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tal Search Volum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4초

네이버 데이터랩 검색어 트렌드 서비스를 이용한 온라인 포털에서의 한약재 검색 트렌드와 의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Trend and Meaning of Searching for Herbal Medicines in Online Portal Using Naver DataLab Search Trend Service)

  • 김영식;이승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14
    • /
    • 2021
  • Objectives : From January 2020, when the first confirmed case of COVID-19 in Korea, the use of health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is expected to increase.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significant change in the general public's interest in Korean herbal medicines for health care.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search trend of Korean herbal medicines after the COVID-19 epidemic. Methods : Using the "Naver DataLab (http://datalab.naver.com)" service of a Korean portal site Naver, search volume was investigated with 606 Korean herbal medicines as keywords. The search period was from January 2020, right after the onset of COVID-19, to June 2021. The search results were sorted by the peak search volume and the total search volume. Results : 'Cheonsangap (천산갑, 穿山甲, Manitis Squama)' was the most searched Korean herbal medicine in the peak search volume and total search volume with least bias. Conclusions : The problem of supply and demand of Korean herbal medicines of high public interest was identified. Broadcasting and media exposure were the factors that had a big impact on the search volume for Korean herbal medicines. As it was confirmed that the search volume for Korean herbal medicines increased rapidly due to media expos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rrect information about Korean herbal medicines, improve public awareness, and manage stable supply and demand based on continuous search trend monitoring.

포털 검색 강도가 주가 급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Portal Search Intensity on Stock Price Crash)

  • 김민수;권혁준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3-168
    • /
    • 2017
  • 최근 주식의 수익률과 거래량을 설명하는 요인 중 하나로 투자자들의 관심이나 주식관련 정보 전파의 효율성 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또한 기업관련 정보가 투자자들에게 투명하게 전파되지 않을 때 기업 주가의 급락(crash)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들이 축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네이버 트렌드를 이용하여 포털에서의 검색 강도가 증가하는 것이 주식 수익률의 급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다양한 주가급락 위험의 측정변수와 검색 강도 측정치를 이용한 분석에서 포털 검색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기업-연도에서 주가 급락의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 관련 정보 전파가 투자자들에게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미래의 주가급락을 초래한다는 논의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분석에 발생가능한 내생성을 통제한 후에도 유의하게 성립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온라인 포털에서 한약재 검색 트렌드와 의미에 대한 고찰 (A study of Search trends about herbal medicine on online portal)

  • 이승호;김안나;김상현;김상균;서진순;장현철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3-100
    • /
    • 2016
  • Objectives : The internet is the most common method to investigate information. It is showed that 75.2% of Internet users of 20s had health information search experience. So this study is aim to understanding of interest of public about the herbal medicine using internet search query volume data.Methods : The Naver that is the top internet portal web service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provided an Internet search query volume data from January 2007 to the current through the Naver data lab (http://datalab.naver.com) service. We have collected search query volume data which was provided by the Naver in 606 herbal medicine names and sorted the data by peak and total search volume.Results : The most frequently searched herbal medicines which has less bias and sorted by peak search volume is 'wasong (와송)'. And the most frequently searched herbal medicines which has less bias and sorted by total search volume is 'hasuo (하수오)'.Conclustions : This study is showed that the rank of interest of public about herbal medicines. Among the above herbal medicines, some herbal medicines had supply issue. And there are some other herbal medicines that had very little demand in Korean medicine market, but highly interested public. So it is necessary to monitor for these herbal medicines which is highly interested of the public. Furthermore if the reliability of the data obtained on the basis of these studies, it is possible to be utilizing herbal medicine monitoring service.

뉴 미디어 시대 패션소비자의 정보 탐색과 공유 (Fashion consumers' information search and sharing in new media age)

  • 신현주;이규혜
    • 복식문화연구
    • /
    • 제26권2호
    • /
    • pp.251-263
    • /
    • 2018
  • As mobile shopping has increased in the new media age, fashion consumers' decision making and product consumption processes have changed. The volume of consumer-driven information has expanded since media and social networking sites have enabled consumers to share information they ob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information searching strategies and information sharing about fashion products. An online survey collected data from 466 respondents, relating to the influence of product price level and consumer SNS commitment level on information search and information sharing. Experimental design of three product price level and two consumer SNS commitment level was used. Analysis of the data identified factors in fashion information searching as ongoing searching, prepurchase web portal information search, and prepurchase marketing information search. For low-price fashion products, prepurchase product-detail influenced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For mid-priced products, ongoing search significantly affected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Both ongoing search and prepurchase marketing information search showed significant effects for high-price products. Consumers who are more committed to SNS engaged in significantly more searching in all aspects of information search factor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detected for consumer SNS commitment level and product price level. When consumers with low consumer SNS commitment search for information on lower-priced fashion products, they are less likely do a prepurchase web portal information search.

한국 포털 사이트 검색강도가 주가 동조성 및 위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rtal Search Intensity on Stock Price Synchronicity and Risk: Evidence from Korea)

  • 김민수;허몽하;권혁준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25-141
    • /
    • 2020
  • 최근의 연구들에서는 투자자들의 관심이나 감정이 주식 거래행태와 주가 변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투자자들의 관심과 감정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의 네이버 검색지수를 이용하여, 포털 검색량과 검색의 변동성이 주가동조성 및 총위험, 체계적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평균적인 검색량이 증가할수록 주가동조성은 증가하는 반면, 검색의 변동성은 주가동조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다음으로 평균 검색량과 검색의 변동성은 모두 주식의 총위험과 체계적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주가를 변동시키는 사건이 발생할 경우에만 개인투자자들의 검색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포트폴리오 분석, 고정효과 회귀분석 및 동적 패널 모형에서 일관되게 관찰된다.

족저 근막염의 계절성에 대한 인터넷 검색어 데이터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의 연관성 (Correlation between Internet Search Query Data and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Data for Seasonality of Plantar Fasciitis)

  • 황석민;이금호;오승열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26-132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are seasonal variations in the number of plantar fasciitis cases from the database of the Korean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and an internet search of the volume data related to plantar fasciitis and whether there are correlations between variations. Materials and Methods: The number of plantar fasciitis cases per month was acquired from the Korean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9. The monthly internet relative search volumes for the keywords "plantar fasciitis" and "heel pain" were collected during the same period from DataLab, an internet search query trend service provided by the Korean portal website, Naver. Cosinor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easonality of the monthly number of cases and relative search volumes, and Pearson and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Results: The number of cases with plantar fasciitis and the relative search volume for the keywords "plantar fasciitis" and "heel pain" all showed significant seasonality (p<0.001), with the highest in the summer and the lowest in the winter. The number of cases with plantar fasciitis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relative search volumes of the keywords "plantar fasciitis" (r=0.632; p<0.001) and "heel pain" (r=0.791; p<0.001), respectively. Conclusion: Both the number of cases with plantar fasciitis and the internet search data for related keywords showed seasonality, which was the highest in summer. The number of cas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internet search data for the seasonality of plantar fasciitis. Internet big data could be a complementary resource for researching and monitoring plantar fasciitis.

온라인 포털에서의 주요 비급여 한의치료 검색 트렌드와 그 의미에 대한 고찰: 네이버 데이터랩을 이용하여 (A Study on Major Uninsured Korean Medicine Treatments Search Trends and Their Meanings in an Online Portal: Using Naver Data Lab)

  • 권찬영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74-86
    • /
    • 202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arch trends and their meanings for major uninsuired Korean medicine (KM) treatments through analysis of an online portal search results. Methods: Keywords searches were performed using Naver Datalab on 4 July 2023. From January 2016 to June 2023, monthly relative search volume (RSV) for keywords 'pharmacopuncture', 'Chuna', and 'needle-embedding therapy', and 'herbal decoction' were extracted with a score between 0 and 100. For the obtained RSVs, longitudinal changes over tim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ex and age group, and correlations between them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ranking of RSV for each keyword has changed from 'Chuna', 'herbal decoction', 'needle-embedding therapy', and 'pharmacopuncture' to 'Chuna', 'herbal decoction', 'pharmacopuncture', and 'needle-embedding therapy' after 2019. Overall, the RSV of needle-embedding therapy continuously decreased, while that of pharmacopuncture continuously increased. In 2019, a rapid increase in the RSV of Chuna was observed, and in 2020, a rapid increase in the RSV of herbal decoction was observe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 of RSV for the keywords by age group. Importantly, in the elderly, changes in RSV were observed in a favorable pattern to KM treatment. Conclusion: Our findings enable estimation of the public's interest and its changes for the four uninsuired KM treatment,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trengthen health insurance coverage in Korea. Specifically, changes in interest in KM treatments according to sex and age can be referred to.

RAID 시스템의 Log 관리에 의한 서버효율성 향상기법연구 (Scheme for Raising Effectiveness of Servers by Log Management of RAID System)

  • 박우영;김재중;곽계달;신승중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55-956
    • /
    • 2009
  • 이 Paper는 Server 솔루션에서 사용되는 RAID 컨트롤러가 Disk 상의 에러(Error)를 처리하는 behavior를 분석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RAID Level 중에 가장 기본인 RAID 0는 주로 Internet portal site의 Search Engines 이나 Media streaming Servers, 그리고 HD 영상 편집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Fault tolerance가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Data Volume(logical Disk)의 보존성이 약한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것을 개선하고 Data 보존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디지털 빅데이터를 이용한 영상컨텐츠 수요예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Demand Prediction Model for Video Contents Using Digital Big Data)

  • 송민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31-37
    • /
    • 2022
  • 영화 시장에서 흥행을 기록하는데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관련 산업의 리스크를 줄이고 영화 산업을 발전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흥행에 영향이 있는 독립변수들의 상관의 정도를 찾아내기 위해서 먼저 AHP 기법을 이용한 영화전문가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측정요인별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보급과 사용의 증가로 검색 포털 및 SNS 관련 빅데이터에서 도출된 요인이 영화흥행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앞에서 언급한 전문가 서베이 정보와 빅데이터를 모두 반영한 예측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모형의 예측의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 데이터를 가지고 검증한 결과 기존모형보다 향상됨(10.5%)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제안한 모형은 영화제작사 및 배급사들의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소셜미디어 분석을 통한 소비자들의 L-글루타민산나트륨에 대한 인식 조사 (Consumers Perceptions on Monosodium L-glutamate in Social Media)

  • 이수연;이원성;문일철;권훈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53-16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콘텐츠를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정성적으로 분석함으로써 L-글루타민산나트륨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 1년 (2013.7~2014.6)의 기간 동안 네이버와 카페에서 작성된 글들을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문서들을 무료 텍스트 분석 소프트웨어인 TONK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블로그와 카페에서 작성된 글들은 주로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사용과 관련된 음식점 후기 및 MSG (L-글루타민산나트륨)-무첨가 제품에 대한 홍보 내용을 담은 글들로 파악되었으며, 기타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안전성 또는 식품첨가물 제거법에 대한 내용으로 파악되었다. 두 번째로, 네이버 트렌드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L-글루타민산나트륨에 대한 검색량 증가 구간에 발생한 언론보도 사건을 조사하였다. PC 검색량의 경우 총 5개 증가 구간 중 3개의 구간에서, 모바일 검색량의 총 9개 증가 구간 중 6개의 구간에서 시사 프로그램에서 L-글루타민산나트륨에 대해 보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구간에서는 일간지나 TV 뉴스로 기사를 보도한 구간들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안전성 발표를 보도한 연합뉴스의 댓글을 분석하였다. 공감수 100개 이상인 댓글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안전성, 질 낮은 재료의 사용 지적, MSG (L-글루타민산나트륨) 과다사용에 대한 우려, 정부 불신을 표현하는 댓글들이 파악되었다. 시판 제품들의 표시사항을 분석한 결과, 일일섭취허용량을 설정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안전한 식품첨가물임에도 불구하고 L-글루타민산나트륨을 첨가하지 않은 제품들은 L-글루타민산나트륨 무첨가라는 표시를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국가기관,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에서 MSG 미사용을 원칙으로 제도를 운용하고 있어 이러한 정책이 산업계와 소비자 인식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고려해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대체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여 검색하거나 관련 제품을 구매하고자 할 때 L-글루타민산나트륨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인식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L-글루타민산나트륨의 과다 사용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V 시사 프로그램에서 방송하거나 일간지 또는 TV 뉴스에서 기사를 보도할 경우 네이버 검색량이 증가하였으며, 검색량 증가구간은 PC 환경에서보다는 모바일 환경에서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L-글루타민산나트륨과 관련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소비자들이 관심있어 하는 방송프로그램, 뉴스 프로그램 등 언론을 활용하고, PC보다는 모바일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접근한다면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