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gastrectomy syndrom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초

위절제술후 증후군에 대한 증례 2례 (Two Cases of Postgastrectomy Syndrome Treatment with Oriental Medicine)

  • 류지철;김영균;권정남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96-601
    • /
    • 2004
  • After a gastrectomy, various forms of postgastrectomy syndrome may happen, such as dumping syndrome, reflux $^{\wedge}esophagitis$, afferent loop syndrome, marginal ulcer, anemia, etc. These can cause some problems in the quality of life for post-gastrectomy patients. This oriental medicine treatment was designed to improve digestion and relieve symptoms, correct imbalance and prevent relapse in each case. This study suggests a level of efficacy of oriental medicine(Samryungbaekchul-san, Bobi-tang) in treating postgastrectomy syndrome.

  • PDF

인후부 이물감 및 상복부 통증과 수면불량을 호소하는 위절제술 후 증후군 환자의 한의 치험 1례 (A Case Study of Korean Medical Treatment for Epigastric Pain and Insomnia after Gastrectomy)

  • 이지윤;조온유;박상민;최새롬;신재욱;백지훈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301-1310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a patient diagnosed with postgastrectomy syndrome (PGS). Method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in combination with Western medicine for 3 months. Results: Though abdominal tenderness was maintained at a similar level, other clinical symptoms (epigastric pain, globus pharyngis, and epigastric pain) were improved after Korean medicine treatmen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ed to promote practical research on PGS, should receive greater attention in the Korean medical community.

Impact of Tumor Location on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Undergoing Total or Proximal Gastrectomy

  • Fujisaki, Muneharu;Nomura, Takashi;Yamashita, Hiroharu;Uenosono, Yoshikazu;Fukunaga, Tetsu;Otsuji, Eigo;Takahashi, Masahiro;Matsumoto, Hideo;Oshio, Atsushi;Nakada, Koji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2권3호
    • /
    • pp.235-247
    • /
    • 2022
  • Purpose: Most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postgastrectomy quality of life (QOL) based on the surgical procedure or reconstruction method adopted; only a few studies have compared QOL based on tumor location. This large-scal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QOL between patients with esophagogastric junction cancer (EGJC) and those with upper third gastric cancer (UGC) undergoing the same gastrectomy procedure to evaluate the impact of tumor location on postoperative QOL. Methods: The Postgastrectomy Syndrome Assessment Scale-45 (PGSAS-45)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in 70 institutions to 2,364 patients who underwent gastrectomy for EGJC or UGC. A total of 1,909 patients were eligible for the study, and 1,744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gastrectomy (TG) or proximal gastrectomy (PG)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EGJC and UGC groups; thereafter, the PGSAS-45 main outcome measures (MOM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for each type of gastrectomy. Results: Among the post-TG patients, only one MOM was significantly better in the UGC group than in the EGJC group. Conversely, among the post-PG patients, postoperative QOL was significantly better in 6 out of 19 MOMs in the UGC group than in the EGJC group. Conclusions: Tumor location had a minimal effect on the postoperative QOL of post-TG patients, whereas among post-PG patients, there were definite differences in postoperative QOL between the two groups. It seems reasonable to conservatively estimate the benefits of PG in patients with EGJC compared to those in patients with UGC.

Effect of Four Main Gastrectomy Procedures for Proximal Gastric Cancer on Patient Quality of Life: A Nationwide Multi-Institutional Study

  • Koji Nakada;Akitoshi Kimura;Kazuhiro Yoshida;Nobue Futawatari;Kazunari Misawa;Kuniaki Aridome;Yoshiyuki Fujiwara;Kazuaki Tanabe;Hirofumi Kawakubo;Atsushi Oshio;Yasuhiro Kodera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3권2호
    • /
    • pp.275-288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4 main types of gastrectomy for proximal gastric cancer on postoperative symptoms, living status, and quality of life (QOL) using the Postgastrectomy Syndrome Assessment Scale-45 (PGSAS-45). Materials and Methods: We surveyed 1,685 patients with upper one-third gastric cancer who underwent total gastrectomy (TG; n=1,020), proximal gastrectomy (PG; n=518), TG with jejunal pouch reconstruction (TGJP; n=93), or small remnant distal gastrectomy (SRDG; n=54). The 19 main outcome measures (MOMs) of the PGSAS-45 were compared using the analysis of means (ANOM), and the general QOL score was calculated for each gastrectomy type. Results: Patients who underwent TG experienced the lowest postoperative QOL. ANOM showed that 10 MOMs were worse in patients with TG. Four MOMs improved in patients with PG, while 1 worsened. One MOM was improved in patients with TGJP versus 8 MOMs in patients with SRDG. The general QOL scores were as follows: SRDG (+39 points), TGJP (+6 points), PG (+3 points), and TG (-1 point). Conclusions: The TG group experienced the greatest decline in postoperative QOL. SRDG and PG, which preserve part of the stomach without compromising curability, and TGJP, which is used when TG is required, enhance the postoperative QOL of patients with proximal gastric cancer. When selecting the optimal gastrectomy method,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nd actively incorporate guidance to improve postoperative QOL.

원위부 위암에서 위절제술 후 위재건술식에 따른 잔위기능 및 영양 증상학적 삶의 질 비교 (Comparison of the Results in Gastric Carcinoma Patients undergoing Billroth I and Billroth II Gastrectomiesy)

  • 김성근;김영균;허윤정;송교영;김진조;진형민;김욱;박조현;박승만;임근우;김승남;전해명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1호
    • /
    • pp.16-22
    • /
    • 2007
  • 목적: 하부 위암의 절제술 후 각각의 재건술에 따른 환자의 위배출시간과 영양상태, 덤핑 증후군의 발생정도를 비교하여 환자의 증상과 삶의 질을 개선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원위부 위암으로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중 2003년 1월 한 달간 외래에서 술 후 6개월 이상 경과한 환자 1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위십이지장문합술을 받은 환자(이하 B-I군)는 51명, 위공장문합술을 받은 환자(이하 B-II군)는 71명이었다. 위배출검사는 동위원소 검사법을 이용하여 T1/2값을 얻어 비교하였고, 식사 횟수와 양, 체중감소 정도를 비교하였다. 수술 후 복부증상을 비교하였으며, 덤핑증후군은 Sigstad score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후 6개월의 T1/2값은 B-I군에서 지연되어 있었다($159.4{\pm}31.0min$). 12개월 후에는 B-I군의 위배출시간이 빨라져 B-I군과 B-II군 사이의 위배출 시간의 차이가 없어졌다. 식사 횟수는 각 군 간의 차이가 없었고 일회식사량은 수술 전과 비교해 보았을 때 6개월째는 각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12개월에는 B-I군이 B-II군에 비해 식사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38). 수술 후 체중은 B-I군이 B-II군에 비해 체중감소가 의미있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23). Sigstad dumping score는 B-I군에서 6개월째에는 7.6점, 12개월째에는 3.4점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덤핑 증후군의 빈도가 감소하나 B-II군에서는 시간의 경과해도 덤핑 증후군의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원위부 위암환자에서 근치적 수술이 가능한 한도에서는 Billroth I 술식이 체중감소가 적고, 복부 증상도 적게 나타났으며 덤핑증후군의 빈도도 낮아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B-II 술식보다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 PDF

전복강경하 원위부 위절제술 후 Uncut Roux-en-Y 위공장문합술과 B-I 위십이지장문합술의 비교 (Comparison of an Uncut Roux-en-Y Gastrojejunostomy with a Billroth I Gastroduodenostomy after Totally Laproscopic Distal Gastrectomy)

  • 김진조;김성근;전경화;강한철;송교영;진형민;김욱;전해명;박조현;박승만;임근우;박우배;김승남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3호
    • /
    • pp.139-145
    • /
    • 2007
  • 목적: Uncut Roux-en-Y gastrojejunostomy는 잔위로의 담즙 역류와 Roux stasis 증후군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원위부위절제술 후 전복강경하 uncut Roux-en-Y 위공장문합술(TLuRYGJ)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TLuRYGJ를 시행 받은 19영의 환자들과 같은 기간에 전복강경하 Billroth I 위절제술(TLB-I)을 시행 받은 11명의 환자들의 수술 후 6개월째 조사한 Visick 분류, 식습관, 위절제후증후군과 관련된 위장관 증상, 내시경 검사 소견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6개월째에 조사한 위절제후증후군과 관련한 위장관 증상과 Visick 분류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TLuRYGJ 군 환자들 중 담즙 역류성 위염의 증상을 호소했던 환자는 한 명도 없었고 투약을 요하는 위 지연배출의 증상을 호소했던 환자가 한 명(5.3%)있었다. 수술 후 6개월째 위 내시경 검사 소견에서 TLuRYGJ 군에서 TLB-I군에 비해 담즙 역류성 잔위염이 더 적은 소견을 보였다. 결론: TLuRYGJ는 담즙 역류성 위염과 Roux stasis 증후군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 PDF

위체부에 발생한 조기위암에서 위구획절제술과 Billroth I 재건술식의 비교 (A Comparison of Segmental Gastrectomy and Distal Gastrectomy with Billroth I Reconstruction for Early Gastric Cancer That's Developed on the Gastric Body)

  • 송민상;이상일;설지영;노승무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9권4호
    • /
    • pp.207-214
    • /
    • 2009
  • 목적: 위체부에 발생하는 조기위암에 대해 원위부 위아전 절제술(SDG)이 표준 술식으로 시행되나 술 후 기능장애와 합병증이 있으며, 이런 단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내시경적점막절제술을 하지만 림프절의 전이여부를 알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위의 절제 범위를 줄이고 유문을 보존하고, 림프절의 절제가 가능한 위구획절제술(SG)에 대해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본원에서 위체부의 조기위암 환자 중 41명에서 SG를 하였고, 40명에서는 SDG를 하였다. 의무기록 및 전화를 이용한 설문을 이용하여 수술 후 6개월과 12개월의 영양상태와 술 후 합병증에 대해 두 군을 비교하였다. 결과: 영양상태의 변화(혈색소, 혈장단백, 혈장알부민, 혈장콜레스테롤, P>0.05)와 체중의 변화에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SG군에서 SDG군에 비하여 내시경 시 잔여음식물(P<0.05)이 많았으나, 상복부 불편감이나 식사 시조기 팽만감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P>0.05). 식도염은 두군에서 비슷한 발생률을 보였고(P>0.05), 담즙 역류는 SG군과 SDG군에서 각 한 명만 관찰이 되었다. 결론: SG군에서는 유문이 보존되므로 담즙 역류로 인한식도염, 위염의 발생 감소와, 위절제범위의 감소와 유문보존으로 인한 영양학적인 장점을 기대하였으나, 현재까지의 결과는 두 군에서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SG의 장점과 단점을 알기 위해서는 더 오랜 기간의 경과관찰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복강경 보조 유문부보존 위절제술의 초기 경험: 복강경 보조 원위부 위절제술 후 Billroth-I 재건술과의 비교 (The Early Experience with a Laparoscopy-assisted 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A Comparison with a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with Billroth-I Reconstruction)

  • 박종익;진성호;방호윤;채기봉;백남선;문난모;이종인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1호
    • /
    • pp.20-26
    • /
    • 2008
  • 목적: 유문부보존 위절제술(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PPG)은 유문륜을 보존하여 잔위의 배출기능을 보존하고 담즙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 보존 수술법으로 조기위암 치료에 적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복강경 보조 유문부보존 위절제술(laparoscopy-assisted 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LAPPG)의 초기 경험을 LADG 후 Billroth-I 재건술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1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원자력병원 외과에서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시행 받은 39명의 조기위암 환자 중 LAPPG (n=9)와 LADG 후 Billroth-I 재건술(n=18)을 시행 받은 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양 군간의 임상병리학적 변수를 비교하였다. 저자들은 LAPPG 시행 중 유문하동맥, 우위동맥, 미주신경 간지, 유문지 및 복강지를 보존하였으며, 림프절 절제술은 우위동맥 림프절(No. 5)을 제외한 D1+$\beta$술식을 시행하였고, 유문륜 상방 $3{\sim}4\;cm$에서 원위부 위절제를 시행하였다. 결과: LAPPG을 시행 받은 환자 9명의 평균 연령은 $59.9{\pm}9.4$세였으며 남녀 성비는 1.3 : 1.0 (남자 5명, 여자 4명)이었고, LADG 후 Billroth-I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 18명의 평균 연령은 $64.1{\pm}10.0$세였으며 남녀 성비는 2.6 : 1.0 (남자 13명, 여자 5명)이었다. LAPPG 군과 LADG 후 Biliroth-I 재건술을 시행받은 군에서 절제된 림프절의 개수는 각각 $28.3{\pm}11.9$$28.1{\pm}8.9$개, 수술 시간은 각각 $269.0{\pm}34.4$분, $236.3{\pm}39.6$분, 술 중 출혈량은 각각 $191.1{\pm}85.7\;ml$, $218.3{\pm}156.6\;ml$, 술 후 첫 가스 배출은 각각 $3.6{\pm}0.9$일, $3.5{\pm}0.8$일에 있었고 술 후 첫 유동식은 각각 $5.1{\pm}0.9$일, $5.1{\pm}1.7$일에 섭취하였고 술 후 재원 기간은 각각 $10.1{\pm}4.0$일, $9.2{\pm}3.0$일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술 후 합병증은 LAPPG 군에서 위저류증 1예와 창상 장액종 1예가 발생하였고, LADG 후 Biliroth-I 재건술을 시행 받은 군에서는 좌외측간엽경색 1예가 발생하였다. 결론: 조기위암의 치료에 있어서 LAPPG는 기능 보존 수술 법으로 적용 가능하며, 적절한 적응증을 사용하면 임상종양학적 측면에서도 LADG 후 Billroth-I 재건술과 동등한 결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