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tassium bromat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초

먹는 샘물 및 지하수 원수 중 bromide 분석연구 (Determination of bromide in bottled mineral water and ground water in Korea)

  • 안혜실;서경애;박주현;이준배;김태승;한진석;권오상
    • 분석과학
    • /
    • 제24권1호
    • /
    • pp.10-14
    • /
    • 2011
  • 먹는 물 중 bromide의 국내 외 시험방법에 대한 분석 조건을 비교하여 최적 시험조건을 확인하고 ion chromatograph-suppressed conductivity detector (IC-CD)를 사용하여 먹는 샘물 및 지하수 원수 중 bromide 함량을 분석하였다. 지하수 원수 중 bromide농도와 먹는 샘물 중 bromide 및 bromate 의 농도 합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시료 전처리를 위해 먹는 샘물 20 mL를 온가드 Ba-, H-카트리지 순서대로 통과시키고 마지막에 $0.2\;{\mu}m$ 맴브레인 필터로 여과 하였다. 여과한 시료는 IC-CD에 주입하였으며, 시료 중 bromide는 10~50 mM의 수산화이온용액 이동상에 적합한 가드 및 분석용 컬럼인 AG 19 및 AS 19에 의해 분리하였다. Bromide의 검정 곡선은 $0.5\sim80\;{\mu}g/L$의 농도 범위에서 $r^2$값이 0.9993으로 좋은 직선성을 보였으며, 검출한계(MDL) 및 정량한계(LOQ)는 각각 0.2, $0.5\;{\mu}g/L$이었다. 실제 먹는 샘물 23 개와 먹는 샘물 공장의 지하수 원수 75 개의 시료 중 bromide를 분석한 결과, 각각 평균농도는 $14.7\;{\mu}g/L$, $20.4\;{\mu}g/L$이었다. 지하수 원수 중 bromide농도와 먹는 샘물 중 bromide 및 bromate의 농도 합과의 상관계수(r)는 0.808이었다.

도입 밀의 제빵적성과 산화제 첨가효과 (Baking Quality of Flours and Effect of Oxidants)

  • 황성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90-894
    • /
    • 1988
  • DNS, HRW 및 ASW를 시험제분한 밀가루와 산화 처리한 HRW, ASW 밀가루의 amylogram farinogram 등으로 제방적성을 시험하고 이들 밀가루로 만든 빵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단백질 함량이 HRW가 ASW보다 3%정도 많았지만 baked gluten의 specific volume은 거의 비슷하였다. HRW와 ASW에 $KBrO_3$ 50ppm, DHA 100ppm을 첨가한 결과 farinogram상의 stability가 증가되고 departure time, time to breakdown이 연장되었다. HRW로 만든 빵의 specific volume이 다른 것보다 작았지만 산화제로 처리한 결과 현저한 개선을 보였다. 한편 ASW경우 산화제 처리 후의 차이점이 크지 않았다.

  • PDF

Galangin 및 양강추출물의 $KBrO_3$ 유도 DNA 및 염색체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the 70% Ethanolic Extract of Alpinia officinarum and Galangin Against $KBrO_3$-induced DNA and Chromosomal Damage in Mice)

  • 양혜은;허문영
    • 약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423-428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 vivo effect of galangin and the 70% ethanolic extract of Alpinia officinarum (AO) toward $KBrO_3$-induced DNA and chromosomal damage in mice. Galangin and AO inhibited the formation of 8-hydroxy-2'-deoxyguanosine (8-OH2'dG) as an indicator of DNA oxidative damage in the liver cell. Galangin and AO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formation of DNA single strand break in the splenocyte by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SCGE) assay and also inhibited micronucleated reticulocyte (MNRET) formation of peripheral blood in tail blood of mice. Vit-E revealed antigenotoxic effects in DNA and chromosome levels, but galangin was more potent active compound compare to vit-E under our experimental condi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 of Alpinia officinarum containing galangin can modify the oxidative DNA and chromosomal damage and may act as chemopreventive agent against oxidative stress in vivo.

Antioxidative Constituents from Paeonia lactiflora

  • Lee, Seung-Chul;Kwon, Yong-Soo;Son, Kyung-Hun;Kim, Hyun-Pyo;Heo, Moon-You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7호
    • /
    • pp.775-783
    • /
    • 2005
  • The ethanol extract of the peony root (Paeonia Lactiflora Pall, Paeoniaceae) as well as its major active components including gallic acid and methyl gallate were evaluated for their protective effects against free radical generation and lipid peroxidation. In addition, the protective effects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DNA damage in a mammalian cell line were examined. The ethanol extracts of the peony root (PREs) and its active constituents, gallic acid and methyl gallate, exhibited a significant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against 1,1-diphenyl-2-picryl hydrazine (DPPH) radical generation and had an inhibitory effect on lipid peroxidation, as measured by the level of malondialdehyde (MDA) formation. The PREs did not have any pro-oxidant effect. They strongly inhibited the hydrogen peroxide-induced DNA damage from NIH/3T3 fibroblasts, as assessed by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Furthermore, the oral administration of 50% PRE (50% ethanol extract of peony root), gallic acid and methyl gallate potently inhibited the formation of micronucleated reticulocytes (MNRET) in the mouse peripheral blood induced by a $KBrO_3$ treatment in vivo. Therefore, PREs containing gallic acid and methyl gallate may be a useful antigenotoxic antioxidant by scavenging free radicals,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and protecting against oxidative DNA damage without exhibiting any pro-oxidant effect.

냉동(冷凍)반죽을 이용(利用)한 발효(醱酵)빵 제조(製造)에 있어서 적정(適正)반죽의 조성(組成) (Suitable Dough Formula for Yeast-Raised Breadmaking Using Frozen Dough)

  • 서석출;방광웅;송형익;정기택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6권
    • /
    • pp.137-143
    • /
    • 1988
  • Straight no-time method로 조제한 냉동(冷凍)반죽을 이용(利用)한 발효(醱酵)빵제조에 있어서 가장 적절한 반죽의 조성(組成)을 제(製)빵성적(成積)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경질(硬質)밀가루 1,000 g에 대하여 압착효모(壓搾酵母) 30 g, 설탕 50 g, 식염(食鹽) 20 g, 쇼트닝 40 g, 브롬산칼륨 75mg, L-ascorbic acid 200mg, yeast food 3 g, vital wheat gluten 30 g, 제1인산칼슘 400mg, 스테아릴젖산나트륨 8 g, 급수량(汲水量) 680 g 으로 냉동(冷凍)반죽을 만드는 것이 제(製)빵과정(過程)에서 팽창력(膨脹力)과 발효시간(醱酵時間)이 적절하고 높은 비용적(比容積)을 얻을 수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였다. Farinograph 성적상의 흡수율(吸水率)보다 높은 68%의 급수량(汲水量)으로도 유화제(乳化劑)나 품질개량제(品質改良劑)의 다량첨가(多量添加)로 반죽의 동결장해(凍結障害)를 억제할 수 있었다.

  • PDF

열변성 글루텐의 점탄성 측정에 관한 연구 (Measurement of Viscoelastic Properties of Heat Denatured Gluten Network)

  • 홍성희;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8-156
    • /
    • 1988
  • 밀가루의 제면특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수립하기 위하여 열변성 글루텐의 점탄성 측정 방법을 연구하였다. 열변성 글루텐의 인장력 완화시험에서 얻어진 완화곡선을 6개의 점탄성 요소를 포함하는 일반화 맥스웰 모델로 표현될 수 있었다. 열변성 글루텐의 인장력은 열처리 시간이 경과 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전체 완화분의 70-74%를 차지하는 제1차 지수항에서의 탄성과 점성은 열처리 시간 19분 동안 계속 증가하였다. 글루텐의 강화제로 알려져 있는 $KBrO_3$를 1000pm수준으로 첨가할 경우 탄성과 점성은 감소하였으나 그루텐 약화제인 L-시스텐은 이들을 증가시켰다. 두 경우 모두 완화 시간을 가열 11분후부터 감소하였다. 이들 파라미터들은 또한 요소(尿素)의 첨가 농도에 따라 상이하게 변화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