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ia cocos powder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4초

백복령 가루 첨가량과 저장기간에 따른 설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uk added with Poria cocos Wolf Powder during Storage)

  • 장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18-32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uk containing 0, 3, 5, 7 and 9% Poria cocos Wolf powder during the storage at 2$0^{\circ}C$ by measuring water content, color value, textur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By increasing the amount of Poria cocos Wolf powder, water content of Seolgidduk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during storage. Hunter color L value of Seolgidduk decreased, and a and b value increased significantly by increasing the amount of Poria cocos Wolf powder. The cohesiveness of Seolgidduk decreased but ad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increasing the amount of Poria cocos Wolf powder. 3% Poria cocos Wolf added Seolgidduk was the highest in color, odor, taste, softness, moistness and overall preference from the sensory evaluation. Above results indicated that 3% Poria cocos Wolf added Seolgidduk showed the best quality through sensory and texture analysis.

  • PDF

복령분말이 생국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ria cocos Powder on Wet Noodle Qualities)

  • 김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7호
    • /
    • pp.539-544
    • /
    • 1998
  • 복령분말을 밀가루에 0, 3, 5, 7% 첨가하여 제조한 반죽의 리올로지와 이들로부터 제조한 생국수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복령분말은 밀가루에 비해 단백질, 지방 및 회분 함량이 현저히 낮았다. 복령분말의 입자분포도는 $0.04{\sim}240\;{\mu}m$였으며 밀가루보다 큰 입자분포를 나타내었다. 아밀로그래프상의 호화개시온도는 복령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최고 및 최종점도는 증가하였다. 패리노그래프상의 수분흡수율 및 반죽의 안정도는 복령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L값은 복합분과 반죽에서 복령분발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였으나,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이와는 반대로, 생국수에서는 복령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이 증가하였으나, a값과 b값은 감소하였다 생국수의 조리후 중량 및 부피는 복령분말의 첨가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국물의 탁도는 증가하였다. 조리한 국수의 조직감 측정 결과, 견고성, 응집성, 씹힘성, 탄력성은 복령분말 3%의 첨가에 의해 급격히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감소하였다. 조리한 국수의 관능검사 결과, 복령분말 $5{\sim}7%$ 첨가국수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 무첨가 국수보다 품질이 우수하였다.

  • PDF

백복령분말을 첨가한 밀가루 반죽의 물성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Flour Dough Added Power of Poria Cocos Wolf)

  • 신길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7-202
    • /
    • 2008
  • 백복령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밀가루 반죽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백복령분말을 $0{\sim}5%$의 비율로 첨가하여 반죽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백복령분말을 첨가한 Mixograph에서는 midline peak time는 분말첨가에 따라 $1{\sim}2%$에서는 증가하였고 $3{\sim}5%$에서는 대구조보다 감소하였다. Midline peak height는 대구조보다 모두 감소하였다. 주사현미경관찰은 백복령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공이 크고 불균일하였다. Farinogragh 특성 중 반죽의 점조도와 수분 흡수율은 백복령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반죽 형성시간과 안정도는 감소하였다. 주사현미경에서는 백복령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공이 거칠고 크게 나타났다.

복령분말첨가가 제빵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ria cocos Powder Addition on the Baking Properties)

  • 서영호;김준한;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75-280
    • /
    • 1998
  • 재배산 백복령의 수요를 증가시키고, 제빵원료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식빵 제조시 여러 물리적 특성들을 조사하였다. 반죽 팽창력은 복령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1차발효, 2차발효 모두에서 동일하였다. 흡수율은 대조구인 강력분에 복령분말의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다. 반죽의 생성시간과 안정도는 대조구보다 복령분말 5%, 10% 첨가구에서 증가하였으며, 15% 첨가구에서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반죽의 약화도에 있어서도 복령무첨가 강력분에서는 30 B.U. 였으나 5% 및 10% 첨가구에서는 전혀 반죽의 약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반죽의 약화도와 관련이 있는 반죽의 내구성 지표인 v/v점 역시 복령분말 5% 및 10%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죽의 점도는 복령분말의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다가 15% 첨가구에서는 다소 증가하는 경항을 나타내었다. 반죽의 저항도는 복령의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으나 신장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인장항력은 복령분말 5% 첨가구에서는 크게 증가하였으나 10% 및 15% 첨가구에서는 다소 감소하였다. 그리고 복령식빵의 관능평가에서는 복령분말 7% 이상 첨가시 기호도가 크게 낮아져 복령분말은 5% 이내로 첨가하는 것이 적당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복령분말을 5% 첨가하여 제빵원료로 사용할 경우 수율면에서 뿐만 아니라, 제빵의 품질특성에서도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복령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Added with Poria cocos Powder)

  • 신길만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54-56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복령 분말을 $1{\sim}5%$ 첨가한 식빵을 제조한 후, 일반 성분을 분석하였고, 복령 분말 첨가에 따른 식빵의 변화와 관능검사를 조사하였다. 복령의 수분 함량은 7.67%, 조단백질 함량은 0.61%, 조지방 함량은 0.58%, 조회분 함량은 0.32%이었고, 조섬유 함량은 0.30%로 나타났다. 폴링 넘버는 대조구보다 복령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폴링 넘버의 수치는 증가하게 나타났다. 비용적과 반죽 수율은 복령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SEM) 관찰은 복령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공이 크고 불균일 하였다. 색도는 복령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낮아졌으며,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굽기 손실률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며, 복령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조직감 측정 결과 견고성, 부착성은 대조군이 가장 낮았으며, 복령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점착성과 씹힘성은 대조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복령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탄력성과 응집성은 대조구와 첨가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 결과, 맛과 향미에 대한 기호도의 경우 대조구보다 3% 복령 분말의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4% 이상에서는 기호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복령 분말을 $2{\sim}3%$ 정도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할 경우 식빵의 품질과 기호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백복령 첨가에 따른 식빵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the powder of Poria cocos Wolf)

  • 신길만;박종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1-235
    • /
    • 2008
  • 백복령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밀가루 반죽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백복령분말을 $0{\sim}5%$의 비율로 첨가하여 식빵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복령의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 함량은 7.67%이었고, 조단백질 함량은 0.61% 나타났고, 조지방 함량은 0.58%로 나타났다. 조회분 함량은 0.32%이었고, 조섬유 함량은 0.30%로 나타났다. 백복령분말을 첨가한 밀가루의 호화도(RVA)는 백복령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화개시온도와 최고점도는 감소하였으며 breakdown은 백복령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gluten 함량과 반죽팽창력은 모두 백복령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색도는 백복령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낮아졌으며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백복령 분말 함유 어묵의 텍스처 및 관능적 특성 (Textur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Fish Paste Containing White Poria cocos Wolf Powder)

  • 신영자;김귀순;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9-125
    • /
    • 2009
  • 백복령 분말을 0, 1, 3, 5, 7%를 함유한 어묵을 제조하여 수분함량, 색도와 절곡검사, 기계적 texture, 관능검사, 기호도 검사 등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백복령 분말을 첨가한 백복령 어묵의 수분함량은 모든 시료가 37%대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고른 분포를 띄었다. 색도 변화에서 어묵의 L값은 백복령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 하였으나, a과 b값은 백복령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어묵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절곡검사에서는 모든 시료에서 AA로 측정되어 백복령 분말의 첨가에 관계없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복령 분말을 첨가한 백복령 어묵의 기계적 texture는 파쇄성은 백복령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탄력성은 감소하였다. 어묵의 관능검사에서는 어묵의 색상, 향미, 경도, 응집성는 백복령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매끄러운 정도와 느끼한 맛은 백복령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어묵의 기호도 검사에서는 3WPWP군이 외관의 기호도, 향미의 기호도, 맛의 기호도, 질감의 기호도, 전반적인 기호도 등의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백복령을 첨가한 건강기능성 백복령 어묵의 가공 적성에 적절한 백복령의 첨가량은 3%가 적당하다고 사료되며 백복령을 함유한 고품질의 어묵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복령(Poria cocos) 재배기술의 변천과 실용화 (Changes of the cultivation methods of Poria cocos and its commercialization)

  • 조우식;유영복;홍인표;김동근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03-307
    • /
    • 2013
  • 한국에서의 복령연구는 형태학적 관찰 및 특징, 채집기, 재배방법, 복령균의 배양학적 특성연구 (홍과이, 1990), 1994년 농촌진흥청에서 복령의 인공재배법이 개발되면서 드링크제, 제빵제재 등의 식품화연구도 2000년대 초까지 진행되었다. 복령의 에탄올추출물은 폐암, 난소암, 피부암, 중추신경암, 직장암 세포 성장에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등 항암효과 등의 기능성이 입증되었다(권 등, 1998). 하지만 현재까지도 복령의 수요를 천연채집 및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서 재배시 고품질, 다수확을 위한 인공재배방법을 개선해야할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경북농업기술원과 신농버섯연구소 등에서 지상에서 재배법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또한 최근의 재배사례에서는 부적절한 재배시기를 선택하는 등의 사유로 실패사례를 간혹 볼 수 있다. 최근 복령의 주요 수출국인 중국이 수출을 제한하여서 지난 4년간 복령가격이 113% 인상되는 등 복령의 국내공급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개발된 복령의 지상재배법과 지하재배법의 장점만을 이용한 새로운 방법의 복령인 공재배기술의 확립이 요청된다.

백복령(白茯笭), White Poria cocos, 중(中)의 지방산(脂肪酸) 성분(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atty acids in the White Poria cocos)

  • 문순구;박상신;민태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3
    • /
    • 1987
  • 한국산 백복령을 chloroform-methanol(2 : 1, v/v) 혼합용매로 추출한 다음, 비누화 및 메델에스테르화 한 후 gas chromatography에 의하여 얻은 총24개의 Peak 중, caprylic acid($C_{8:0}$), undecanoic acld($C_{11:0}$) lauric acid($C_{12:0}$) , dodecenoic acid($C_{12:1}$) 및 Palmitic acid($C_{16:0}$)의 5 개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그중 주성분인 $C_{8:0}$$C_{12:1}$은, 시료 g당 $6.657{\mu}g$$10.176{\mu}g$ 이었다.

  • PDF

재료 배합비를 달리한 복령병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kryung-Byung Prepared with Bokryung (Poria cocos Wolf) Powder)

  • 최미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10-518
    • /
    • 2012
  • 멥쌀가루에 복령가루를 0, 5, 10, 15, 20% 첨가하여 제조한 복령병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기간 중 복령병의 수분함량은 42.89~44.85%로 대조구가 44.85%로 가장 높았으며, 복령가루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pH는 낮아졌으며, 산도는 증가하였다. 총균수는 제조직후 2.70에서 3.00 log CFU/g이었으며, 저장 4일에는 7.00 log CFU/g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대조구와 복령병 간의 차이는 없었다. 제조직후에는 복령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20^{\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 색도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복령병의 경도, 강도, 검성, 응집력은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부서짐성은 증가하였다. 설기떡에 복령가루를 첨가하는 것은 기호도가 감소하였으며 그 결과 탄력성이 있고 쫄깃한 떡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대조구가 높게 평가되었으나, 복령병 제조시 복령가루 5% 첨가가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기능성 떡으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