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enes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3초

어획지별 바다방석고둥의 식품성분 특성 (Comparison of Regional Variation in Food Component of Top Shell, Omphalius pfeifferi capenteri)

  • 하진환;김풍호;심효도;김진수;김인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84-388
    • /
    • 2001
  • 바다방석고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바다방석고둥의 어획지별 (제주시, 서귀포시, 한림읍 및 성산읍 연안)위생적, 영양적, 맛 및 관능적 특성과 같은 식품성분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바다방석고둥은 수은, 납 및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았거나 흔적량에 불과하여 식품소재로 사용하여도 중금속적인 면에서는 안전하다고 판단되었다. 바다방석고둥의 엑스분 질소함량은 $343.0\~385.4mg/100g$이었다. 구성아미노산함량은 $12.5\~13.2g/100g$이었고, 함량이 많은 것으로는 glutamic acid, proline 및 aspartic acid 등이었으며, 곡류 제한아미노산인 lysine의 함량도 많았다. 그리고, 무기질은 나트륨, 칼슘, 칼륨 및 마그네슘 등의 함량이 많았다. 바다방석고둥의 지방산조성은 필수지방산이거나 건강기능성이 인정되는 20:4n-6, 20:5n-3 및 22:5n-3 등과 같은 고도불포화산이 주요 지방산이었으나, 지질함량이 깎아 지방산에 의한 건강 기능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바다방석고둥은 어획지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어, 이들을 가공원료로 사용하는 경우 어획지역에 따른 가공품의 품질 차이는 없으리라고 판단되었다.

  • PDF

방선균 유래 이차대사 생합성 유전자 분석용 DNA Microarray 제작 및 해석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a DNA Microarray for the Screening of Biosynthetic Genes of Secondary-Metabolites formation in Streptomyces)

  • 남수정;강대경;이기형;김종희;강상순;장용근;홍순광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5-111
    • /
    • 2005
  • 다양한 균주들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신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은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방법이며, 신물질을 발견하는 비율도 계속 낮아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 균주들을 대상으로 microarray 기술을 이용한 target-directed screening기술의 개발은, 학문적 뿐만 아니라 산업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분리된 방선균각각의 유전체를 대상으로 microarray 분석을 통해, 새로운 생리활성 물질 생산균주 및 생합성 유전자를 확보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기존에 알려진 생리활성물질 생합성 유전자들을 확보하여 DNA chip을 제조하였으며, 유전체 염기서열이 밝혀진 S. coelicolor 균주를 대상으로 그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전체적으로 유전자 상동성이 높을수록 반응감도도 높은 편이었으나, 이러한 상환관계가 일치하지 않는 유전자들도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probe 유전자의 G+C 비율$(\%)$을 서로 비슷하게 구성하거나, 반응조건을 최적화 시킨다면 DNA chip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NA microarray를 통한 생리활성물질 발굴 연구는 세계적으로도 보고된 바 없는 새로운 접근방법으로서, 본 연구에서 시도하고 있는 방법은 발굴 target과 대상을 지정하고 시도되기 때물에, 효율면에서 무작위 스크리닝과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높을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연구와 같은 접근방법을 최적화 시킨다면, 방선균뿐만 아니라 다른 미생물부터 생리활성물질 및 생합성유전자 스크리닝에도 효과적으로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녹차 수용성 추출물을 이용한 김부각의 산화안정성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xidative Stabil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bugak Made of Aqueous Green Tea)

  • 박복희;최희경;조희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57-564
    • /
    • 2001
  • 녹차 수용성 추출물을 첨가한 김부각을 제조하여 $60^{\circ}C$의 항온기에서 40일간 저장하면서 김부각의 산화안정성 및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산가와 과산화물과는 저장기간 동안 FKBG-5% AGT군이 control이나 FKBG-10% AGT군에 비하여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녹차 수용성 추출물로 만든 김부각을 튀겼을 때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C_{18:2}$), oleic acid($C_{18:1}$), palmitic acid($C_{16:0}$)의 순으로 많았다. Control은 녹차 수용성 추출물을 첨가한 김부각에 대해 포와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불포화지방산 중 monoene의 함량은 약간 감소하였으나 polyen의 함량은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Carotenoid와 chlorophyll a 모두 녹차 수용성 추출물이 첨가된 김부각이 대조군보다, 튀기지 않은 김부각이 튀긴 김부각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녹차 수용성 추출물의 함량이 높을수록 chlorophyll a의 함량은 높았으나 carotenoid에서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평가에서 김특유의 냄새와 후미는 튀긴 부각과 튀기지 않은 부각 모두 5% 녹차 수용성 추출물 첨가군이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전제적인 기호도는 튀긴 부각과 튀기지 않는 부각 모두 녹차 수용성 추출물로 만든 김부각이 control 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 PDF

정어리 냉동고기풀의 품질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Sardine Surimi)

  • 오광수;문수경;이응호;김복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27-333
    • /
    • 1993
  • 정어리 냉동고기풀의 최적 가공조건은 원료 정어리를 알칼리 염수수세한 후 정어리 육에 대해 분리 대두단백질 : 물 : 정제 정어리유(1:5:2.6)로 만든 유화커드를 20%, 솔비톨 4%, 설탕 4%, 중합인산염 0.2% 및 항산화제로서 에리소르빈산나트륨을 0.1% 첨가하여 고기갈이한 후 $-35^{\circ}C$에서 급속동결시켜 carbon box로 포장하여 동결저장한 제품이 가장 좋았다. 본 제품의 수분함량은 73.3%, 조단백질 15.0%, 조지방은 6.9%였으며, 생균수는 $1.6{\sim}1.8{\times}10^4/g$으로 동결저장 중 변화는 거의 없었다. 제품의 주요 구성지방산은 16:0, 16:1, 18:1, 20:5 및 22:6 등으로 고도 불포화지방산이 47.7% 함유되어 있었다. 동결저장 중 120일 동안 제품의 물성, 지질산화 및 지방산의 변화 등을 측정한 결과, 유화커드와 에리소르빈산나트륨을 첨가함으로서 동결저장 중 단백질 변성, 지질의 산화 및 변색을 효율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었으며, 품질이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한편, 본 시제품과 명태 냉동고기풀을 혼합하여 가공한 어묵의 품질을 측정한 결과, 어묵의 품질에 큰 저하됨이 없이 명태 고기풀을 본 정어리 고기풀로 40%까지 대체할 수 있었으며 어육의 풍미를 갖는 연제품을 가공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조리방법에 따른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의 식품 영양성분 변화 (Changes of Nutritional Components in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by Various Cooking Methods)

  • 문수경;강지연;김인수;정보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17-327
    • /
    • 2012
  • The changes in the proximate compositions, lipid classes, and fatty acids of muscle and dripped lipids, and the amino acid compositions and mineral content were studied in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muscle cooked using a frying pan, oven, and microwave oven.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 in the raw sample (65.7%) and decreased with cooking, decreasing the most with frying pan method (54.5%). Conversely, the protein, lipid and ash content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cooking (P<0.05). The dripped lipid content from the cooked muscles was the highest with the frying pan sample (0.81%) and was approximately half this level in the oven (0.46%) and microwave oven (0.34%) samples. The percentage of non-polar lipid (NL) in the total lipid content exceeded 95% for the muscle lipids (13.9-17.6 g/100 g sample) and 99% for the dripped lipids (0.34-0.81 g/100 g sample). The prominent fatty acids were 18:1n-9, 16:0, 22:6n-3, 16:1n-7, and 20:5n-3 in the muscle and dripped lipids. The frying pan muscle lipid contained high levels of saturates and monoenes such as 16:0, 18:0, and 18:1n-9, and low levels of polyenes compared with other muscle lipids.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dripped lipids were similar with all three cooking methods. The prominent total amino acids in Spanish mackerel muscle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and arginine, and their proportions were similar (45.49-45.82%) in all samples. The potassium and phosphorous content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cooking (P<0.05), and while no heavy metals were detected in any sampl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hange in nutritional components, especially the lipid content, was lower with the microwave oven and oven methods compared with the frying pan method.

참조기 조미 건포류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asoned and Dried a Redlip Croaker, Pseudosciaena crocea Fillet)

  • 정복미;정규화;신태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53-558
    • /
    • 2002
  • 본 연구는 참조기를 이용하여 조미액을 달리 하여 4가지 건포류를 제조한 후 영양성분, 과산화물가, 대장균군수 및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건포류의 일반성분에서 수분은 다른 제품에 비해 녹차액을 사용한 B제품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조미 건포류의 단백질함량은 39~45%로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지방함량은 녹차액이 함유된 B제품이 가장 낮았으며, 매운 조미료를 이용한 D제품에서 지방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탄수화물 함량은 23~31%로 나타났으며 , 매운맛을 내는 D제품의 탄수화물 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회분 함량은 특히 매운 조미료를 사용한 D제품에서 다른 제품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건포류의 구성 아미노산 중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glutamic acid이었으며, 다음으로 aspartic acid, glycine, lysine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산의 구성에서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50~51%범위로 거의 제품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monoenes의 비율은 로즈마리액을 처리한 제품의 비율이 가장 낮았으며, polyenes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로즈마리액을 처리한 제품이 높게 나타났다. 과산화물가가 가장 낮은 제품은 로즈마리액을 첨가한 C제품이었으며, 매운맛을 내는 D제품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대장균군수는 모든 제품에서 모두 음성으로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평가결과 맛, 색의 경우 모든 제품이 쥐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냄새의 경우 매운맛을 내는 D제품은 쥐포와 차이가 없었으나, A, B, C제품은 모두 쥐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좋아함에서는 모든 제품이 쥐포와 차이가 없었다.

넙치 프레임을 이용한 스낵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Snack Using Flatfish-Frame)

  • 강경태;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651-656
    • /
    • 2007
  • 싱싱회 부산물인 어류 프레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넙치 frame을 주성분으로 하는 스낵의 제조를 시도하였고, 아울러 이의 성분특성도 검토하였다. 넙치 프레임은 중금속 및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으로 미루어 보아 스낵의 원료로 적절하리라 판단되었다. 스낵의 휘발성염기질소 함량, 수분활성 및 관능검사 결과 등으로 미루어 보아 넙치 프레임 분말의 최적 대체비율은 3%로 판단되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프레임 첨가 스낵이 무첨가 스낵보다 높았으며, 두 스낵 모두 주요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proline 및 leucine 등이었다. 또한 프레임 첨가 스낵의 칼슘 및 인의 함량은 각각 492.3 mg/100 g 및 270.3 mg/100 g으로 무첨가 스낵의 이들 함량에 비하여 높아 의미가 있었고, 칼슘/인의 비율도 1.82로 칼슘 흡수가 기대되는 비율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프레임 스낵은 구성아미노산의 및 무기질 강화면에서 의미 있는 수산가공품으로 판단되었다.

Fish-frame을 이용한 snack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Fish-frame-added Snacks)

  • 강경태;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61-268
    • /
    • 2006
  • Fish-frames are processing byproducts, which are left after obtaining fillets or muscle during fish processing. The fish-frame generally consists of muscle, collagen, calcium,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We used fish-frame powder (FFP) of chum salmon and skipjack tuna to prepare and characterize snacks for human consumption with different proportions of FFP. The crude protein and lipid contents of fish-frames were 16.3 and 9.4% for chum salmon and 18.6 and 8.3% for skipjack tuna, respectively. The volatile basic nitrogen (30.6 mg/100 g) and browning index (0.393) of FFP from chum salmon were lower than those of FFP from skipjack tuna. Thus, the FFP of chum salmon was better for making snacks than that of skipjack tuna. Five snacks were prepared with 0, 10, 20, 30, and 40% (w/w) substitution ratios of FFP from chum salmo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nacks decreased (33.6 to 11.5%) with increasing FFP substitution ratio, whereas crude ash (2.9 to 7.5%), protein (11.4 to 18.4%) and lipid (13.7 to 35.1%) increased. Sensory scores for the texture and taste of the snack with 30% FFP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for other snacks; the color and flavor scores of all snack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 major fatty acids in the snacks were 16:0 and 18:0 as saturates, 18:1n-9 as monoenes, and 18:2n-6 and 18:3n-3 as polyenes. Snacks with FFP contained small amounts of EPA (0.5 to 0.8%) and DHA (1.3 to 1.8%) in the total lipid composition.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16.08 g/100 g) of the snack with 30% FF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nack without FFP (11.18 g/100 g),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leucine, and lysine. The calcium and phosphorus contents of the snack with 30% FFP were 1,272 mg/100 g and 854 mg/100 g, respectively, and their ratio was the optimal range (2:1 to 1:2) for body absorption efficiency.

양식산 및 자연산 굴(Crassostrea gigas, Ostrea denselamellos)의 성분 특성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Cultured and Wild Oysters Crassostrea gigas and Ostrea denselamellos in Korea)

  • 이영만;이소정;김선근;황영숙;정보영;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586-593
    • /
    • 2012
  • To identify the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seven oysters(four cultured oysters and two wild oysters Crassostrea gigas and one dendely lamellated oyster Ostrea denselamellos Korean name beotgul) in Korea, the proximate, fatty/amino acid, mineral compositions, texture, color, chemical and taste compounds were investig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ultured and wild oysters, whereas beotgul had lower levels of crude protein, ash and lipid content, and a higher carbohydrate content. The amino nitrogen contents of the three main types were 232.8-258.2, 160.5-213.9, and 218.5 mg/100 g, respectively, and the salinities were 1.5-1.7, 1.5-1.8, and 0.9%, respectively. Regarding the muscle texture, the shearing forces were 95-114, 105-132, and 170 g, respectively. Amounts of total amino acids of cultured, wild oysters and beotgul were 9,004-10,198, 8,165-8,942, and 7,767 mg/100 g, respectively. The major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Asx), glutamic acid (Glx), proline, alanine, leucine, phenylalanine, lysine and arginine. Regarding inorganic ions, beotgul had much lower Fe and S contents than the cultured and wild oysters. The major fatty acids of cultured and wild oysters were 16:0, 18:0, 16:1n-9, 18:1n-9, 22:1n-9, 16:4n-3, 20:5n-3, and 22:6n-3, a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Beotgul had a higher polyenes ratio, i.e., 20:5n-3, and a lower monoenes ratio than the cultured and wild oysters.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of cultured, wild oysters and beotgul extracts were 1,444-1,620, 1,017-1,277, and 1,144 mg/100 g, respectively, and the major free amino acids were taur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tryptophan, ornithine, and lysine.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in the glycine, tryptophan, ornithine, and arginine contents.

DHA 함유 지질 추출소재로서 수산부산물의 검색 (Screening of by-products derived from marine food processing for extraction of DHA-contained lipid)

  • 김정균;이응호;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3호
    • /
    • pp.215-219
    • /
    • 1997
  • 수산부산물을 식품소재와 같이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기초 연구로서 DHA 함유 지질 추출소재로서 붕장어, 칼치의 내장 및 두부, 꽁치, 포클랜드산 및 뉴질랜드산 오징어의 내장 등과 같은 부산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수산부산물의 건물당 지질함량은 $40.5{\sim}48.0%$이었고, 지질조성은 중성지질이 $92.1{\sim}99.0%$로 추출 소채에 관계없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중성지질은 트리글리세리드가 $50.0{\sim}69.9%$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유리지방산이 $7.8{\sim}20.3%$, 스테롤류가 $3.5{\sim}13.9%$, 탄화수소가 $4.2{\sim}10.2%$ 및 디글리세리드가 $3.5{\sim}9.3%$를 차지하였으며, 모노글리세리드는 2% 내외 이었다. 수산부산물에서 추출한 총지질의 지방산조성 중 폴리엔산의 조성비는 포클랜드산 및 뉴질랜드산 오징어 내장유가 각각 41.0% 및 38.2%로 어류 부산물유의 $27.7{\sim}33.3%$에 비하여 높았다. DHA조성비는 뉴질랜드산 오징어 내장유가 21.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포클랜드산 오징어 내장유(16.3%), 갈치 부산물유(13.9%), 붕장어 부산물유(11.7%) 및 꽁치 부산물유(10.7%) 등의 순이었다. 총지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지질 추출 소재인 부산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16:0, 18:1n-9, 20:5n-3 및 22:6n-3 등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