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k leg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9초

돈육 뒷다리부위와 닭가슴살을 활용하여 제조한 수리미의 특성에 미치는 pH 조절의 영향 (Effects of pH Adjustment on Characteristics of Surimi Using Pork Leg and Chicken Breast.)

  • 진상근;김일석;양한술;박구부;최영준;신택순;김병균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28-734
    • /
    • 2007
  • 원료육(돈육 뒷다리 및 닭가슴살)에 따라 pH 조절법(3.0 또는 11.0)으로 제조한 수리미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돈육 뒷다리를 활용한 pH 3.0으로 조절한 수리미는 높은 조단백질 함량, 수율, 보수력을 보였으나, 적색도, 황색도, Mb 및 metMb 함량이 높고(P<0.05) 백색도, 근원섬유단백질, 파괴강도, 변형값 및 겔강도가 낮아(P<0.05)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쳤다. 돈육 뒷다리를 활용한 pH 11.0으로 조절한 수리미는 높은 조직 특성과 낮은 Mb 및 metMb 함량으로 인해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나, 가열감량이 낮고 파괴강도, 변형값 및 겔강도가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닭가슴살을 활용한 pH 3.0으로 조절한 수리미는 높은 조단백질 함량, 수율, pH, 파괴강도, 변형값, 겔강도 및 명도를 보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나(P<0.05), 근원섬유단백질, 적색도 및 metMb 함량이 높고 수리미의 조직 특성이 낮아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쳤다(P<0.05). 닭가슴살을 활용한 pH 11.0으로 조절한 수리미는 근원섬유단백질, 변형 값, 명도, 백색도 및 응집성이 높고 Mb 함량, 가열감량, 조단백질 함량, 수율 및 파괴강도 값이 낮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색 및 겔 특성을 기준으로 수리미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면, 돈육 뒷다리에 비해 닭가슴살의 활용이 명도, 백색도, 파괴강도, 변형값 및 겔강도 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pH 3.0에 비해 pH 11.0으로 회수한 수리미에서 높은 백색도, 근원섬유단백질 함량 및 응집성을 보였다. 그러나 모든 수리미 샘플의 관능평가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돈육 뒷다리 및 닭가슴살을 활용한 pH 조절법으로 회수한 수리미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Effects of Excluding Animal Products from the Diet on Sensory Properties of Pork from Pigs Grown in New Zealand as Assessed by Singaporean Panelists

  • Leong, Jasmine;Purchas, Roger W.;Morel, Patrick C.H.;Wilkinson, Brian H.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호
    • /
    • pp.122-130
    • /
    • 2010
  • Sensory analyses of pork samples from leg muscles of female pigs raised in New Zealand (n = 17) were conducted using trained and untrained Singaporean panelists. The New Zealand pigs included three dietary groups, with one diet including animal products (NZA), and two containing plant products only (NZP & NZP+), with the NZP+ diet containing a supplement (0.614%) containing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selenium, and vitamin E. The New Zealand pork was also compared with Indonesian pork as local reference samples (n = 6). Pork samples from the NZA group had the highest score for mutton flavour and aftertaste, and the lowest score for brothy aroma, brothy flavour, meaty flavour, lightness and juiciness by trained sensory panels. Samples from NZP and NZP+ were similar except the NZP+ group had a stronger stale flavour than the NZP group (1.34 vs. 0.57 on a 100-point scale; p<0.05).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s of a discriminant analysis based on trained-panel scores for 14 attributes accounted for 95.4% of the variance, with function 1 (83.7%) being related mainly to mutton aroma, mutton flavour and aftertaste. Based on a 20-member untrained panel, the NZA pork had the highest mutton aroma and mutton flavour intensities (p<0.01) and aroma and flavour that was less acceptable than that from the NZP group (p<0.05). The acceptability scores of Indonesian pork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New Zealand pork, but its scores for mutton aroma and mutton flavou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ZP. Overall acceptabil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ceptability of aroma (r = 0.906), juiciness (r = 0.888), and tenderness (r = 0.904), but negatively associated with intensities of mutton aroma (r = -0.478) and flavour (r = -0.551).

필리핀 돼지고기 시장 분석 및 수출 전망 (A Study on the Pork Market Analysis of the Philippines and the Export Prospect of Korea Pork)

  • 곽영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91-49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필리핀의 돼지고기 시장을 분석하고 향후 우리나라 돼지고기의 대필리핀 수출 전망을 가늠해 보고자 필리핀의 돼지고기 생산 및 수급현황, 돼지고기 가격, 돼지고기 수입현황 등에 관한 현지 조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수출 전망을 하였는 바,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필리핀에서 소비되는 육류 중에서 돼지고기의 소비가 가장 많으나, 기후여건이 돼지 사육에 불리하고 생산기술이 발달되지 못하여 매년 소비량 중에서 일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대필리핀 주요 수출국은 독일, 캐나다, 벨기에, 덴마크, 네덜란드, 프랑스 등이다. 2. 2004년 1월부터 10월까지 우리나라의 대필리핀 수출물량은 2,885톤으로 필리핀이 돼지고기를 수입하는 주요 13개국 중 8위이며, 전체 수입량의 5.1%를 차지하고 있다. 3. 필리핀에서 돼지고기 소비자 판매 가격은 박피가 탕박에 비해서 20% 높았으며, 국내 가격이 필리핀에 비해서 삼겹살은 281%, 등심은 118%, 후지는 106%, 안심은 117%가 높았다. 4. 향후 우리나라가 필리핀에 수출할 수 있는 돼지고기부위 및 물량은 전적으로 국내에서 형성되는 돼지고기의 부위별 가격에 달려 있으나, 필리핀의 돼지고기 소비자 가격 등을 고려할 때 후지 등 일부 저급 부위와 부산물이 해당될 것이며, 물량은 많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소비 부진 등에 따른 양돈업 불황에 대비하기 위하여 수출 시장 다변화 차원에서 지속적인 수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꿩의 도체분석 및 꿩고기 가공제품의 관능 특성 (Analysis of Pheasant Carcas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heasant meat Products)

  • 전홍남;최성희;오홍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07-315
    • /
    • 1998
  • To develop processed meat products of pheasant, cut-up parts of pheasant carcass was analyzed, and eight different pheasant meat products were prepared and evaluated for sensory qualities. The average live weight of pheasant was 1,089.2g, and the ratio of carcass to live weight was 75.6%. The cut-up part ratios of breast, leg, neck, back and wings to carcass weight were 33.4%, 22.5%, 5.0%, 4% and 9.5%, respectively.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breast and leg meat were shown to be moisture of 73.72% and 75.58%, protein of 25.31% and 22.69%, fat of 0.28% and 0.83%, and ash of 0.84% and 0.90%, respectively. Sensory evaluation of eight different meat products of pheasant revealed that all products of pheasant meat, except frankfurt sausage, received equal or better taste score compared with products of chicken or pork, and flavor score except pressed ham and salad. Color, binding ability and particle perception scores of pheasant meat products were equal or superior to those of respective meat products of chicken or pork.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pheasant meat has a potential to be utilized for various value-added products and that the meat bun is the most promising product of pheasant meat. A reinforcement of color, binding ability and particle perception of meat products of other species could also be expected by addition of pheasant meat to them.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Biogenic Amines and Volatile Basic Nitrogen in Fresh Beef, Pork, and Chicken Meat

  • Min, J.S.;Lee, S.O.;Jang, A.;Jo, C.;Park, C.S.;Lee,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8호
    • /
    • pp.1278-1284
    • /
    • 2007
  • Changes in the concentrations of biogenic amines (BAs) in fresh beef, pork, and chicken breast and leg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volatile basic nitrogen (VBN) and BAs was evaluated.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the levels of putrescine (PUT), cadaverine (CAD) and tyramine (TYM) increased in all the meat samples, except for TYM in beef (p<0.001). The level of BAs in beef, pork and chicken changed but the extent of these changes was different among the kinds of BAs and meats. Measurement of the VBN content was confirmed as a good index for interpreting the specific BAs content in general, such as PUT, CAD, and TYM, as well as evaluating a meat's freshness during storage. However, the kinds of BAs which can be predicted from the VBN content varied in different meats (p<0.05).

돈육 후지를 머리고기로 대체한 햄버거 패티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placing Pork Hind Leg with Pork Head Meat for Hamburger Patties)

  • 최윤상;전기홍;구수경;성정민;최현욱;서동호;김천제;김영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8-64
    • /
    • 2016
  • 본 연구는 돈육 후지 부위를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머리고기로 대체한 햄버거 패티의 품질 특성을 파악하여, 경제적이면서 고품질의 햄버거 패티를 개발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분 함량, 명도, 적색도, 황색도, 가열수율 및 보수력은 머리고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으나, 지방 함량 및 회분 함량은 대조구와 머리고기를 첨가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머리고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단백질 함량, pH, 직경감소율, 두께감소율 및 전단력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적 특성도 색 및 풍미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15%까지 머리고기를 첨가한 처리구(T1, T2, T3)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머리고기를 10%까지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활용도가 낮은 돈육 부산물 중 머리고기를 활용하여 햄버거 패티를 제조할 시 머리고기의 첨가량이 10%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햄버거 패티의 품질 및 관능적으로 우수한 식육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생강 및 인삼 분말 첨가가 돈육포의 휘발성 염기태 질소, 미생물 수 및 관능평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and Supplementation with Ginger and Ginseng Powder on Volatile Basic Nitrogen, Aerobic Plate and Sensory Evaluation of Pork Jerky)

  • 황은경;오동엽;김병기;김수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40-248
    • /
    • 2014
  • 본 연구는 돈육 중의 후지육을 이용하여 천연 향신료인 생강 및 인삼 분말을 첨가비율별로 처리(무처리 대조구, T1구(A-생강 분말 0.1% 첨가, B-인삼 분말 0.1% 첨가), T2구(A-생강 분말 0.2% 첨가, B-인삼 분말 0.2% 첨가), T3구(A-생강 분말 0.3% 첨가, B-인삼 분말 0.3% 첨가)하여 돈육포를 제조한 후, 저장기간에 따른 VBN, 미생물 수 및 관능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돈육포의 VBN 함량은 대조구와 처리구간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내었고(p<0.01),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VBN 함량과 총 세균수 및 대장균 수도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처리구에 상관없이 생강 분말 첨가군(A)이 인삼 분말 첨가군(B)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1). 돈육포의 관능평가의 경우, 육색과 맛은 처리구에 상관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저장 2주째에 가장 높아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고(p<0.05), 그 이후는 서서히 낮아졌다. 특히 육색의 경우, T1구의 A군이 다른 처리구보다 크게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돈육포 제조 시 생강 분말 첨가는 미생물의 증식 억제에 다소 영향을 미치며, 육포 제조 후 2주째에 가장 맛이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돼지뼈를 이용한 Brown Stock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own Stock made with Pork Bone)

  • 김용식;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0-215
    • /
    • 1999
  • 본 연구는 서양조리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brown sauce의 주재료인 brown stock을 만들 때 돼지뼈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유리아미노산중 aspartic acid의 함량은 돼지뼈로 만든 brown stock이 0.42mg% 로 돼지뼈와 소뼈로 만든 brown stock의 0.37mg%와 소뼈로 만든 brown stock의 0.18 mg% 보다 높았다. 그리고 glutamic acid, glycine, arginine, proline의 함량은 돼지뼈와 소뼈+돼지뼈로 만든 brown stock이 소뼈로 만든 것보다 많았는데, 유의수준 p<0.05에서 차이를 보였다. 세 종류 brown stock의 무기질 함량을 분석한 결과 K>Na>P의 순이 었고, 돼지뼈로 만든 brown stock의 Na, Ca, Fe, Mg 함량은 다른 시료 보다 유의수준 p<0.05에서 차이를 보이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젤라틴 함량은 돼지뼈를 1:1로 함께 이용한 시료가 152.40$\pm$13.80mg%, 소뼈로 만든 시료가 136.90$\pm$8.90mg%로 돼지뼈만으로 만든 brown stock 보다 함량이 적었는데, 유의수준 p<0.05에서 차이를 보였다. 환원당 함량도 시료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돼지뼈로 만든 시료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소뼈+돼지뼈, 소뼈로 만든 시료의 순이었다. 탁도는 시료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소뼈로 만든 것이 가장 투명하였고, 돼지뼈로 만든 것이 가장 불투명하였다. 점도는 소뼈로 만든 것이 2.20$\pm$0.11 mPas로 가장 낮았으며, 돼지뼈로 만든 것이 2.65$\pm$0.15mPas로 가장 높았다. Hunter's color value에서 “L”값은 소뼈+돼지뼈로 만든 것이 21.80으로 세 종류 brown stock 중 가장 높았고 돼지뼈로 만든 것이 8.59로 가장 낮았다. “a”값은 소뼈+돼지뼈로 만든 brown stock이 2.51로서 다른 두 종류의 brown stock보다 높았고 돼지뼈로 만든 것은 0.09로 낮았으나 “b”값은 소뼈+돼지뼈로 만든 brown stock이 8.35로서 “L”,“a”값과 유사하게 세 종류의 brown stock 중 가장 높았다. 뼈의 종류를 달리한 brown stock의 관능평가 결과 냄새는 소뼈로 만든 brown stock이 돼지뼈, 소뼈+돼지뼈로 만든 것 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유의수준 p<0.001에서 차이를 보였다. 점도는 소뼈>소뼈+돼지뼈>돼지뼈의 순으로 기호도가 높았으며, 입안에서의 느낌과 전체적인 맛 역시 소뼈로 만든 brown stock이 유의수준 p<0.001에서 차이를 보이며, 조금 높게 나타났다.

  • PDF

돼지 뒷다리 주요 근육과 등심근육으로 제조된 햄의 품질 특성 (Quality Attributes of Cooked Pork Hams Manufactured with Major Hind Leg Muscles and Longissimus dorsi)

  • 성필남;조수현;김진형;하경희;박범영;김동훈;이종문;안종남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0-164
    • /
    • 2008
  • 돼지 뒷다리 부위 주요 근육 4개와 등심 근육으로 제조 된 햄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햄 제조에 사용된 원료육의 pH는 Longissimus 근육과 다른 4개의 뒷다리 부위 근육들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햄 제품의 pH에서는 Longissimus 근육 햄에 비해 Rectus femoris 근육 햄이 유의적으로 높은 pH를 나타내었으며(p<0.05), Longissimus 근육 햄의 pH 값이 가장 낮았다(p<0.05). 일반성분을 비교한 결과, 단백질 함량에서만 Longissimus 햄이 Rectus femoris, Semimembranosus, Gluteus medius 근육으로 제조된 햄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제품색 특성 중 Hunter L 값은 Longissimus dorsi 근육이 가장 높았으며, Rectus femoris, Gluteus medius 근육이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Hunter a값은 Rectus femoris, Biceps femoris, Gluteus medius 근육으로 제조된 햄들이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Longissimus 근육 햄에서 가장 낮았다(p<0.05). 조직감을 조사한 결과, 경도, 탄력성, 응집성, 검성, 씹힘성 모두 근육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지않았다(p>0.05). 근육 햄들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육안적 색도, 맛, 조직감은 근육간 차이가 없었으며(p>0.05), 풍미는 Semimembranosus 근육으로 제조된 햄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Gluteus medius 근육으로 제조된 햄이 가장 낮았다(p<0.05).

Genetic and phenotypic relationships of live body measurement traits and carcass traits in crossbred pigs of Korea

  • Do, Chang-Hee;Park, Chan-Hyuk;Wasana, Nidarshani;Choi, Jae-Gwan;Park, Su-Bong;Kim, Si-Dong;Cho, Gyu-Ho;Lee, Dong-Hee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3호
    • /
    • pp.229-236
    • /
    • 2014
  • This study presents the estimates of heritabilities of body measurement traits and carcass traits, and genet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of those traits for crossbred pigs in Korea. Body and ultrasound (A mode: Piglog 105) measurements in 221 pigs including body weight, length, height and width, three back fat thickness at the points of 4th, 14th rib and chine bone, eye muscle area and lean meat percent were collected at the ages of 70, 145 and 180 days and then slaughtered to measure carcass weight, back fat, belly, collar butt, spare rib, picnic shoulder, hind leg, loin, tenderloin, lean meat yield and intramuscular rough fat content in loin. Genetic analysis was done using a multi-trait animal model. Heritabilties of the body measurements were ranged from 0.331 to 0.559 and three measurements of back fat thickness were also high as range varying from 0.402 to 0.475 for the ages of 145 and 180 days. However, eye muscle area was moderate (0.296) at the age of 180 days. Heritabilities of retail cut yields were also high as ranged from 0.387 to 0.474 and of IMF content in loin was 0.499. Heritabilities of the cut percent traits were ranged from 0.249 to 0.488. Important positive genet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were noted for all carcass yield traits (0.298 to 0.875 and 0.432 to 0.922, respectively). IMF showed low negative genetic correlations with carcass yield traits, such as carcass weight, picnic shoulder, hind leg, loin, tenderloin and lean meat yield whereas low positive genetic correlations with back fat, belly, collar butt and spare rib. Loin, tenderloin and lean meat percent showed negative genetic correlations with carcass weight, back fat thickness, collar butt, spare rib and picnic shoulder percent. The four body measurements at the ages of 70, 145 and 180 days had positive genetic correlations with belly, shoulder butt, spare rib, picnic shoulder and hind leg percent, but negative genetic correlations were shown with loin and tenderloin percent except body measurements at 70 days. The results suggest that carcass yield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ramuscular fat content, which is a major factor deciding pork quality and the yield of loin and tenderloin are not increased as much as increase in body size. However, the proportions of belly and collar butt are increased with the body size. In conclusion, selection strategy should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n composition of carcass in each coun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