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itive psychological factors

검색결과 768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어 학습자의 심리적, 사회적 요인과 구어 통사 복합도 간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and syntactic complexity of L2 Korean speaking)

  • 김영주;백준오;이선진;오진희;정혜원
    • 한국어교육
    • /
    • 제28권2호
    • /
    • pp.1-36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and their syntactic complexity of speaking. The study collected samples of Korean spoken production of 61 learners with English, Chinese, Japanese and other L1 backgrounds and applied mini-TOPIK, mini-AMTB, and SASIQ for 70 minutes. The study found that: (i) integrative motiv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 number of simple complex clauses, but instrumental motivation correlated negatively with a number of adverbial clauses, indicating that high motivation hindered producing highly complex clauses although it triggered producing simple complex clauses, (ii) social contact with L2 native speake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general L2 development and a number of simple complex clauses, but revealed negative correlation with double or triple complex clauses, (iii) hours of L2 listening showed ver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ducing triple complex clauses and general proficiency, but indicated negative correlation with a number of simple complex clauses. The study reported that high motivation toward Korean learning and active social activities with Korean native speakers helped produce simple complex clauses while hours of listening to Korean helped produce triple complex clauses.

의복관여도에 따른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othing Behavior by Clothing Involvement)

  • 구양숙;추태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1-143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behavior of women and to in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behavior and clothing involvemen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rcentage, frequency, factor analysis, ANOVA, Scheffe tes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Five dimensions of clothing involvement were derived by factor analysis such as fashion, interest pleasure, symbolism, and perceived buying risk. 2.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clothing involvement dimension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family income level. Those who were younger and not married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among fashion, interest and pleasure of clothing involvement dimensions. Those who had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clothing involvement. Those who were empolyed showed higher clothing involvement with symbolism and perceived buying risk. 3. Ag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al background showed important variables as factors that exert influence on clothing behavior: Those who were younger and not married attached importance to interest aesthetics, psychological dependence, and fashion. Those who were older and married attached importance to modesty and comfort. The more educated respondents were more concerned about interest aesthetics, symbolism, psychological dependence, and fashion. 4. The fashion of clothing involvement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in fashion, interest, symbolism, and psychological dependence of clothing behavior, and negative relationship in modesty and comfort. The interest of clothing involvement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in aesthetics and interest, and negative relationship in modesty and comfort of clothing behavior. The pleasure of clothing involvement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in psychological dependence, management, interest, and pleasure of clothing behavior. The symbolism of clothing involvement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in symbolism, modesty, conformity, psychological dependence, and fashion of clothing behavior. The perceived buying risk of clothing involvement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in management, conformity, and comfort and negative relationship in symbolism and fashion of clothing behavior.

  • PDF

경호원의 심리요인이 임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Against the Effect of Performance Duty Practicing in Psychological Factors of Security Guard)

  • 송상욱;노정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48-62
    • /
    • 2009
  • Bodyguards always perform their duty with psychological burdens in their mind, not only because security situations are developed in various forms dependent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or circumstances, but because bodyguards only take follow-up actions while the criminal decides time, place, and style of every attack. Thus, in the security situation, it is not uncommon for bodyguards to experience muscle rigidity, uncontrollable emotional elevation, difficulty in concentration, negative perception, frustration and enervation, which are caused by continuous physical/mental burdens, stimulations by various interpersonal behaviors or minute environmental stimulants. In conclusion, the result of performing security duties is related in the first place with the degree of the bodyguard's potential, in the second place with the degree of training and efficiency. And the result can also be changed by the way they control their negative psychological state of the moment when they carry out the skills they acquired. Maximizing the performance of the bodyguards by helping them overcome these psychological factors may be facilitated by detecting their psychological factors, understanding the causes, and training them in applying appropriate measures for overcoming these factors. When these measures are applied, the positive perception is indispensable that duties of protecting clients can be carried out successfully. No single measure can be declare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 because the effect of each measure is expressed differently b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bodyguards. However, it is important to select and apply the measures most appropriate to the bodyguard. Besides, they should devote themselves to the training with persistence because efficient implement of the measures for overcoming psychological factors takes a lot of time.

  • PDF

은퇴자와 예비은퇴자의 은퇴준비, 긍정심리자본 및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 (Preparation for retirement of retirees and prospective retir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Relationship to successful aging)

  • 이상주;김정훈;제갈선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267-274
    • /
    • 2020
  • 본 연구는 은퇴자와 예비은퇴자를 대상으로 은퇴준비, 긍정심리자본 및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은퇴자와 예비은퇴자 예비은퇴자들의 성공적 노화를 증진시키고, 긍정심리자본을 증가시켜 바람직한 노후시간을 가질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구조적 관계분석으로 전국에서 은퇴를 준비하거나 은퇴한 은퇴자와 예비은퇴자 5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4월 1일부터 4월 20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20.0과 AMOS 9.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관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은퇴자와 예비은퇴자의 은퇴준비는 성공적 노화에 부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은퇴준비도는 긍정심리자본의 탄력성, 자기효능감은 매개로 성공적 노화의 자아수용, 자율적 삶의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긍정심리자본의 긍정적인 심리요인은 은퇴준비 불안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은퇴자와 예비은퇴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가능하게 해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은퇴준비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긍정심리자본을 확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편성과 운영이 필요하다.

명품구매동기와 사용혜택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인과구조 모형 분석 (On the purchase of luxury motivation factors and use benefits Causal Structure Model Analysis)

  • 염동섭;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281-287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 소비자들의 명품 소비행동과 관련된 요인들로 밝혀진 구매동기요인 및 사용혜택요인들을 중심으로 구매의도에 미치는 인과구조적 관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분석을 토대로 한국인의 명품구매동기와 사용혜택요인들에 대한 요인구조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명품 구매의도와 어떤 관계성이 있는 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비자들이 명품을 구매하는 동기와 명품을 사용함으로써 얻는 혜택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물질적 동기는 경제적 혜택과 실용적 혜택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동기는 개인적 혜택과 사회적 혜택 및 경제적 혜택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들의 명품 구매동기 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물질적 동기는 유의미한 영향이나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심리적 동기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명품 사용 혜택요인들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개인적, 경제적, 실용적 혜택요인들은 유의미한 영향이나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회적 혜택요인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요인들 간의 매개효과 측면을 확인한 결과, 심리적 동기만이 사회적 혜택요인을 통한 구매의도와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소비자들의 명품구매행동을 설명하는데 구매동기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단순한 직선관계뿐만 아니라 명품을 사용함으로서 얻게 되는 혜택요인에 대한 지각이 매개되어 나타나는 간접적 과정을 설명했다는 점에 가치가 있으며, 향후 명품관련 마케팅 담당자들에게 소비자들의 이러한 심리적 특성을 고려해야만 하는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혈액종양내과 병동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죽음인식이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Death Awareness on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Hematooncology Unit Nurses)

  • 정서연;김정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2권2호
    • /
    • pp.77-86
    • /
    • 2019
  • 목적: 본 연구는 혈액종양내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과 죽음인식을 확인하고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임종간호 수행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시에 소재한 일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혈액종양내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127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설문지를 통해 긍정심리자본, 죽음인식, 임종간호수행을 조사하였고, 기술 통계, 피어슨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긍정심리자본과 죽음인식, 임종간호 수행 간에는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긍정심리자본의 하위 영역 중 희망, 회복탄력성, 지난 1년 이내 가족, 친척 또는 친구의 죽음 경험이었으며 임종간호 수행에 대한 설명력은 32.1%로 나타났다. 결론: 혈액종양내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하여 희망과 회복탄력성을 포함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창의성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Mediating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Creativity)

  • 최익성;장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571-3586
    • /
    • 2014
  • 본 연구는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개인 창의성을 관계를 파악하고,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개인 창의성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국내 12개 기업의 구성원 및 리더들을 대상으로 웹과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으며, 418부를 회수하여 유효하지 않은 설문을 제외하고 332부 샘플을 중심으로 구조방정식모델(S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긍정심리자본은 내재적 동기와 개인 창의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내재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개인 창의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내재적 동기는 긍정심리자본과 개인 창의성을 부분매개하면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개인 창의성을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개인 창의성 발휘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요소 중 내재적 동기에 집중하여 이를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심리적 정서적 기제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각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이론적 시사점과 함께 조직 구성원의 개인 창의성 발휘를 위해 조직 차원의 실무적 시사점을 얻었으며,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에 제시하였다.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애정·합리적 양육태도가 아동의 귀인양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Affectionate-Rational Parenting on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 한아름;한세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9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mothers'psychological control, affectionate-rational parenting and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psychological control, affectionate-rational parenting on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were also explored.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53 children from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Data were analyzed through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 22.0.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for negative event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control but negatively associated with affectionate-rational parenting. Moreover, attributional style for positive event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only affectionate-rational parenting. Second, affectionate-rational parenting significantly influenced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for both negative events and positive events. Fin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psychological control and affectionate-rational parenting on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for negative events were observed.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affectionate-rational parenting are important factors in explaining children's attributional style. Such results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resource in develop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or intervention programs for attributional style.

Impa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 Case Study in Vietnam

  • NGO, Trung Thanh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5호
    • /
    • pp.495-503
    • /
    • 2021
  • Business leaders have made great efforts to increase their organizations' competitive capability, and raising employees' job performance is considered as one of the essential solutions. Thus, it is vital to properly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job performance since this will be the basis for managers to propose recommendations to increase employees' job performance. The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employees in Vietnam, a developing country in South-East Asia. In this study, psychological capital is considered as a high-order construct. The mixed research method is used in this stud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s used to form the official survey questionnair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is used for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cepts. Research data are collected from 848 interviewees via both face-to-face and email surveys. The findings show that psychological capital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job performance. In particular, job satisfaction shows the mediating role in the impact of employees' psychological capital on their job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also provides recommendations related to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assisting managers to increase employees' job performance.

재창업자의 긍정심리자본이 흡수역량을 통해 의사결정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Quality of Decision-Making through Absorption Capacity of Re-founders)

  • 전정구;서영욱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6호
    • /
    • pp.155-166
    • /
    • 2020
  • 본 연구는 재창업기업 대표를 대상으로 재창업자의 긍정심리자본 요인인 자기효능감, 희망, 회복탄력성이 흡수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재창업자의 흡수역량이 의사결정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재창업자에게 심리적 요인들 중 긍정심리자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하는 궁금함에서 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으로부터 재창업 지원자금을 받은 재창업기업 대표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조사한 144명의 표본자료를 SPSS 24.0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을 Smart PLS 3.0을 활용하여 구조모형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재창업자의 심리적 특성인 긍정심리자본을 자기효능감, 희망, 회복탄력성의 3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잠재적 흡수역량과 실행적 흡수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잠재적 흡수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행적 흡수역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희망은 잠재적 흡수역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행적 흡수역량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은 잠재적 흡수역량 및 실행적 흡수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잠재적 흡수역량 및 실행적 흡수역량은 의사결정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과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