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v.8
no.2
/
pp.281-288
/
202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the poverty and distributional effects of the implementation of Tax Reform for Acceleration and Inclusion Law. Th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Top Down Behavioral Microsimulation was used to obtain the effects of the tax reform on macroeconomic and microeconomic levels. Moreover, the Poverty Gap Index, Squared Poverty Gap Index, Foster, Greer, and Thorbecke Measures of Poverty, and Sen-Shorrocks-Thon Index were used to measure the poverty effect of the tax reform. Meanwhile, the Gini Coefficient and SST Gini Coefficient Index were used to measure the distributional effect of the tax reform. The results show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tax reform has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household income and disposable income. Region IV has the highest estimated increase in household income. Meanwhile, Region IV remained to have the lowest household income. Fur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ax reform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agnitude of poor and the number of poor in the Philippines. However, the result of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effect of tax reform manifests no differences in terms of the poverty gap measured through the Foster, Greer, and Thorbecke poverty index due.
Using 2006~2015 Korean Welfare Panel Survey data, this study analyzed the poverty reduction effects of social security benefits.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security benefits have substantial impacts on reducing the poverty gap.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ublic pensions, and Basic Pension have relatively larger poverty reduction effects. Other benefits such as disability benefits, workers' compensation unemployment insurance, and childcare subsidies have much smaller poverty impacts. Two determining factors of the poverty reduction effect are (1)the amount and (2)the poverty reduction efficiency of social security benefits. With the expansion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in recent years, the poverty reduction efficiency has decreased in general. Due to a greater increase in the amount of benefits, however, the poverty reduction effect has gradually increased. In order to increase the anti-poverty effect of social security, it is important to find ways to improve efficiency while minimizing the disadvantages of the selectivistic welfare benefits.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index is an indicator system established for defining and evaluating poverty, to understand poverty in dimensions beyond just monetary scarcity. Based on income, education, health, living standards, and social dimensions, this article measures and analyzes the level of multidimensional poverty in Xinjiang using the AlkireFoster method, with cross-sectional data obtained from a 2022 survey. Probit model is constructed for regression analysis, further considering the impact of education on enhancing feasible capabilities and alleviating multidimensional poverty at the post-poverty alleviation era. The data shows that many people still face significant challenge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dimensional poverty; the decomposition results of each dimension show that education contributes more to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lower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heterogeneity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education on multidimensional poverty is greater for females than males, and the poverty reduction effect of education mainly concentrates on middle-aged and older individuals. This article is meaningful for exploring strategies to alleviate multidimensional poverty in ethnic minority regions in frontier areas in the new era, accelerating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achieving shared prosperity.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occurrence and reoccurrence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CHE) on transition to poverty and persistence of poverty in South Korea. Methods: The data of the year 2008-2011 from the Korea Health Panel were used. CHE was defined as the share of total health expenditure in a household out of a household's total income at various threshold levels (more than 5%, 10%, 15%, and 20%). The effect of catastrophic expenditure on transition to poverty and persistence of poverty was analyzed through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shares of households facing CHE at various threshold levels have increased gradually with 37.7%, 21%, 13.1%, and 9.5% in 2011. Households facing CHE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transition to poverty at thresholds level of more than 5% and 20% in 2010 set. Households facing CHE seemed to experience persistence of poverty,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bout 40% of households facing CHE in 2009 encountered another shock of CHE in 2010. Households without CHE seemed to experience more transition to poverty and persistence of poverty,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household with multiple CHE, those with medical aid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transition to povert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disappeared in case of persistence of poverty. Conclusion: The Korean health system needs to be improved to serve as a social security net for addressing transition to poverty and persistence of poverty due to facing CH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poverty on children's health, using data from wave 1-5(2004-2008) lf the Seoul Panel Study of Children surveys(SPSC).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poverty has a negative effect on child health over time when controlling for potential variables that mediate the family income-child health association. There was also a strong cumulative effect of poverty that explains much of the strengthening association between the length of poverty and child health. The negative effect of poverty on child health could be enhanced through poor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marital conflict. This finding suggests that programs to improve child health, by implication, will require family level interventions such as increasing income support and improving care-giving and family interaction.
Objectives: The low benefit coverage rate of South Korea's health security system has been continually pointed out. A low benefit coverage rate inevitably causes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hich can be the cause of the transition to poverty and the persistence of pover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the transition to poverty and the persistence of poverty in South Korea. Methods: To determine the degree of social mobi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the 6311 households that participated in the South Korea Welfare Panel Study in both 2006 and 2008.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the transition to poverty and the persistence of poverty in South Korea was assessed vi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poverty rate in South Korea was 21.6% in 2006 and 20.0% in 2008. 25.1 - 7.3% of the households are facing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found to affect the transition to poverty even after adjusting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and the head of the household, at the threshold of 28% or above. Conclusions: 25.1% of the households in this study were found to be currently facing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it was determined tha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is a cause of transition to poverty. This result shows that South Korea's health security system is not an effective social safety net. As such, to preven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transition to poverty, the benefit coverage of South Korea's health security system needs to the strengthened.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verty and poverty-co-factors in childhood. The effect of poverty status was measured by needs-income ratio. It compared its effect on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with that of poverty proxy variables such as recipient of public assistance, financial stress, subjective perception about social class, residence in public housing. It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poverty-co-factors after poverty status were controlled. Results show that poverty status has a more consiste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an other proxy variable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disappeared after poverty-co-factors were controlled.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argeted efforts for decreasing poverty-co-factor risks should be made along with financial support.
Ku, In-Hoe;Park, Hyun-Sun;Chung, Ick-Joong;Kim, Kwang-Hyuk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v.61
no.1
/
pp.57-79
/
2009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poverty on child development outcomes including academic achievement, self-esteem, depression/anxiety, attention problems, aggression, and delinquency. The poverty experience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re longitudinally observed during 3 years between the 4th grade and the 6th grade. When development outcomes are compared among persistently poor children, transitory poor children, and non-poor children, academic achievement i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analyse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overty status and developmental trajectories show that academic achievement among non-poor children has improved over time, while the level of poor children's achievement has decreased. The result also shows that problematic behaviors such as attention problems, aggression, delinquency has improved over time among all the children. Yet, the gap between poor and non-poor children has not decreased. The multivariate analyses indicate that the effect of poverty remain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academic achievement after children's individual and familial characteristics are controlled. Past experiences of poverty in addition to the current poverty affect academic achievement and persistent poverty has a stronger effect than transitory poverty on academic achievement, although the findings are not consistent across all the estimated model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creasing effect of public and private income transfers on poverty rate. Two year data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1998, 1999) are used for the analysis, and 1/2 of median income and 1/3 of mean income are adopted to measure poverty rate. Although private income transfer contributes more to reduce the rate than the public transfer, the main effect for decreasing poverty rate is forced by the wag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o the exit of poverty based o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re number of family members(-), wage(+), property income(+), social insurance benefit(+), and the transfer income(+). Therefore, the future policy should be more related with the active labor market policy for developing better human resources among the poor family.
NGUYEN, Huyen Thi Thanh;NGUYEN, Chau Van;NGUYEN, Cong Van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v.7
no.7
/
pp.229-239
/
2020
This article aims to measure the impact of economic growth and urbanization on poverty reduction in Vietnam, and verify whether economic growth and urbanization will help reduce poverty rates. Data for this study are tabular data related to growth, urbanization and poverty at the provincial level for the period of nine years, from 2006 to 2014 provided by the Vietnam General Statistics Office and the Vietnam General Department of Customs. The level of economic growth and urbanization mentioned in the study is reflected in such indicators as GDP value, exports value, imports value, urbanization rate and employment rate. The authors used logistic regression models with fixed-effects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s with random effects. With 5% confidence level tested by the Chi-Square test of Hausman trial with the fixed-effect model, research results show that: (1) factors with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poverty rate include imports value, urbanization rate and, employment rate; (2) factors that do not affect the poverty rate include exports value and GDP valu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 number of policy recommendations to help promote economic growth, to sustain the urbanization process, and to contribute directly and positively to poverty reduction in Vietnam.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