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liteal fossa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5초

Anatomical Variation of the Lesser Saphenous Vein

  • Hwang, So-Min;Pan, Hao-Ching;Kim, Hong-Il;Jung, Yong-Hui;Kim, Hyung-Do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22권2호
    • /
    • pp.48-51
    • /
    • 2013
  • Purpose: The lessor saphenous vein is an anatomical index in various surgical methods involving an approach to the popliteal fossa. However, occasionally, there have been some cases where the surgical process was difficult because the lessor saphenous vein was not found in the popliteal fossa during the operation proces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the anatomical variation of lessor saphenous vein not found in the popliteal fossa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83 cases of selective neurectomy for hypertrophic calf performed in our clinic from March 1997 to June 2013. There were 42 patients, with a mean age of 32.8 years old. We confirmed the existence of the lessor saphenous vein in the popliteal fossa during the operation process. Results: Among 83 cases during this study period, the lesser saphenous vein was not found in four cases. In one patient, no lesser saphenous vein was found on either side of the popliteal fossa, and in two patients, no lesser saphenous vein was found on the left side of the popliteal fossa.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variation was found to be 4.8%. Conclusion: Due to the anatomical variation of the lessor saphenous vein, it may not be found in the midline of the popliteal fossa.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several possibilities for failure to observe the lesser saphenous vein could be suggested. If surgeons are well aware of these possibilities, the steadier operation could be performed.

  • PDF

Popliteal Fossa Pain in 24 Year-old Female

  • Choi, Kwan-Woong;Yoon, Kyung-Bong;Yoon, Duck-Mi;Kim, Do-Hyeong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5권4호
    • /
    • pp.275-277
    • /
    • 2012
  • The pain around the posterior knee, called 'popliteal fossa', has been known to be caused by a variety of disease entities. Venous malformation is a very rare cause of popliteal area pain, and its diagnosis is frequently delayed, missed, or given incorrectly. Here, we report a case of a patient with popliteal fossa pain for 2 years and was diagnosed as intramuscular venous malformation using ultrasound.

Traumatic Popliteal Artery Pseudoaneurysm Developed during a Soccer Game

  • Lee, Seock-Yeol;Lee, Seung-Jin;Lee, Chol-Sa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4호
    • /
    • pp.298-300
    • /
    • 2011
  • A 38-year-old male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due to painful swelling of his right popliteal fossa. He had been kicked in his right popliteal fossa during a soccer game about three weeks earlier. Computerized tomographic angiography of the lower extremity demonstrated a 4-cm-wide, 3-cm-long aneurysmal change of the popliteal artery. He underwent aneurysmectomy and graft interposition using a great saphenous vein graft. Pathologic findings of the resected specimen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a pseudoaneurysm.

하지의 악성 흑색종에서 슬와 림프절 곽청술 시행례 (Popliteal Lymph Node Dissection in Lower Extremity Malignant Melanoma)

  • 김학영;장학;민경원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485-488
    • /
    • 2009
  • Purpose: Malignant melanoma of the lower extremity is well known to metastasize to the lymph nodes of the groin. However, in rare cases, the initial site of the nodal disease can be the popliteal fossa. As of yet, there has not been any report on cases with popliteal lymph node metastasis in Koreans. In the following report, authors would like to present two cases of popliteal node metastasis. Methods: A 60 - year - old male patient presented with nodular mass at his left sole. He had popliteal node metastasis detected on preoperativ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PET). Another 67 - year - old man presented with pigmented lesion at his right heel. He also had popliteal node metastasis detected on the MRI. They underwent wide excision of the primary lesion with popliteal node dissection. Results: In the first case, $2.5{\times}2.5cm$ sized metastatic melanoma in popliteal node was pathologically confirmed. There were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to date(18 months after the surgery), the patient is alive with no evidence of disease. In the second case, multiple(4) metastatic melanoma in popliteal nodes was confirmed. The patient is alive, but has had interferon therapy for liver metastasis. Conclusion: By increasing the use of lymphoscintigraphy or PET as a preoperative diagnostic work - up for metastasis, even popliteal node metastasis undetectable in a physical exam becomes detectable. When metastatic lymph node is found, node dissection is the standard of care. Therefore, it is essential that we know the anatomy and surgical technique for popliteal lymph node dissection.

하퇴 슬와부 및 전외측 구획을 침범한 지방육종 환자의 절제 및 재건술 - 증례보고 -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for Liposarcoma Involving Popliteal Fossa and Antero-lateral Compartment of Lower Leg - A Case Report -)

  • 원호현;홍윤석;전대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9-74
    • /
    • 2009
  • 슬와부위의 연부조직육종은 사지의 연부조직 육종 중 5% 이하를 차지하는 드문 질환이다. 주요 혈관과 신경이 지나가는 슬와, 주와, 서혜부와 같은 구획외 공간에서는 사지 구제술 시 적절한 절제연을 얻으면서 절제를 시행하기가 쉽지 않으며 불가피하게 변연부 절제를 시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슬와부 종양 절제시는 후방 도달법을 시행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크기가 작고 주변 조직에 유착이 없는 종양일 경우 후방 도달법으로 신경다발막과 혈관외막을 박리하여 종양을 쉽게 절제할 수 있다. 그러나 종양의 크기가 크고 주변조직으로 침범이 있는 경우에는 종양의 절제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 이런 경우는 절단술의 상대적 적응증이며 종양이 전방 및 후방 구획을 동시에 침범하였을 경우에는 절단술이 불가피하다고 생각되는 경우가 많았다. 저자들은 전방 및 후방 구획을 동시에 침범한 연부조직종양을 골 외측으로 종괴를 형성한 골종양으로 간주하여 근위 경골과 비골을 종양과 함께 절제함으로써 적절한 절제연을 얻으면서 사지구제술이 가능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내고정한 슬개골 골절에서 슬와공을 통한 조기 파절된 강선 조각의 슬와부로의 이동 - 증례보고 - (Migration of Early Broken Wire into the Popliteal Fossa through Popliteal Hiatus in Internally fixed Fracture of Patella - A Case Report -)

  • 전호승;전승주;문찬삼;노행기;정형준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0-173
    • /
    • 2009
  • 슬개골 골절의 고정 방법에 있어 강선 고정술은 흔히 사용되는 수술 방법중 하나이다. 슬관절의 조기 재활을 위해서는 견고한 고정술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슬개골 골절의 수술적 내고정술 후 장기간 제거하지 않을 경우, 강선의 파절이 흔히 발생하며, 파절된 강선 조각은 관절막 외부의 연부조직 내에서 이동한다. 그러나, 저자들은 슬개골 골절의 수술 후 조기 파절된 강선 조각이 관절강내의 슬와공을 통하여 슬와부로 이동한 64세 남자를 관절경적 및 관혈적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하였으며,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Fenestrated popliteal vein pierced by a branch of the tibial nerve

  • Edward C. Muo;Joe Iwanaga;Juan J. Cardona;Lukasz Olewnik;Aaron S. Dumont;R. Shane Tubbs
    • Anatomy and Cell Biology
    • /
    • 제56권4호
    • /
    • pp.566-569
    • /
    • 2023
  • Knowledge of anatomical variations is important so as to avoid potential iatrogenic injury or misdiagnosis on imaging. Here we report an unusual finding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tibial nerve and popliteal vein. During the routine dissection of an adult cadaver, it was noted that a branch of the tibial nerve in the popliteal fossa pierced the most distal part of the popliteal vein. This unusual finding is described and relevant reports in the literature discussed. Our hopes are that such a report might help surgeons avoid injury to such a fenestrated popliteal vein and the tibial nerve branch traveling through it therefore decreasing patient morbidity.

원위 대퇴부 후방에 발생한 광범위 심부 농양의 내시경적 치료 - 증례 보고 - (Endoscopic Treatment of Extensive Deep Abscess in Distal Posterior Thigh - A Case Report -)

  • 전호승;송지웅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4-87
    • /
    • 2013
  • 원위 대퇴부 후방은 주요 신경과 혈관이 위치하고 있고 여러개의 힘줄들과 근육들이 위치하여, 심부 근막 내에 농양이 발생시 근막, 힘줄과 근육을 따라 근위 대퇴부, 슬와부, 근위 하퇴부 후방 및 무릎 관절의 주변으로 광범위하게 퍼질 수 있다. 이런 경우에 단순히 항생제 투여만으로는 치료가 어렵고, 수술적인 배농과 변연 절제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고식적인 방법으로는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슬와부의 주요 신경과 혈관 등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도 있다. 저자들은 64세 남자 환자에서 발생한 좌측 원위 대퇴부의 광범위 심부 농양에 대하여 내시경적 치료를 시행하여 주요 신경, 혈관 등 정상 조직에 대한 손상이 없이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한국 여성에서 좌골 신경 분지 위치에 대한 초음파 영상 (Ultrasound Imaging for Position of the Sciatic Nerve Division in Korean Female)

  • 남일현;여의동;유지수;이준호;이영구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8-32
    • /
    • 2014
  • 목적: 슬관절 이하 부위의 정형외과적 수술을 위해 좌골 신경 차단 술기가 흔히 시행되고 있다. 좌골 신경 분지는 해부학적 차이가 있어 통상적인 신경 차단은 불완전한 신경 차단을 유발한다. 본 연구는 마취의 성공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한국 여성에서 좌골 신경 분지 위치를 초음파를 이용해 확인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한국 여성 3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체중, 키를 측정하였다. 초음파 측정을 위해 M-Turbo ultrasound system (SonoSite,Bothell, WA,USA) 13-6 MHz, 38 mm high frequency linear array transducer를 사용하였다. 복와위 자세에서 슬와 주름부터 분지부까지의 거리, 분지부에서 피부부터 신경까지의 깊이를 cm 단위로 측정하여 체중과 키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측정은 한 명의 전문의에 의해 측정되었다. 통계는 SAS version 9.3를 사용하여 multiple linear regress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33명 여성의 평균 나이는 53세(34~71세), 평균 체중 59.7(50~77.1 kg), 평균 키 157.4(145~173.9 cm), 평균 BMI 24.1(18.4-28.9)였다. 슬와 주름에서 좌골 신경 분지부까지의 평균 거리는 5.7(4.5~7.5 cm)이였으며, 분지부에서 피부부터 신경까지의 평균 깊이는 2.4(1.8~3.2 cm)였으며, 통계적 분석 결과에서 거리와 키 조사 p-value 0.55, 거리와 몸무게 조사 p-value 0.34, 깊이와 키 조사 p-value 0.5, 깊이와 몸무게 조사 p-value 0.036 이였다. 결론: 한국 여성의 좌골 신경 분지 위치는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몸무게에 따른 깊이 변화는 의미가 있었다. 한국 여성에서 좌골 신경 차단 술기를 시행할 때 평균 거리, 깊이를 생각하고 몸무게를 고려한다면 성공율이 증가할 것으로 생각되며, 슬와 주름 7.5 cm 상방에서 시행할 것을 추천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