공정무역 생산국과 베트남 사례는 다르다. 이 과정에서 공정무역조직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공정무역을 실천하고 있었다. 공정무역 생산국에 관한 연구는 주로 아프리카와 남미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주제 또한 생산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었다. 생산국의 공정무역조직을 분석하고 이들이 공정무역을 시작하게 된 동기와 발전과정을 연구한 것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베트남 공정무역조직들을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이로부터 도출되는 조직의 특수성을 통해 현재 베트남의 공정무역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베트남에서 전개되고 있는 공정무역에 대한 이해를 돕고, 공정무역 생산국에 관한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건강 향상: 건강 교육, 건강 증진 및 배경적 접근 (Health Improvement; Health Education, Health Promotion and the Settings Approach)

  • Green, Jackie
    •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04년도 국제학술대회
    • /
    • pp.111-129
    • /
    • 2004
  • 이 논문은 공식적으로 건강한 공동체로 지정된 "건강한 공동체 접근"의 반경에 확장된 논쟁을 발전시켰으며 영국과국가적 정책에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을 더욱 더 폭넓게 한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영국 북부의 주요 도시 Leeds에서 나온 예에서 나왔다. 특히 그것은 더 넓은 결정을 가진 자들에게 시민 건강의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제시하였고, 그것은 또한 지역 사회의 참여와 다양한 요소들이 포함된 집합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불평등은 주요 문제로 인식되었으며, 빈곤 지역의 색출 및 그들을 향한 즉각적인 도움이 강조되었다. 어린 시절 가난과 빈곤에 대한 순화적 타파의 중요성이 언급되었다. 학교의 역할은 건강한 공동체와 위에서 언급된 건강증진 학교들간의 적합성과 일반적으로 건강에 기여하므로 그 중요한 요소로 보여진다. 건강 증진 학교는 젊은이들의 건강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그들 또한 지역 사회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동기유발과 인식, 그 기술들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어린이 보행자 상해를 한 예로 사용하면, 이 논문은 그 문제와 원인은 단지 좁은 의미에서만 이해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건강한 사회 운동은 우리에게 그 답은 가르쳐 주었고, 만약 그것이 효과적이라면 정책 결정 자들은 이에 주시하고 지역 환경에 적용시켜야 할 것이다. 단지 전통적인 건강 교육을 통한 행동 변화의 시도 대신에, 환경 그 자체가 건강이며 건강한 행동을 지지한다는데 인식이 필요하다. 이것을 성취하기 위해 우리는 정책 수립자들, 전문 직업인들 그리고 공동체 사이에 동기유발과 기술, 인지력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 "새로운 건강"교육은 더욱 전통적인 형식에서 제기된 건강 교육의 형태를 구별하기 위한 용어로 제시되었다.를 구별하기 위한 용어로 제시되었다.에 이르기까지 개략적인 계획이 개발되어 있다. 특히 취약계층의 건강권 보호와 건강증진을 위하여 취약계층이 주로 찾는 보건소 등 공공보건기관을 확충하고 기능을 강화시키는 것을 골자로 하여 공공보건기관 확충 및 도시형 보건지소 설치를 통한 의료취약지역 보건의료.건강증진서비스 제공 확대를 계획하고 있으며, 보건소.국공립병원.국공립대학병원을 연계하는 공보건의료전달체계를 구축하여 저소득층에게 양질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하려고 한다. 그리고 가정간호사업 활성화 및 대도시 지역 방문보건사업 실시를 통해 저소득층의 의료비 부담을 경감시키려고 하고 있다.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는 건강증진사업의 효과적 추진을 위하여 중앙에 국민건강증진위원회를 구성하고, 도시형 보건지소 설치, 보건소 건강생활실천 사업확대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사업에 따라서 국민건강증진기금뿐만 아니라 국비 및 지방비의 지원이 필요한 사업도 있다.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국민건강증진위원회 구성, 도시형 보건지소설치, 보건소의 건강생활실천사업 확대 등을 통해 사업기반을 구축하고 만성질환관리, 생애주기별 건강증진서비스 제공, 보건의료서비스의 형평성 제고 등 을 2010년까지 추진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정부의 건강증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보건교육사업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이에 따라 보건교육사의 역할은 더 확대될 전망이다. 주요 만성질환의 위험요인이 금연, 절주, 운동, 영양, 스트레스관리 등이며 이에 대한 적절한 과학적 정보의 수집이 필요하다. 보건교육사는 이러한 보건주제와 관련하여 행동변화의 훈련이 필요하다. 또한 건강증진사업이 지역사회의 보건소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지역사회내의 각 기관간 커뮤니케이션과 상호협력을 조정하는 일이 중요한 역할이 괼 전망이다. 또한 국민건강증진기

  • PDF

한돌 타래의 디아스포라 서사와 미학 (The Diaspora Narrative and Aesthetics in Handol's Tarae)

  • 신사빈
    • 대중서사연구
    • /
    • 제26권3호
    • /
    • pp.189-219
    • /
    • 2020
  • 이 글은 한돌 이흥건의 타래를 서사와 미학의 측면에서 분석한다. 이 때 등장하는 분석 요소는 자연과 인간, 소외와 관심, 분단과 통일, 디아스포라와 겨레 등 이항 대립의 현상과 본질이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의 타래는 군사 독재 때부터 발생한 산업화와 도시화, 난개발, 서구화, 입시 위주 교육, 빈부 차, 인간 소외, 분단 갈등의 사회 문제를 무저항과 불복종의 정신으로 맞서는 상실과 고통의 체험 서사를 노래하였다. 그리고 창작 의욕이 단절된 공백기를 자기 성찰과 노력으로 극복한 이후의 타래는 '자연의 울림과 자기의 참모습', '디아스포라 의식과 겨레의 얼'을 일체화하는 디아스포라 서사시의 느낌이 두드러진다. <터>에서 시작한 조국과 국토, 겨레에 대한 서사시는 <한뫼줄기>를 전환점으로 뿌리보다 길을 찾는 디아스포라 의식이 선명해진다. 한돌은 음악보다 서사의 원천에서 영감을 얻는다. 그의 타래는 '노랫말을 위해서 리듬이 곁들어지는 것'에 치중한다. 이 때문에 타래가 갖는 기호학적 특성은 내재적 의미(슬픔의 정서)가 오묘해도 외형적 음운이 단순한 것이 한계다. 공감과 더불어 감동까지 끌어내는 데는 내포적(의미론적)인 부분과 외연적(음운론적)인 부분의 조화가 필요하다. 슬픔의 정서를 더 많은 사람이 공유하려면 음운론적 요소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슬픔에 대한 공감과 감동은 동일한 경험의 이야기보다 비슷한 정서의 분위기에 이끌리는 경우가 더 많다. 타래 속 슬픔의 미학은 유년 시절부터 겪은 상실과 고독, 가난의 맥락에서 표출된 원초적인 체험 서사에서 출발하지만, 긴 공백기를 거치면서 심화한 슬픔의 미학은 타인(실향민, 해외 입양자, 러시아 고려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등)의 디아스포라 경험까지 자기화하면서 궁극적인구원 서사를 지향한다. 이로써 타래는 잠재적으로 민족의 한계를 뛰어 넘을 가능성도 지니게 되었다. '이산되는 소리'로서의 타래는 다른 세계 음악과의 접점에서 깊은 슬픔의 호소력으로 유리한 국면을 맞을 수 있다. 반다문화주의가 아닌 상호문화주의의 지향으로 글로벌 디아스포라 담론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돌의 타래는 디아스포라 음악으로서 지속적으로 공감의 영역을 찾고 인식의 지평을 넓혀나가는 것이 향후 과제요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