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Soviet Spac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러시아의 군사안보전략과 우크라이나 (Russian Military Security Strategy and Ukraine)

  • 김용환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2호
    • /
    • pp.47-72
    • /
    • 2009
  • 소련 해체와 이에 따른 냉전 종식 이후 러시아는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질서 속에서 자국의 국가이익에 맞는 역할과 위상을 모색해 왔다. 미국의 세계정책에 조건부로 공조하기도 하고, 옛 소련지역을 포함하는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에 대해서는 자국의 이익을 보호하고 영향력을 복원하려는 적극적인 노력도 경주하고 있다. 그 이유는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은 에너지 자원 확보와 국제정치 행위자들의 영향력 증대 및 제 국가의 국제사회 위상 제고 등을 둘러싸고 21세기 새롭게 부각하는 러시아와 미국을 위시한 서방세계의 세력 각축장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의 추축국으로 인식되었던 우크라이나는 전통적인 배타적 영향력을 유지하려는 러시아와 소련 해체 이후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하는 미국 및 서방 세력이 충돌하며 '신냉전'적 세력경쟁의 양상이 표출되는 지역이다. 이 글은 러시아가 구사하는 군사안보차원의 전략과 정책은 무엇이며, 이것이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의 주요 국가인 우크라이나에서 어떻게 투사되고 있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표출되는 우크라이나 및 서방과 러시아의 갈등 요인은 무엇이며, 그 양상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가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에서의 민족-언어분규 연구 (The Study on Ethno-Linguistic Conflicts in the Post-Soviet space)

  • 정경택
    •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
    • 제64호
    • /
    • pp.191-217
    • /
    • 2019
  •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nflicts and disputes between titular nations and ethnic minority groups in the post Soviet countries where most of the policies were designed only for the titular nations. Most of the Post-Soviet countries supported a policy that a language of the indigenous national must be used as a lingua franca. This caused the resistance of minority people in the countries. Especially, the promotion of the language status and function as an indigenous national language resulted in discrimination in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areas of the ethnic minorities. In the 14 new independent countries except for the Russian Federation, the Russians became an ethnic minority. It led Russian peoples to emigrate out of the new independent country, creating a chaotic situation. In the Baltic region, Russians have descended to ethnic minorities, and the use of Russian language has also been banned. Thus there is a possibility of a conflict between the titular nations and Russians. The ethnic minorities in Moldova are also Russians, who constitute a de facto independent state, Transnistria. Another ethnic minority, the Gagauzes, compromised with the Moldovan government and formed a self-governing organization in the territory of Moldova.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of a conflict between the titular nations and Gagauzes. Ethnic minorities in the Caucasus region are the Abkhazians, Ossetians of Georgia, the Russians and Azerbaijani of Armenia, and the Russians and Armenians of Azerbaijan. The status of the Russians and Russian language in Armenia and Azerbaijan remains virtually unchanged, but the Russian-speaking regions of Abkhazia and South Ossetia in Georgia are still likely to experience ethnic and language disputes. Minorities in Central Asia are the Karakalpaks and Tajiks in Uzbekistan, and the Uzbeks in Kyrgyzstan (mostly in Osh Province) as well as the Russians and Koreans, who were Russian single language users and became ethnic minorities in the new environment.

중앙아시아 지역안보체제의 국제정치학적 의미 (Security system in Central Asia: Significance for International Relations)

  • 김용환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4호
    • /
    • pp.129-154
    • /
    • 2010
  • 본 논문의 목적은 소련해체 이후 중앙아시아 지역안보환경의 변화 양상과 중앙아시아 지역국가들이 참여하고 있는 다자간 협력기구들의 현황 및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중앙아시아 지역안보체제의 국제정치학적 의미를 규명하고, 중앙아시아 지역안보체제의 구축 전망을 제시하는데 있다. 중앙아시아는 일찍이 '유라시아의 발칸'으로 인식되었듯이 구(舊)체제에서 축적되고 독립 후 새로운 체제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각국 내부의 다양한 갈등 요소들과 상호간 분쟁 요소들, 그리고 강대국들의 전략적 이해관계가 중첩되고 있는 안보불안정 지역이다. 현실의 중앙아시아 지역안보는 미국을 위시한 서방의 이익을 대변하는 나토, OSCE 체제와 러시아를 중심으로 하는 포스트소비에트국가 간의 다자 및 양자협력 체제, 중국, 인도, 터키 등 역외 주요행위자들이 참여하는 다자협력기구들의 활동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그러나 중앙아시아 다자안보협력의 움직임들은 아직까지 어느 것도 범지역적 대표성을 획득하는 단계로까지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중앙아시아 각국 내부의 문제와 이들 국가 간의 갈등요소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않고서는 이 지역의 안보는 담보될 수 없으며, 편협하고 맹목적인 현실주의는 불안정 지역의 확산을 가져오고 유라시아대륙의 상당부분을 분쟁의 영구적인 근원으로 만들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미국, 러시아, 중국, EU 등 주요 행위자들의 전략적 판단과 선택은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시간의 형상: 이오시프 브로드스키의 「나비」와 폐허의 시 (The Form of Time: Iosif Bodsky's Butterfly and Poetry of Ruins)

  • 이지연
    •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
    • 제65호
    • /
    • pp.85-108
    • /
    • 2019
  • This paper analyzes Iosif Brodsky's poems dedicated to the ruins. These poems have common themes and structures and we can call it Iosif Brodsky's ruin-text which can give some hints on poet's views on time and space. First, we define the meaning of Brodsky's post-apocalyptic chronotop "after our era" and show that it can be an alternative time and space where the Soviet concept of linear time constructed on the sacred belief in the human progress is rejected. In the subsequent analysis of the series of poems that make up the ruin-text of Brodsky, we will show that the ruins are a self-sufficient space in which time and language are fully realized. Finally, analyzing the quintessential text of Brodsky's time philosophy "Butterfly" in the intertextuality with Osip Mandelshtam's poem on butterfly, we can show that the small marginal creature becomes the very entelechy of time a la Aristotle. Butterfly, oscillating between the form and material of time, realizes the factura of time, its substance,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Brodsky's poetry.

해외 무인 달 탐사 실패 사례 분석 (Unmanned Lunar Exploration Failure Case Analysis)

  • 양정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33-242
    • /
    • 2020
  • 인류의 달 탐사 역사는 1958년 미국의 파이오니아 0호 임무로 시작되었다. 이후 1950~1970년대 미국과 구소련 2개국이 수많은 실패를 겪으며 달 탐사 임무를 수행하였다. 1990년대 이후로 일본, 유럽, 중국 등 우주선진국들이 달 탐사를 수행하기 시작했고, 우리나라도 2016년부터 달 탐사를 위한 달 궤도선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본 논문은 1950~1970년대 미국과 구소련의 달 탐사의 실패사례 및 원인을 임무목적에 따라 분석하였고, 1990년대 이후 우주선진국들의 달 탐사 수행 시 발생한 사업지연, 사업중단, 임무실패 등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조사 및 분석한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가 진행 중이거나 향후 진행하게 될 달 탐사 임무수행에 참조가 되고자 한다.

후기 사회주의 체제전환 하의 해외 투자 기업 혁신 네트워크와 공간 특성 분석: 중국 상하이 한국 투자 기업 사례 연구 (Innovative Networks of Foreign Capital and Spatial Identity in the Post-socialist System Transformations: The Case of Korean FDI Firms in Shanghai, China)

  • 김부헌;이승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21-437
    • /
    • 2009
  • 1978년 개혁 개방 이후, 중국은 해외 자본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외생적 발전 전략'을 추진하였으나, 2000년 이후부터는 과학 기술 및 혁신 역량 강화에 초점을 둔 '내생적 발전 전략'을 추진하였다. 이제 중국에서의 기업 경영 활동은 선진 기술 및 경영 기법 이전을 촉진하는 새로운 제도와 조응하면서 차별적인 기업 혁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그 결과, 공간 경제의 성격은 초기 '수출 지향적 발전 공간'에서 '기술 지향적 발전 공간'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중국 후기 사회주의 체제전환의 대표적 사례 공간인 상하이에 입지한 한국 투자 기업의 혁신 네트워크 특성을 기업내, 기업 간, 기업 외 관계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기술 지향적 발전 공간'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한국 투자 기업의 기업 내 관계에서는 사적 네트워크를 공적 네트워크로 전환함으로써 혁신 창출의 가능성과 경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는 기업의 전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업 간 관계에서는 기업 규모, 산업 부문, 투자 유형 등에 따라서 차별적인 네트워크 특성을 보여주었다. 기업 외 관계는 외형적으로 제도적 개입 수준이 높은 공적 네트워크가 나타나고 있지만, 내면적으로는 ��시 관계(關係)에 기반을 둔 사적 네트워크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국 상하이의 공간적 특성은 외형적으로 '신 구제도 간의 상호작용과 구사회주의 체제 네트워크의 재구조화' 형태를 띠는 한편, 내면적으로 '신제도의 차단에 따른 구사회주의 체제 네트워크의 지속' 형태를 띠고 있어 '착근적' 성격과 '과잉 착근적' 성격이 함께 나타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