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operative period

검색결과 1,540건 처리시간 0.033초

A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Complications of Totally Implanted Central Venous Access Ports

  • Seok, June Pill;Kim, Young Jin;Cho, Hyun Min;Ryu, Han Young;Hwang, Wan Jin;Sung, Tae 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1호
    • /
    • pp.26-31
    • /
    • 2014
  • Background: When managing patients who require repeated venous access, gaining a viable intravenous route has been problematic. To improve the situation, various studies on techniques for venous access have been conduct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complications following totally implanted central venous access port (TICVAP) insertion.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163 patients, from December 2008 to March 2013. The occurrence of complications was studied in three separate periods of catheter use: the intraoperative period, postoperative period, and period during the treatment. Results: A total of 165 cases of TICVAP insertions involving 156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re were 35 complications (21%) overall. Among these, 31 cases of complications (19%) occurred during the treatment period and the other 4 cases were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2%).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nd gender of the patients between the two groups to be risk factors (p=0.147, p=0.08). Past history of chemotherapy, initial laboratory findings, and the locations of TICVAP insertion also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s risk factors (p>0.05). Conclusion: Because the majority of complications occurred after port placement and during treatment, meticulous care and management and appropriate education are necessary when using TICVAPs.

Comparison of sevoflurane and propofol anesthesia on the incidence of hyperglycemia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undergoing lung surgery

  • Kim, Hyuckgoo;Han, Jisoo;Jung, Sung Mee;Park, Sang-Jin;Kwon, Nyeong Keo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5권1호
    • /
    • pp.54-62
    • /
    • 2018
  • Background: The type and regimen of anesthesia may affect perioperative hyperglycemia following major surgical stress.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sevoflurane and propofol on the incidence of hyperglycemia and clinical outcomes in diabetic patients undergoing lung surgery.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176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who had undergone lung surgery. Blood glucose levels and clinical outcomes from the preoperative period to the first 2 postoperative days (PODs) were retrospectively examined in patients who received sevoflurane (group S, n= 87) and propofol (group P, n=89) for maintenance of general anesthesia. The primary endpoint was the incidence of persistent hyperglycemia (2 consecutive blood glucose levels >180 mg/dL [10.0 mmol/L]) during the perioperative period. The secondary composite endpoint was the incidence of maj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30-day mortality rate after surgery. Results: Blood glucose levels similarly increased from the preoperative period to the second POD in both groups (p=0.857). Although blood glucose levels at 2 hours after surger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P than in group S (p=0.022; 95% confidence interval for mean difference, -27.154 to -2.090),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persistent hyperglycemia during the perioperative period (group S, 70%; group P, 69%; p=0.816). The composite of maj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all-cause in-hospital and 30-day mortality rates were also comparabl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Sevoflurane and propofol were associated with a comparable incidence of perioperative hyperglycemia and clinical outcomes in diabetic patients undergoing lung surgery.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Acute Postoperative Delirium in Geriatric Neurosurgical Patients

  • Oh, Yoon-Sik;Kim, Dong-Won;Chun, Hyoung-Joon;Yi, Hyeong-Joo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3권3호
    • /
    • pp.143-148
    • /
    • 2008
  • Objective: Postoperative delirium (POD) is characterized by an acute change in cognitive function and can result in longer hospital stays, higher morbidity rates, and more frequent discharges to long-term care facilit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POD in 224 patients older than 70 years of age, who had undergone a neurosurgical operation in the last two years. Methods: Data related to preoperative factors (male gender, >70 years, previous dementia or delirium, alcohol abuse, serum levels of sodium, potassium and glucose, and co-morbidities), perioperative factors (type of surgery and anesthesia, and duration of surgery) and postoperative data (length of stay in recovery room, severity of pain and use of opioid analgesics)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POD appeared in 48 patients (21.4%) by postoperative day 3. When we excluded 26 patients with previous dementia or delirium, 17 spontaneously recovered by postoperative day 14, while 5 patients recovered by postoperative 2 months with medication, among 22 patients with newly developed POD. The univariate risk factors for POD included previously dementic or delirious patients, abnormal preoperative serum glucose level, pre-existent diabetes, the use of local anesthesia for the operation, longer operation time (>3.2 hr) or recovery room stay (>90 mini, and severe pain (VAS>6.8) requiring opioid treatment (p<0.05). Backward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reviously dementic patients with diabetes, the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local anesthesia, and severe postoperative pain treated with opioids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POD. Conclusion: Our study shows that control of blood glucose levels and management of pain during local anesthesia and i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can reduce unexpected POD and help preventing unexpected medicolegal problems and economic burdens.

결핵성 폐질환의 폐절제술후 폐기능 및 동맥혈가스 분석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Pulmonary Resection With Arterial Blood Gas Analysis and Pulmonary Function Test in the Pulmonary Tuberculosis)

  • 채성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11호
    • /
    • pp.856-860
    • /
    • 1993
  • We performed serial pulmonary function test and arterial blood gas analysis at preoperative period and postoperative 1st week in 337 patients who underwent pulmonary resection from May 1988 to April 1992 at Dep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adventist hospital. Follow-up study for PFT and ABGA were possible in 30 % of the patients at postoperative 3rd or 4th month. In patient who underwent pneumonectomy, VC was decreased from 57.7% to 46.1%, FVC was decreased from 53.5 % to 41.2 % and MBC also decreased from 68.1% to 49.6 % at postoperative 1st week. But ABGA revealed that POa-, was increased from 87.2 mmHg to 92.7 mmHg, and PCO2 was decreased from 43.2 mmHg to 35.9 mmHg at postoperative 1st week. In patients who underwent lobectomy, VC was decreased from 78.1% to 68.30 %, FVC was decreased from 72.5% to 55.3% and MBC was decreased from 73.5% to 68% at postoperative 1st week.But, ABGA revealed that PO2 was increased from 95.2 mmHg to 97.9 mmHg and PCO2 was decreased from 42.3 mmHg to 39.0 mmHg at postoperative 1st week. The pulmonary function recovered at postoperative 3rd or 4th month and its ratio to preoperative value was 90% in lobectomy cases, but in pneumonectomy cases VC and MBC were recovered 20% and 15 % above the preoperative values. We concluded that resection of atelectasis, destructed lung, open negative and open positive cavity in the pulmonary tuberculosis were beni~t to improve ventilation-perfusion ratio,and pulmonary function was recovered nearly to preoperative level at postoperative 3rd or 4th month.

  • PDF

선천성 심장병의 개심술 후 신호 평준화 심전도의 변화 (The changes in signal-averaged electrocardiogram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congenital heart disease)

  • 김여향;최희정;김근직;조준용;현명철;이상범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2호
    • /
    • pp.1364-1369
    • /
    • 2009
  • 목 적 : 이번 연구에서는 소아기에 흔한 선천성 심장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개심술 이후 생긴 반흔과 수술로 인한 용적 또는 압력 과부하 상태의 변화로 초래되는 비정상적인 심실 활성화를 신호 평준화 심전도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선천성 심장병으로 개심교정술을 시행한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군은 우심실 용적 과부하군(심방 중격 결손군, 1군), 좌심실 용적 과부하군(심실 중격 결손군, 2군), 우심실 압력 과부하군(활로씨 4징군, 3군)으로 나누었다. 대상 환자 모두에서 표준 12 유도 심전도와 신호 평준화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였고, 평균 QRS 기간, QT와 QTc 간격, f-QRS, HFLA, RMS in terminal 40 ms를 구하였다. 결 과 : 수술 전에는 1군에서 다른 군에 비해 의미 있게 긴 QRS 기간을 보였고(P=0.011), 수술 후에는 3 군에서 다른 군에 비해 QTc 간격이 의미 있는 증가가 있었다(P=0.004). 그러나 신호 평준화 심전도는 수술 전후 환자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전체 대상 환자 중 신호 평준화 심전도 측정값이 한가지 이상 후전위의 진단 기준에 해당되는 경우가 수술 전 12명(23%)에서 수술 후 21명(40%)로 증가하였다. 특히 2군과 3군에서는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에 신호 평준화 심전도의 이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의미있게 많았다(2군: 20% versus 28%, P<0.001, 3군: 14% versus 64%, P<0.001). 결 론 : 비정상적인 신호 평준화 심전도 값은 수술 후 반흔뿐만 아니라 개심술 자체, 심실의 과부하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토끼에서 Myocardial Infarction 후 Left Ventricular Remodeling에 대한 Matrix Metalloproteinase의 차단 효과 (The Effect of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 for Left Ventricular Remodeling after Myocardial Infarction in a Rabbit Model)

  • 김수현;정태은;홍그루;한승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5호
    • /
    • pp.329-340
    • /
    • 2007
  • 배경: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차단은 심근경색 후 좌심실 확장에 대한 가능한 치료 전략으로 대두되고 있다. 선택적 MMP 차단제의 투여가 심근경색 후 초기 단계에 MMP가 대량으로 분비되는 짧은 기간을 차단하는 것이 좋을 것인지, 초기 전체 기간 동안 차단하여야 할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토끼를 이용하여 기관 삽관 하에 전신 마취를 하고 흉골 정중절개한 다음 좌전 하행지 관상동맥을 결찰하여 심근경색을 만들었다. 실험군은 3군으로 나누었다. 심근경색 단독(MI only 군)군은 7예, MMP 차단제 5일 투여군(MMPI 5d 군)은 6예, MMP 차단제 9일 투여군(MMPI 9d 군)은 5예이었다. MMP 차단제로는 MMP-2와 MMP-9에 대한 선택적 차단제인 CG2300을 사용하였다. 각 군은 심장초음파도 검사를 4회 시행하였는데, 술 전, 술 후 1주, 2주 및 3주에 하였다. 검사는 2D 심초음파도를 사용하여 EDD, ESD 및 EF를 측정하였다. 술 후 4주에 희생한 토끼의 심장을 western blotting과 zymography를 하여 MMP-2와 MMP-9의 단백질과 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경색부위를 병리학적 조직검사를 하였다. 결과: 심초음파도 검사상, MI only군에서는 대체로 술 전에 비하여 술 후 EDD와 ESD가 증가한 추세로 좌심실이 확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MMP 차단제 9일 투여군에서는 심근경색 단독군과 MMP 차단제 5일 투여군에 비해 좌심실의 확장이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EF는 MMP 차단제 9일 투여군에서 술 후에 술 전과 큰 변동이 없었으며, 다른 군들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MMP 단백질의 발현과 활성 변화를 보면, 심근경색 단독군, MMP 차단제 5일 및 9일 투여군 등 3군을 정상 심장군과 비교하였을 때 MMP-2 단백질 발현과 활성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그리고 MMP-9의 단백 발현 및 활성은 검출되지 않았다. 병리학적 조직 소견을 보면 심근경색 단독군에서 심한 교원질 침착이 있었다. MMP 차단제 5일 투여군과 9일 투여군에서는 교원질 축적이 감소된 경향을 보였다. MMP 9일 투여군에서는 모세혈관의 수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 관상동맥을 결찰하여 심근경색을 유도하면 술 후 빠른 시간 내에 심실이 확장되며 MMP 차단제를 투여할 경우 심실의 확장이 완화됨을 알 수 있었다. MMP 차단제의 효과는 초기의 대부분 기간을 차단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MMP 차단제가 혈관신생을 증가시켜 심실 재형성을 완화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큰 크기의 회전근 개 파열에서 UU-Tension Band Suture를 이용한 관절경 감시하의 봉합술 - 단순 봉합술과의 비교 - (Arthroscopic UU-Tension Band Suture for Rotator Cuff Tear above 4 cm - Comparative Study with Simple Suture -)

  • 고상훈;이채칠;신승명;김상우;조범근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2호
    • /
    • pp.99-108
    • /
    • 2012
  • 목적: 크기가 4 cm 이상의 회전근 개 전 층 파열에 대해서 UU-Tension Band suture 봉합 법을 이용한 관절경하 봉합술에 대한 추시 결과와 유효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11년 10월까지 큰 크기의 회전근 개 전 층 파열로 UU-Tension Band suture 봉합법을 이용하여 적어도 대결절의 내연까지 봉합이 가능하여 관절경하 봉합술을 시행하였던 71예의 환자를 1군으로, 단순 봉합법을 시행하였던 20예를 2군으로 하여 비교하였으며, 술 전과 7개월, 1년, 최종 추시 VAS of pain, ASES 점수의 ADL (Activity of Daily Living), UCLA 점수를 측정하였다. 통계적인 검정은 양군간에 student t-test와 수술 전후에 paired t-test로 비교하였다. 평균 연령은 63.2 (52~80)세 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38.4 (13~62)개월 이었다. 결과: 동통에 대한 VAS 점수에서 1군의 경우 술 전 평균 8.1에서 술 후 최종 추시 1.6로 감소하였고 (p<0.05), 2군의 경우 술 전 평균 7.6에서 술 후 최종 추시 1.8로 감소하였다 (p<0.05). 두 군 간의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p>0.05). 평균 ADL은 1군의 경우 술 전 평균 12.5에서 술 후 최종 추시 평균 29.0으로 증가하였고 (p<0.05), 2군의 경우 평균 11.3에서 27.5으로 증가하였으며 (p<0.05), 두 군 간에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p>0.05). UCLA 점수는 1군의 경우 술 전 평균 12.9에서 술 후 최종 추시 28.7으로 증가하였으며 (p<0.05), 2군의 경우 술 전 평균 13.8에서 술 후 최종 추시 30.1으로 증가하였으며 (p<0.05), 두 군 간에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p>0.05). 술 후 평균 27.5주째에 촬영한 MRI (20예)와 초음파 (51예)를 이용한 재 파열의 비교에서 1군에서 28%, 2군에서는 20예중 11예에서 재 파열이 있어서 두 군간에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p<0.05). 결론: 크기가 4 cm 이상의 회전근 개 전 층 파열에서 UU-Tension Band suture 봉합법을 이용한 관절경하 봉합술은 단순 봉합법을 이용한 봉합술과 비교하여 임상적으로 차이가 없으나 재 파열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체외순환에 따른 혈액학적 변화와 술후 출혈에 관계하는 인자에 관한 연구 (Hematologic Changes and Factors Related to Postoperative Hemorrhage Following Cardiopulmonary Bypass)

  • 김하늘루;황윤호;최석철;최국렬;김승우;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0호
    • /
    • pp.952-963
    • /
    • 1998
  • 연구배경 : 체외 순환으로 인한 지혈 기전의 심각한 손상은 술후 과다 출혈을 일으켜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고, 대량 수혈에 따른 부작용과 재수술의 우려마저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심장 수술동안 섬유소 용해계의 활성화와 혈소판의 숫적, 기능적 변화가 술후 상당 시간동안 출혈의 원인이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체외 순환 동안 및 그 후에 있어, 체외 순환에 의한 섬유소 용해계의 활성화를 포함한 다양한 혈액학적 변화를 조사하고, 이러한 변화들이 술후 비외과적 출혈의 정도와 어떤 상관성이 있는가를 규명하기위해 체외 순환을 실시할 성인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계획되었다. 혈소판 수, 섬유소원 및 plasminogen 농도, FDP, D-dimer, BT, aPTT, PT와 같은 혈액학적 변수의 측정을 위해 수술동안 또는 술후 시기에 혈액을 연속적으로 채취하였다. 출혈량은 흉부 삽관을 통한 배출량을 술후 3, 6, 12, 24, 48시간의 양과 총혈액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혈소판 수는 체외 순환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되었다 (p<0.01). 총 체외 순환 시간이 길수록 혈소판 수의 감소률은 더 높았으며 (r=0.55, p=0.01) 술후 7일이 되어서야 비로소 술전치에 근접하였다. 체외 순환동안 FDP와 D-dimer의 농도가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p<0.0001), 섬유소원 및 plasminogen 농도 둘 다 서로간에 상관성을 보이면서 감소하였다 (r=0.57, p<0.01). 술후 2hr-BT, 2hr-PT, 2hr-aPTT 모두 술전치에 비해 유의하게 연장되었다(각각 p<0.05, p<0.0001, p<0.0001). 술후 총 출혈량과 환자의 연령, 대동맥 차단 시간, 체외 순환 시간은 각각 양의 상관관계 (positive correlation)가 있었다. 술전 기준치 혈소판 수와 술후 3시간 출혈량, 체외 순환 종료시의 혈소판 수와 술후 3시간, 6시간 및 총 출혈량 그리고 술후 1일의 혈소판 수와 48시간 출혈량 사이에는 각각 음의 상관관계 (negative correlation)가 있었다. 술후 2hr-aPTT는 술후 6시간 및 48시간대의 출혈량에 상관성이 있었고 (r=0.53, p=0.02) 술후 2hr-PT는 48시간 출혈량과 각각 양의 상관성이 있었으나 (r=0.43, p=0.05). 이 두가지 변수와 총 출혈량 간에는 상관성이 없었고, 술후 2hr-BT와 술후 출혈량 사이에도 유의한 상관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결론 : 이상의 관찰 결과들은 체외 순환이 섬유소 용해계의 활성화와 혈소판 수의 심한 감소를 포함한 다양한 혈액학적 변화를 유도하고 환자의 연령, 혈소판 수, 대동맥 차단 시간, 체외 순환 시간, 술후 PT 및 aPTT와 같은 다인적 상황들이 술후 출혈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들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들은 체외 순환에 따른 지혈적 손상에 관한 이해와 술후 출혈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PDF

폐 기능이 불량한 환자에서의 우측 전폐절제수술 (Right Pneumonectomy in a Patient with Poor Pulmonary Function)

  • 주석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11호
    • /
    • pp.1218-1220
    • /
    • 1992
  • Pneumonectomy on a patient with documented poor pulmonary function indicating a contraindication to surgery can be associated with a high risk of serious postoperative morbidity or mortality. However the usual criterias, on the performance of a pneumonectomy on a high risk patient based on the preoperative assessment of the pulmonary function may not sometimes predict with accuracy the operative outcome in the postoperative period. We recently performed pneumonectomy with good results on a patient with poor pulmonary function that would otherwise have been an absolute contraindication to surgery by usual criteria.

  • PDF

심실중격결손 봉합 후 잔류 단락의 추적관찰 (Follow-Up of Residual Shunt after Repair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 정태은;이장훈;김도형;백종현;이동협;이정철;한승세;이영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8호
    • /
    • pp.580-583
    • /
    • 2002
  • 배경: 선천성 심장병 환자들의 교정 수술 후 정확한 형태학적 혹은 혈역학적변화를 아는 것이 술 후 추가적으로 내과적 혹은 외과적인 치료가 필요로 하는가를 결성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심실중격결손 봉합술 후 잔류단락의 발생 빈도와 소량의 포편 주위 단락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3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의료원 흉부외과에서 영아기에 단순 심실중격결손으로 포편봉합술을 시행한 4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후 심초음파를 시행하여 잔류단락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43례의 환자 중 수술 직후 잔류단락이 관찰된 환자는 11례로 26%에서 잔류단락이 발견되었으나 혈역학적으로 유의한 단락으로 재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없었다. 단락의 발생빈도는 심실중격결손의 형태와 봉합을 위해 사용한 포편의 종류와는 무관하였다. 잔류단락이 발견된 환자 중 9명에서 단락의 소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례는 추적관찰에서 탈락하였다. 단락이 소실된 9명의 환자들의 단락이 마지막 확인된 기간은 평균 $4.2{\pm}3.6$개월 이었다. 결론: 수술 직후 포편 주위의 잔류단락은 종종 발견될 수 있으며 혈역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잔류단락은 대부분 6개월 이내에 자연 소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