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olysorbate 80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3초

Valsartan 및 polysorbate 80의 혼합물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피부 손상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skin damage of physical mixture of valsartan and polysorbate 80)

  • 최한곤;성준호;오동훈;이동훈;조관형;우종수;용철순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9권2호
    • /
    • pp.107-110
    • /
    • 2009
  •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and skin damage of valsartan with polysorbate 80, the physical mixture of valsartan and polysorbate 80 was prepared and then its adhesion, dispersibility, DSC and skin damage in nude rats were investigated. The physical mixture of valsartan and polysorbate 80 appeared as an aggregated form and could hardly be dispersed in water. The DSC curve showed that physical mixture disappeared the intrinsic peaks of valsartan and polysorbate 80 at about $115^{\circ}C$ and $170^{\circ}C$, respectively. It appeared a new relatively broad endothermic peak at about $150^{\circ}C$, suggesting that valsartan was chemically interacted with polysorbate 80. Furthermore, it induced the severe skin irritation and damage in nude mice. Thus, polysorbate 80 must not be used in the preparation of valsartan-loaded pharmaceutical dosage forms.

Effect of Polysorbate 80 and Benzyl Alcohol on the Solubility of Amiodarone Hydrochloride

  • LEONTIEV, Viktor;LAZOVSKAYA, Olesya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5권4호
    • /
    • pp.13-17
    • /
    • 2019
  • Amiodarone hydrochloride is an antiarrhythmic agent which has low aqueous solubility and presents bioavailability problem. These properties are a challenge for the pharmaceutical industry. Inclusion of lipophilic compound in the hydrophobic core of micelles, i.e. self-assembled structures based on surfactants in aqueous solution, is one way of increasing the solubility. Intravenous formulation of amiodarone hydrochloride with polysorbate 80 as a detergent and benzyl alcohol as a co-solvent is used in medical practice. This paper aimed to study the effect of polysorbate 80 and benzyl alcohol on the water solubility of amiodarone hydrochloride. Formation of mixed micelles consisting of nonionic surfactant polysorbate 80 and cationic amiodarone with chloride counterion was investigated by fluorescence spectroscopy. Benzyl alcohol was found to decrease the stability of the mixed micelles and lead to crystallization of amiodarone hydrochloride. The greatest amounts of crystals formed at 4℃ for 30 days in the model drug solutions with polysorbate 80 concentrations of 100.1 mg/mL and 97.9 mg/mL. A change of the polysorbate 80 concentration and avoidance the use of benzyl alcohol are recommended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parenteral dosage form. These results can open new perspectives in the optimization of amiodarone intravenous formulations.

유화제를 이용한 계육 표면에서 Campylobacter jejuni의 부착 제어 (Adhesion control of Campylobacter jejuni in chicken skin using emulsifiers)

  • 오도건;김광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670-67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세균성 식중독의 원인균인 C. jejuni의 주 감염원인 계육에 대하여, 식품공전에 등재된 식품첨가물 중 유화제를 이용하여 계육에서 C. jejuni의 부착을 제어 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8종의 유화제를 200 mg/mL의 농도에서 paper disc agar diffusion method로 C. jejuni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등 4종의 유화제에서 생육억제환을 생성하였다.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4종의 유화제를 25, 50, 100, 200 mg/mL의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농도가 작아질수록 생육억제환의 크기도 줄어들었으며, 유화제 중 L-1695 샘플이 200 mg/mL에서 가장 큰 생육억제환을 생성하였다. pH 및 열에 대해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4종의 유화제 모두 pH 및 열에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한 결과 다른 유화제 L-7D,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샘플과 비교하였을때 L-1695 샘플이 1.56 mg/mL에서 가장 좋은 최소저해농도를 나타냈다. 최소살균 효과는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4종의 유화제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접촉표면의 부착제어능력을 확인하기 위해서 stainless steel과 ceramic에서 실험한 결과, 두 접촉 표면 모두에서 L-1695 샘플 처리 시 가장 적은 생균수를 나타냈다. 앞선 실험의 종합적인 결과에 따라 L-1695 유화제를 최종적으로 선별하고, 계육 피부에 부착된 C. jejuni에 영향을 주는지 CLSM으로 분석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conventional spray 및 electrostatic spray를 처리하였을 때 모공에 부착된 균이 대다 수 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생균수를 확인해 본 결과 conventional spray와 electrostatic spray 처리 시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 결과들을 종합한 결과 C. jejuni KCTC 5327에 대하여 L-1695 유화제는 생육을 억제시키지만, 살균효과는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L-1695 유화제는 식품접촉표면에서 캠필로박터균의 부착을 저해하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계육 피부에 인위접종된 C. jejuni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볼 때, 실제 도계공정에서 세척수에 포함시켜 C. jejuni의 제어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olysorbates를 첨가한 전해산화수의 미생물학적 세정효과 (Microbiological Cleaning Effect of Electrolyzed Acid Water by Containing Polysorbates)

  • 정진웅;박기재;정승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029-103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전해산화수의 세정 및 살균력 상승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계면활성제중 친수성을 지닌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polysorbate 20, 60 및 80을 농도별(10 ppb, 100ppb, 1 ppm, 10 ppm 및 100 ppm)로 시료중량 50배의 전해산화수에 10분간 침지한 처리구와 전해산화수 만을 사용한 처리구에 있어 총균수와 대장균군수를 비교 검토한 결과, polysorbate 20을 10 ppm첨가한 처리구는 무첨가 처리구에 비하여 총균수는 1/250 수준, 대장균군수는 약 1/4 수준으로 감소되며, polysorbate 60을 10 ppm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총균수가 1/20 수준, 대장균군수는 약 1/6 수준으로 감소되므로써 그다지 효과가 없었다. 반면에 polysorbate 80을 1 ppm 첨가한 처리구에 있어 총균수는 $2.3{\times}10^{2}$ CFU/g, 대장균군수는 $1.5{\times}10^{1}$ CFU/g으로 총균수의 살균율은 1/300 수준, 대장균군은 약 1/1,700 수준으로 감소 시키므로써 현저한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상치를 1 ppm의 polysorbate 80을 첨가한 전해산화수에서 침지시간에 따른 처리 결과, ORP, pH 및 표면색도의 변화는 미미하였으나 HCIO 함량은 초기 10.28 ppm에서 침지처리 20분후에는 8.51 ppm으로 감소하였으며, 살균효과는 총균수가 침지처리 20분에 $6.5{\times}10^{3}$ CFU/g으로 무처리한 초기시료에 비해 약 1/1,800 수준으로 감소되었고, 대장균군수는 침지처리 30분에 $9.0{\times}10^{1}$ CFU/g으로 약 1/5,550 수준으로 나타났다.

  • PDF

식품첨가제를 첨가한 전해산화수의 세정효과 (Cleaning Effect of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by Containing Food Additives)

  • 정승원;정진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40-247
    • /
    • 2002
  • 세정수로서의 전해산화수 효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식품첨가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0^{\circ}C$ 이하의 세정수에 대한 냉각특성, 살균 및 갈변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식품첨가제의 첨가비율은 NaCl 0.85%(w/v), ethanol 0.5%(v/v), 레몬과즙 0.5%(v/v), 유자과즙 0.5%(v/v), polysorbate 80은 1 ppm으로 결정하였다. 미생물 사멸효과는 초기 5.63$\times$$10^{ 8}$ CFU/mL인 Escherichia coli KCTC 1039가 모든 첨가구에서15~30초 이내에 전부 사멸하였으며, Bacillus cereu KCTC 1012는 polysorbate 80 및 ethanol 첨가구에서 2분 후,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은 polysorbate 80, 유자 및 레몬과즙 첨가구에서 30초만에, 그리고 Erwinia carotovorasubsp. carotovora KCTC 2776은 polysorbate 80 및 레몬과즙 첨가구에서 30초만에 사멸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갈변억제효과는 polyphenol oxidase의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asnrbic acid 0.5% 첨가구에 5분간 침지하였을 때 57%의 활성저해를 보인 반면, 25%의 저해능을 보인 polysorbate 80 첨가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62~84%의 높은 활성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NaCl 및 유자과즙 첨가구에서 30분 침지시에 각각 64, 91 units로 가장 낮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절단 감자를 30분간 침지처리한 후의 색도에서도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색차($\Delta$E)가 3 이하를 나타내었다.다.

역상 HPLC에 의한 polysorbates의 산화에틸렌(EO) 분리 및 정량분석 (Determination and Ethylene Oxide(EO) Separation of Polysorbates by RP-HPLC)

  • 이용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85-593
    • /
    • 2012
  • 역상 HPLC에 의한 polysorbate 20, polysorbate 40, polysorbate 60, polysorbate 80의 ethylene oxide(EO)분리 및 간편하고 빠른 정량분석 방법을 개발하였다. 분석조건으로 분리관은 YMC Pack Ph ($250mm{\times}4.6mm$ i.d., $5{\mu}m$) 과 Phenomenex C4 ($250mm{\times}4.6mm$ i.d., $5{\mu}m$)을 사용하였고, 검출기는 ELSD를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water/acetonitrile의 기울기 용리에 의해 분석되었다. 이때 검량선의 상관계수($r^2$)는 $180.2{\sim}980.5{\mu}g/mL$ 농도 범위에서 0.997이상 이었고, 검출한계, 정밀성이 우수하였다. 이 방법은 olysorbates의 산화에틸렌 분리분석 및 간편하고 빠르게 정량분석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

Polysorbate 80이 Sulfanilamide및 Sulfacetamide 과립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ysorbate 80 on the Dissolution of Sulfanilamide and Sulfacetamide Granules)

  • 구영순;이정순
    • 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89-196
    • /
    • 198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rfactant on the dissolution of relatively hydrophilic drugs, such as sulfanilamide (SF) and sulfacetamide (SFA) granules prepared by wet granulation. The additive incorporated in the granules is starch or microcrystalline cellulose(MCC) as an excipient, PVP as a binder, and polysorbate 80 (P-80) as a surfactant. The dissolution characteristics of SF and SFA granules in distilled water were as follows: The values of T$_{75%}$ were 4.60 and 2.50min, respectively for SF and SFA granules. Incorporation of 0.1% P-80 in SF granule ratarded the dissolution of SF as compared with control, but addition of 0.1% P-80 to SFA granule improved the dissolution of SFA in comparison with control. In SF and SFA granules formulated with either starch or PVP, the release of the drug was increased as compared with control. In SF granule, the dissolution of the drug was further reduced by the inclusion of P-80 in the granule containing starch or PVP. Incorporation of P-80 in SFA granule with starch or PVP affected little on the dissolution of the drug. Addition of a nonswelling excipient, MCC decreased the dissolution rate of SF and SFA granules. as compared with each control. The presence of P-80 in these granules made the dissolution rate slower in comparison with the granules containing only MCC.

  • PDF

Study of complete transparent nano-emulsions which contain oils

  • Kwak, Jong-Im;Kim, Ju-Duck;J, i-Hong-Geun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258-267
    • /
    • 2003
  • Recently inside nano liposome particles or nano-emulsions which contain tough-melting physiology activity materials or the coefficient of low organism utilization promote the coefficient of organism utilization, so this part has been studied a lot because they can absorb selectly cosmetics, specially physiology activity materials, into the skin. Also, in particle size, cells interstitial lipid interval are 30~50nm, so nano-emulsions that the size is similar to 30~50 nm are made to study for absorbing quickly into the skin. And transparent skin which contains oils in common skin lotion dosage form has become the center of public interest. The used nano-emulsions in this study were unsaturated lecithin/co-surfactant! ethanol/ oil / water. And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Dicetyl phosphate/hydrogenated .caster oil/ isoceteth-20/SLS were used in co-surfactant. The used oils were cyclomethicone and caprylic/capric triglyceride. The manufacturing process was that microfluidizer was fixed in 1000bar and transit times were changed from 1 to 10 times. From transparency and particle size, the transparency sequence was SLS>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isoceteth-20> dicetyl phosphate >hydrogenated caster oil and the particle size was small. Specially cyclomethicone nano-emulsions, when we made unsaturated lecithin /SLS /ethanol/water/cyclomethicone, cyclomethicone 5% was good for transparency. And 20% of this was used for making transparent skin toner in common skin dosage form.

  • PDF

상업적인 pickle product와 ingredient의 oxidant와 antioxidant로서의 역할 (Oxidants and Antioxidants Associated with Commercial Pickle Products and Ingredients)

  • 장미진;조일영;주현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408-413
    • /
    • 1995
  • Pickle성분이 linolenic acid의 산화효소인 lipoxygenase와 methemoglobin (nonenzymatic oxidant)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외, 피클 성분중 건조 양념내의 lipoxygenase, peroxidase와 catalase 활성도 조사하였다. 시중에 판매중인 일부 pickle brine은 lipoxygenase와 methemoglobin에 의한 linolenic acid의 산화를 억제하였다. Dill oil emulsion, 양파 농축액 (onion concentrate), oil cassia, polysorbate 80, turmeric acid와 같은 피클 성분들은 lipoxygenase와 methemoglobin에 의한 산화를 감소시켰다. Lipoxygenase의 활성은 garlic, mustard seed, red pepper에서 발견되었다. Peroxidase의 활성은 mustard seed에서만 존재하였으며, gall black pepper, allspice와 red pepper에서는 catalase의 활성이 있었다.

  • PDF

R-134a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 속도에 미치는 식용 계면활성제 첨가의 영향 (Kinetics Change of the R-134a Gas Hydrate Formation in Seawater with the Addition of Edible Surfactants)

  • 정희철;김아람;임준혁;원용선
    • 청정기술
    • /
    • 제22권3호
    • /
    • pp.154-160
    • /
    • 2016
  •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을 이용하여 담수를 생산하고자 하는 어떠한 공정이라도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속도는 경제적인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공정변수일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촉진제를 사용하여 R-134a(또는 HFC-134a)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형성속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는데 최종목표가 음용수 생산이므로 촉진제로 세가지 다른 형태의 식용 계면활성제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음이온성인 카라기난(κ-carrageenan), 양쪽성인 레시틴(lecithin), 그리고 비이온성인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이 그것이다. 식용 계면활성제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R-134a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속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하였다. 어떠한 경우이든 식용 계면활성제의 첨가가 R-134a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그 효과는 폴리소르베이트 80 > 카라기난 > 레시틴의 순서를 보였다. 이론적인 설명을 위해 범밀도함수(DFT) 이론을 기반으로 한 분자모델링을 이용하여 각 식용 계면활성제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들의 전하를 계산하였고 실험으로 관찰된 촉진제 효과가 계면활성제 내의 수소결합을 할 수 있는 산소들의 수와 그 산소들의 원자전하 값들이 음수인 정도에 비례하는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