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ostlarvae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2 seconds

여수 연안에 출현하는 멸치(Engraulis japonicus) 후기자어 및 치어의 소화관 내용물 조성 (Gut Composition of Postlarval and Juvenil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Korea)

  • 유준택;정재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642-647
    • /
    • 2016
  • Postlarval and juvenile anchovies Engraulis japonicus were collected using a gape net with wings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in July and August 2015, and their gut contents were analyzed. The size range of the postlarvae was 11.0-24.2 mm (notochord length) and that of the juveniles was 25.1-37.4 mm (standard length). Guts were empty in 64.5% of postlarvae and in 51.7% of juveniles. The dominant prey organisms in the guts of both postlarvae and juveniles were copepoda. Calanoida were important prey organisms for postlarvae and were dominated by nauplii of Paracalanus sp. and Calanus sp. as well as unidentified copepod naupill. Calanoida were also important in the diets of juveniles, whose gut contents were dominated by Paracalanus sp. and Cirripedia. Gut composi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mong three body size levels in postlarvae and juveniles. As the body size of the postlarvae and juveniles increased, Calanoida constituted a larger proportion of the gut contents, while the proportion of copepod nauplii decreased.

Effects of bioflocs on immune responses of Fleshy shrimp, Fenneropenaeus chinensis postlarvae and adults as related to the different feeding abilities

  • Su-Kyoung Kim;Su Kyoung Kim;In-Kwon Jang;Je-Cheon Ju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11호
    • /
    • pp.649-659
    • /
    • 2023
  •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structure of mixilliped of Fenneropenaeus chinensis between the larval and adult stage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structural difference on the immunity of F. chinensis. A fourteen day and a one-month long culture trial were conducted each with postlarvae and adults of F. chinensis in the biofloc, mixed water (50% biofloc:50% clear seawater) and seawater control. Immune-related genes mRNA expressions of postlarvae was analysed by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And the analysis of adult stage immunity was carried out using phenoloxidase (PO) enzyme activation in haemocyte. In the postlarvae, the final body weights were 51.43 and 58.47 mg for the biofloc water and the control seawater,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final body weights of the adul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iofloc water and seawater. The survival rate showed the opposite trend to the growth rate. Immune related genes mRNA expression levels in the postlarvae in the biofloc wate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seawater. While, the adult stag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 enzyme activations in the biofloc water than in the seawater with the PO enzyme activation increasing proportionally to the biofloc concentration. This result is considerably explained by the observations of setal morphological structures of the third maxilliped: postlarvae have short serrulated setae that compose the small 'net' structure while adults had long and dense plumose setae. It is understood that the morphological difference of the maxilliped structure resulted in the different feeding abilities in the postlarvae and the adult F. chinensis to use bioflocs as food source.

담수산 새우, Macrobrachium nipponense (De Haan)의 증${\cdot}$양식에 관한 생물학적 기초연구 2. 생활사 및 종묘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pagation of the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nipponense (De Haan) Reared in the Laboratory 2. Life History and Seedling Production)

  • 권진수;이복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9-67
    • /
    • 1992
  • 담수산 새우 Macrobrachium nipponense의 생활사와 종묘 생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발생 과정 : 부화된 zoea 유생의 크기는 2.06 mm였고 $15{\~}20$일에 걸쳐 9단계의 zoea 유생기를 거쳐 후기 치하로 변태하였으며 이때의 체장은 5.68 mm였다. 각 zoea 유생 단계는 제 1, 2 안테나의 형태, 제 1, 2 보각의 내${\cdot}$외지의 형태 및 미절과 소악의 형태에 따라 분류할 수 있었다. 2. Zoea 유생기의 환경 : Zoea 유생은Artemia의 유생을 먹고 건강하게 성장하였으며, 수온 $26{\~}28^{\circ}$, 염분도 $7.85{\~}8.28{\%_{\circ}}Cl.$에서 변태율이 $65\~72{\%}$를 보였다. 수온 $26{\~}32^{\circ}C$에서 생존율이 높았으며 (최적 수온 $28^{\circ}C$), 염분 범위 $4.12\~14.08\%_{\circ}Cl.$에서 생존율이 높았고(최적 염분 $7.6\~11.6\%_{\circ}\;Cl.$) 염분도가 적정 범위에서 멀어질수록 특히 높아질수록 zoea 유생기가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담수에서 zoea 유생은 모두 폐사하였다. zoea 유생 발생단계(Y)와 수온(X)와의 관계는 Y=46.09-0.9673X로 나타났다. 3. 후기 유생 및 치하기의 환경 : 후기 유생기의 적정 성장 수온은 $24\~32^{\circ}C$(최적 $26\~28^{\circ}C$)였으며, 치하기까지의 생존율은 $41{\~}63{\%}$를 나타내었다. 수온 $17^{\circ}C$이하에서는 후기 유생의 성장은 중지되었으며 적정 수온 범위내에서는 공식 현상이 더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보였다. 후기 유생기와 치하기의 정상 성장 염분 범위는 $0{\~}11.24{\%_{\circ}Cl.$이었으며 이때의 생존율은 $32{\~}35{\%}$를 나타내었다. 후기 유생기의 최적 염분 농도는 $0\~2.21\%_{\circ}Cl.$였으며 담수에서는 성장이 양호하였으나 순 해수에서는 폐사하였다. 4. Zoea 유생의 먹이 공급 효과 : Zoea 유생기에 먹이로 알테미아의 노플리우스 유생, 노플리우스 유생의 클로렐라에 혼합하여 공급한 것, 윤충류, 인공 플랑크톤을 수조 내에서 먹인 경우 생존과 후기 유생기로의 변태가 진행되었으나 가장 좋은 것은 Artemia nauplius 유생을 Chlorella sp.와 혼합한 물에서 사육하였을 경우였고 이 때의 변태율은 $68{\~}75{\%}$를 보였다. 소 간의 분말, 계란 분말, Chlorella sp.만을 먹인 것은 폐사하였다. 5. 후기 유생과 치하 및 성체의 먹이 : 후기 유생기의 먹이는 Artemia nauplius 유생이나 물벼룩 등 수중갑각류를 공급할 수 있고, 치하기나 성체에는 이들 외에 조개 살이나 어육, 다모환충류, 곡류, 펠렛 사료 등과 사람이 이용할 수 없는 가축의 내장이나 과일 등을 먹는다. 6. 후기 유생과 치하 및 성체의 성장 : 최적 조건 하에서 후기 유생은 매 $5\~6$일마다 변태하였고 치하기까지 2개월이 소요되었으며, 이때의 체장은 1.78 m, 체중은 0.17 g을 나타내었다. 치하의 성장은 4개월 정도에 체장 3.52 cm, 체중 1.07 g으로 성장하였으며 이때 암수의 구별이 수컷의 2차 성징을 나타내는 rudimental processes에 의해 가능하였다. 수컷은 성적 성숙이 후기 유생기로부터 7개월 후에 이루어지며, 이때의 크기는 체장 5.65 m, 체중 3.41 g이었고, 암컷도 $6{\~}7$개월 후에 성적 성숙이 되며 이때 체장은 4.93 m, 체중은 2.43 g이었다. 부화후 $9{\~}10$개월 후에 수컷은 체장 $6.62\~7.14$ m, 체중 $6.68{\~}8.36$ g으로 성장하였고, 암컷은 체장 $5.58{\~}6.08$ m, 체중 $4.04{\~}5.54$ g으로 성장하였다. 7. 방양 밀도 : 수조에서 30일간 사육한 결과 성장과 생존이 양호한 zoea 유생의 최대 밀도는 수량 1l 당 $60\~100$개체였고, 이때의 후기 유생으로의 변태율은 $73{\~}80{\%}$였다. 체장 0.57 m의 후기 유생을 120일간 사육한 결과 적정 밀도는 $1\;m^2$$100{\~}300$개체였고 이때의 생존율은 $78{\~}85{\%}$였으며, 체장 2.72 m의 치하기에 120일간 사육한 결과 적정 밀도는 $1m^2$$40{\~}60$개체였고 생존율은 $63{\~}90{\%}$였다. 체장 5.2 m의 어린 새우의 120일간사육시의 적정 밀도는 $1\;m^2$$20{\~}40$ 개체였으며 생존율은 $62{\~}90{\%}$를 나타내었고, 체장 6.1 m의 경우 60일간 사육한 결과 적정 밀도는 $1\;m^2$$10{\~}$30개체로 나타났고 이때 생존율은 $73{\~}100{\%}$였다. 유생기와 어린 새우의 사육에서 숨을 수 있는 은폐물을 넣어 준다면 위의 밀도를 약 2배 가량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광양만 보구치 (Argyrosomus argentatus) 후기자어의 먹이 선택성 (Feeding Selectivity of Postlarvae of White Croaker (Argyrisomus argentatus) in Kwangyang Bay, Korea)

  • 차성식;박광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7-31
    • /
    • 2001
  • 보구치 후기자어의 먹이생물과 선택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5년 여름 광양만에서 채집된 보구치 후기자어의 장내용물을 조사하였다. 보구치 후기자어의 장에서 관찰된 먹이생물의 종류는 요각류의 난과 nauplius 유생, 유종섬모충류의 Codonellopsis sp.와 Tintin-nopsis sup. 등이었다. 상대중요성지수에 의하면 보구치 후기자어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요각류 nauplius 유생이었다. 보구치는 성장하면서 섭취하는 먹이의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요각류 nauplius 유생에 대한 선호도도 증가하였다.

  • PDF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의 산란습성, 난 및 자치어의 형태 발달 (Spawning Behavior and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 of the Nake-Headed Goby, Favonigobius gymnauchen (Bleeker))

  • 진동수;한경호;박진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6-143
    • /
    • 2003
  • The eggs of Favonigobius gymnauchen attached on the under side of a small stone were collected off Seongsan-eup Cheju-do in August, 2000 to investigate their development of egg, larvae and juveniles. The fertilized eggs were elliptical in shape (mean long axis: 1.50 mm; mean short axis: 0.57 mm) and transparent. There were filaments on one side of the egg membrane. Larvae hatched at 48 hrs 50 mins after morula stage with 25-26 myotomes in $22.8-28.5^{\circ}C\;(mean\;24.7^{\circ}C).$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2.31-2.49 mm (mean 2.37 mm n=10) in total length (TL) and their mouth and anus were already opened. Their melanophores were appeared on the over gas globule, around anus and the part of caudal peduncle with 24-25 myotomes. At 4-5 days after hatching. larvae attained 3.81-4.07 mm (mean 3.96 mm, n=10) in TL and their yolk sac was completely absorbed. They began to eat rotifer and transformed to postlarvae stage. At 14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attained 6.17-6.31 mm (mean 6.21 mm, n=10) in TL and their caudal notocord was flexed $45^{\circ}$ upward. At 24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attained 8.69-9.10 mm (mean 8.87 mm, n=10) in TL had reached the juvenile stage. All fins were formed with the complete set of fin rays with the following counts: dorsal fin rays IV-I, 9-10; anal fin rays I, 9; pectoral fin rays 17; ventral fin rays: I, 5; caudal fin rays: 9+8= 17.

해수 저염분 순치과정에서 먹이섭취가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 유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on Postlarvae of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during the Acclimation Process to Low Salinities in Seawater)

  • 김수경;심나영;조지현;김종현;김수경
    • 환경생물
    • /
    • 제36권3호
    • /
    • pp.377-384
    • /
    • 2018
  • 저염분 순치기간에 먹이를 섭취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초기 유생의 생리적 변화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하루 동안의 순치기간에 염분농도에 따른 유생의 생존율은 차이를 보였지만 각 염분구간별 먹이섭취 유무에 따른 생존효과는 유사하였다. 그러나 먹이섭취 시 유생이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cholesterol, triglyceride의 증가가 있었으며 삼투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glucose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저염분 순치기간 동안에 스트레스, 조직손상 및 대사작용의 지표가 되는 BUN과 creatine의 감소가 있었다. 먹이섭취로 인한 소화효소의 활성이 먹이를 섭취한 실험구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유생발달과 함께 중요한 소화, 순환, 생식기관이 형성되며 탈피 성장을 위한 신진대사가 빠르게 진행되는 유생시기에 저염분 순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향후 지속적인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먹이를 섭취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Korean Endemic Species Korean Spotted Sleeper, Odontobutis interrupta (Pisces: Odontobutidae)

  • Park, Jae-Min;Han, Kyeong-Ho;Kim, Na-Ri;Yoo, Dong-Jae;Yun, Seong-Min;Han, Ji-Hyeong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4호
    • /
    • pp.259-266
    • /
    • 2014
  • The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Korean spotted sleeper, Odontobutis interrupta which is Korean endemic species from Sora-choen was investigated. The Korean spotted sleeper were caught at Sora-myeon, Yeosu-si, Jeollanamdo, from Korea at May in 2014. The fertilized eggs were $4.23{\pm}0.05mm$ in long diameter and had oil globules. Hatching time of the embryo began about 442 hr 14 min after fertilization under water temperature of $19.5^{\circ}C$.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4.27{\pm}0.35mm$ in total length and their anus were not yet opened. 3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was measured $6.20{\pm}0.11mm$ in total length. 10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was measured $6.69{\pm}0.14mm$ in total length.

한국산 붉은쏨뱅이 Sebasticus tertius (Barsukov et Chen) 자치어(仔稚漁)의 골격발달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s of Sebasticus tertius (Barsukov et Chen) in Korea)

  • 한경호;임상구;김광수;김철원;유동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3-68
    • /
    • 2001
  • 1997년 1월부터 전라남도 완도군 연안에서 연승어업에 의해 어획된 붉은쏨뱅이를 육상수조에서 사육하던 중, 4월과 5월에 자연산출한 자치어를 사육하면서 관찰한 자치어의 골격발달과정은 다음과 같다. 산출 후 8일의 후기자어는 전장이 4.23~4.60 mm(평균 4.42 mm, n=5)로 가장 먼저 견대부(肩帶部) (shoulder girdle)에 소골(銷骨) (clavicle)과 약골(顎骨) (jaw bones) 부분의 위턱에 전상약골(前上顎骨) (premaxillary), 주상약골(主上顎骨) (maxillary), 아래턱에 치골(齒骨) (dentary)이 골화(骨化)하기 시작하였으며, 두개부(頭蓋部) (cranium)의 배쪽면에 가늘고 긴 막대기 모양의 부설골(副楔骨) (parasphenoid)이 골화(骨化)되었다. 산출 후 15일의 후기자어는 전장이 4.81~5.51 mm (평균 5.23 mm, n=5)로 두개부(頭蓋部)에 익이골(翼耳骨) (pterotic), 기저후두골(基底後頭骨) (basioccipital), 외후두골(外後頭骨) (exoccipital)이 골화(骨化)하기 시작하였고, 두정부(頭頂部)에 1개의 극(棘)이 형성되었으며, 새개부 (opercular)에 주새개골 (opercle)과 1개의 극(棘)을 가진 전새개골(preopercle)이 최초로 골화(骨化)하기 시작하였다. 산출 후 27일의 후기자어는 전장이 7.94~9.85 mm (평균 8.81 mm, n = 5)로 전새개골에 5개의 극(棘)이 형성되었고, 척추골(脊椎骨)은 머리쪽에서 꼬리쪽으로 골화(骨化)하여 15개의 추체(椎體) (centrum)가 골화(骨化)되었다. 산출 후 39일의 치어는 전장이 14.14~14.27 mm (평균 14.21 mm, n=5)로 모든 골격이 완성되었다.

  • PDF

Age Structure and Biomass of the Icefish Pseudochaenichthys georgianus Norman (Channichthyidae) Between 1976 and 2009: a Possible Link to Climate Change

  • Traczyk, Ryszard;Meyer-Rochow, Victor Benno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1권4호
    • /
    • pp.233-250
    • /
    • 2019
  • A re-assessment of the age structure of the population of the Antarctic icefish Pseudochaenichthys georgianus based on body length data covering the years 1976-2009 and including larvae and postlarvae collected in 1989 and 1990 allowed us to define age groups 0, I, and II as containing fish with respective body lengths of 6-9 cm, 15-27 cm and 27-39 cm. Age at maturity (first spawning) was found to occur in age group III at body lengths that have been falling from 50.1 cm in 1979 to 45.4 cm in 1992. Considering postlarvae together with adult fish, the v. Bertalanffy growth curve parameters were determined as L = 60.62 cm, k = 0.4, t0 = 0.25. Although the reasons for a maturity at shorter body lengths is not fully understood a host of environmental factors like increasing water temperatures and possibly changes in currents, interspecific competition, food availability, etc. are likely to be involved. Global warming (and not primarily overfishing) is likely to have been responsible for the disappearance of larger fish in the surface waters of South Georgia since 1977, for virtually all commercial fishing stopped in the early 1990s. On the other hand, the appearance of numerous younger spawning individuals suggests that larvae do survive in the colder deeper water below 200 m. The biomass of Ps. georgianus oscillates with a 4-year periodicity in contrast to that of the coexisting icefish Chaenocephalus aceratus: the former with a lower biomass in warm years and a higher one in cold years. The biomass of the third species of icefish in the region, i.e. Champsocephalus gunnari, also oscillates, but with a longer periodicity than that involved in the biology of the other two and its biomass increases in contrast to the other two species. The result is that the biomass all three species considered together is rather s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