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saprobic stat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2초

신천의 부착규조 군집을 이용한 유기오탁 판정 (An Assessment of Organic Pollution using Attached Diatom Assemblages in the Shinchon Stream)

  • 김용재
    • 생태와환경
    • /
    • 제34권3호통권95호
    • /
    • pp.199-205
    • /
    • 2001
  • 본 연구는 신천의 부착규조 군집을 분석하고 유기오탁을 판정하기 위해 5곳의 정점을 선정하여 1999년 4월,6월,9월, 12월에 총 4회 시료를 채집 및 조사하였다. 부착규조 군집은 총 74분류군으로 2목,3아목,8과 19속,68종, 4변종 및 2미동정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심규조목은 5분류군이고, 익상규조목은 69분류군이었다. 우점종은 4월, 6월과 9월에 정점 1${\sim}$3에서 Nitzschia palea, 정점 4에서 Navicula saprophila, 12월에 정점 1에서 N. palea, 정점 2${\sim}$5에서 Navicula. subminuscula로 3분류군만이 조사되었다. 3가지 생태군 중 호청수성종은 1.5%이하였으며, 광적응성종은 0.7${\sim}$28.1%로 낮았다. 그러나 호오탁성종은 70.6${\sim}$99.3%로 매우 높았다. DAIpo 값은 조사동안 0.4${\sim}$15.3의 범위였다. 조사 계절별 DAIpo 값은 1999년 4월에 3.6${\sim}$13의 범위로 수질은 전체 정점에서 강부수성이였다. 6월에는 정점 1에서 15.3으로 ${\alpha}$-중부수성이었으나 만약 미동정종인 Navicula sp.가 호오탁성종으로 동정되면 DAlpo값은 3.5로 낮아진다. 이 결과 정점 1${\sim}$3까지 2.5${\sim}$3.5의 범위이고 정점 4와 5에서 10.7과 11.9로서 강부수성의 수질로 판정된다. 9월과 12월에는 DAIpo값이 각각 0.8${\sim}$4.3의 범위와 0.4${\sim}$6.1의범위로 유기오탁은 모두 강부수성으로 판정되었다. DAIpo 값에 의한 본 하천은 상류부터 하류까지 강부수성의 매우 오탁된 수질로 판정되었다.

  • PDF

도시화 정도에 따른 포천천과 영평천의 돌 부착규조 군집 변화 (Changes of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according to Urbanization Influence in the Pocheon and Youngpyeong Streams)

  • 김용재
    • 생태와환경
    • /
    • 제40권3호
    • /
    • pp.468-480
    • /
    • 2007
  • 도시화는 하천의 수리, 수질 및 수로의 형태를 변화시키고, 수생태계의 조성을 변화시키고 있다. 최근 포천천과 영평천 주변에 많은 인구와 소규모의 공장 등이 유입되어 도시화됨으로써 오, 폐수의 방류량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화의 정도에 따라 하천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돌 부착규조 군집의 조성이 다른 것에 기초로 하여 돌 부착규조 군집의 조성, 우점종 및 생태군 별 종 조성과 생물지수(DAIpo)에 의한 수 환경을 평가하였다. 두 하천의 도시화 지수는 포천천의 정점 P-3와 P-5에서 각각 85와 91로 매우 높은 반면에 영평천 주변의 도시화지수는 약 20 이하였다. 본 조사에서 돌 부착규조는 총 141종류로써 2목, 8과, 30속, 128종, 12변종, 1미동정종으로 구성되었다. 출현 종수는 포천천에서$11{\sim}36$종류의 범위였고, 영평천에서 $14{\sim}45$종류의 범위였다. 우점종은 포천천에서 Navicular saprophila, N. subminuscula, Nitzschia palea, Gomphonema pseudoaugur 등이었으며, 영평천에서 Achnanthes alteragracillima, A. convergens, A. minutissima, N. minima, N. fonticola, N. frustulum와 Cymbella minuta var. silesiaca 등으로써 두 하천의 도시화 정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도시화 지수와 EC, BOC, COD, TN, TP. 및 DAIpo 등은 높은 상관관계 $(r^2>0.8)$를 나타내었다. 도시화에 따라 유기오염의 정도가 매우 다르며, 이에 따라 돌 부착 규조의 생태군이 포천천에서는 호오탁성종의 종수 및 상대빈도가 매우 높은 반면 영평천에서는 호청수종의 종수 및 상대빈도가 높았다. 생물지수(DAIpo)에 의한 두 하천의 수질은 포천천에서 조사 동안 강부수성(P-3, 4, 5)을 나타내었고, 영평천에서는 빈부수성(Y-1)에서 강부수성(Y-4)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시화 반월 고습지와 저습지의 갈대 부착규조 군집 구조 (Structure of Epiphytic Diatom Communities at the Banwoul High and Low Wetlands in the Shiwha Constructed Wetland)

  • 김용재
    • 생태와환경
    • /
    • 제42권1호
    • /
    • pp.95-106
    • /
    • 2009
  • The Shihwa constructed wetland was established for the treatment of severely poluted water from Banwoul, Donghwa and Samhwa streams. This study was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structure of epiphytic diatom communities on reed (Phragmites communis) planting area at Banwoul high wetland (3 stations) and low wetland (3 stations) from March to October 2005. The concentration of T-N of inlet stations from the streams were decreased by flowed through the wetland, but the concentration of T-P were increased at outflow part. Epiphytic diatoms on the reed were a total 109 taxa which were composed of 103 species, 5 varieties, 1 unidentified species. The standing crops were rapidly decreasing tendency from spring to autumn but chlorophyll-a concentration were showed a very irregulated changes. Dominant species were 6 taxa which were Achnanthes minutissima in the early investigation, and were changed to the genus Navicula and the genus Nitzschia in the summer. DAIpo were ranged the values of $20.2{\sim}51$, which were mesosaprobic states at the high wetland and ranged the values of $12.4{\sim}52$, which were polysaprobic to mesosaprobic states at the low wetland. TDI were ranged the values of $28.8{\sim}94.5$, which were oligotrophic to eutrophic state at the high wetland and ranged the values of $33.3{\sim}89.7$ which were mesotrophic to eutrophic states at the low wetland. The healthy assessment (DAIpo and TDI) of water ecosystem were showed clean-bad from spring to autumn. These epiphytic diatom communities were determinated by the biological factor such as the growth of reed and the physical factors such as water temperature, light penetration and SS and so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