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caprolactone (PCL)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19초

Polycaprolactone-폴리아미드 블록공중합체/Poly(vinyl chloride) 블렌드의 상용성과 기계적 성질 (Misci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caprolactone-polyamide Block Copolymer/Poly(vinyl chloride) Blend)

  • 안소봉;이하용;정한모
    • 폴리머
    • /
    • 제24권1호
    • /
    • pp.128-132
    • /
    • 2000
  • Polycaprolactone (PCL) 블록의 함량이 62.7 wt%인 PCL-폴리아미드 블록공중합체와 poly(vinyl chloride) (PVC)의 상용거동을 시차주사열량계로 열적 성질을 관찰하여 조사하고, 블렌드물의 인장물성을 측정하였다. PCL과 PVC 세그먼트는 상용성을 가졌으며, PVC의 함량이 많은 경우 PCL의 결정화가 방해받아 PCL과 PVC 세그먼트로 구성된 비결정성 균일상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PCL/PVC 균일 비결정상과 폴리아미드의 결정상이 병존하는 경우 균일 비결정상의 유리전이온도와 결정상의 녹는점 사이의 온도 영역에서 블렌드물은 고무탄성을 가졌다.

  • PDF

Polycaprolactone을 분해하는 토양미생물 (Soil Microorganism Degrading Polycaprolactone)

  • 김말남
    • 환경생물
    • /
    • 제22권3호
    • /
    • pp.400-404
    • /
    • 2004
  • 유기합성적으로 제조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일종인 polycaprolactone (PCL)을 $27^\circ{C}$$37^\circ{C}$로 온도를 달리한 활성오니토양에 66일간 매립하여 토양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PCL 필름의 표면변화를 관찰하고, PCL을 분해하는 토양진균과 토양세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PCL을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토양진균으로는 Paecilomyces fumosoroseus KH27, Penicillium digitatum KH28, Fusarium solani KH29와 Aspergillus sp. KH30, 토양세균으로는 Ochrobactrum anthropi KH3l이 분리되었다. $27^\circ{C}$에서는 P. digitatum KH28이 가장 높은 PCL 분해능(46%)을 보였고, $37^\circ{C}$에서는 O. anthropi KH31의 분해능(52%)이 가장 우수하였다.

Electron Beam-induced Crosslinking and Characterization of Polycaprolactone Films in the Presence of Various Crosslinking Agents

  • Kang, Dong-Woo;Jung, Chan-Hee;Hwang, In-Tae;Choi, Jae-Hak;Nho, Young-Chang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7-112
    • /
    • 2011
  • Electron beam-induced crosslinking of polycaprolactone (PCL) films containing various crosslinking agents (CA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PCL films containing various CAs prepared by a solution casting method were irradiated by electron beams at various absorption doses and the irradiated PCL film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ir crosslinking degree,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biodegrad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rosslinking degree measurement, triallyl isocyanurate was found to be most effective for the electron-beam induced crosslinking of PCL films. The results of the UTM, DMA, and TMA revealed that the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rosslinked PCL films were greatly improved in comparison to those of the pure PCL. The results of the enzymatic degradation test revealed that the biodegradability of the crosslinked PCL films was reduced in comparison to that of the pure PCL.

PCL/TPS 블렌드의 물성 및 생분해도 (Mechanical Properties and Biodegradability of PCL/TPS Blends)

  • 신창호;김영진;김봉식;신부영
    • 폴리머
    • /
    • 제24권1호
    • /
    • pp.48-57
    • /
    • 2000
  • Polycaprolactone (PCL)과 열가소성 전분(thermoplastic starch (TPS))을 이용하여 여러 조성의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PCL/TPS 조성을 90/10, 80/20, 70/30, 60/40, 50/50, 40/60, 30/70, 20/80, 10/90으로 조절한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 열적 특성, 흡습성, 퇴비화법에 의한 생분해도, 표면 형상 등을 측정, 분석하였다. 인장강도와 신장률은 TPS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탄성률은 TPS의 함량이 30%까지 증가하였다. TPS는 23$^{\circ}C$와 126$^{\circ}C$에서 2개의 유리전이온도(T$_{g}$ )를 의였으며, 결정의 용융점 (T$_{m}$ )을 나타내는 흡열 곡선은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열가소성 전분은 무정형 고분자임을 알 수 있었다. PCL/TPS 블렌드의 T$_{g}$ 와 T$_{m}$ 변화는 PCL과 TPS 사이의 상용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블렌드 필름의 파단면 형상을 보여주는 전자현미경 사진은 PCL과 TPS는 서로 상분리가 일어나지만 기계적 상용성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5일간의 생분해 실험에서 PCL의 생분해도는 44%였고 PCL/TPS 블렌드의 생분해도는 TPS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생분해도가 증가하였다.

  • PDF

생체적 적용을 위한 전기전도성을 갖는 그래핀과 폴리카프로락톤 복합물질 전기방사 섬유형 필름 (Electroconductive Graphene-Combined Polycaprolactone Electrospun Films for Biological Applications)

  • 오준성;이은정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278-285
    • /
    • 2021
  • This study produces electroconductive polycaprolactone (PCL)-based film with different amounts of graphene (G) through electrospin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ed G/PCL composites are investigated. The G/PCL results are analyzed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obtained using pure PCL electrospun film as a control. The morphology of electrospun material is analyzed throug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are also evaluated. Composites containing 1 % graphene have the highest elongation rate, and 5 % samples have the highest strength and elasticity. Graphene contents > 25 % show electro-conductivity, which level improves with increase of graphene content.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PCL composites are assessed through behavioral analysis of neural cell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Cell experiments reveal that compositions < 50 % show slightly reduced cell viability. Moreover, graphene combinations facilitated cell proliferation compared to pure PCL. These results confirm that a 25 % G/PCL composition is best for application to systems that introduce external stimuli such as electric fields and electrodes to lead to synergistic efficiency of tissue regeneration.

막유화법에 의한 생분해성 Polycaprolactone 마이크로캡슐의 제조와 약물방출 특성 (Preparation of Polycaprolactone Microcapsules by Membrane Emulsification Method and Its Drug Release Properties)

  • 염경호;윤태호;김공수;조석형
    • 멤브레인
    • /
    • 제17권1호
    • /
    • pp.67-79
    • /
    • 2007
  • SPG (Shirasu porous glass) 관형 막이 설치된 회분식 막유화 장치를 사용하여 이온성 약물이 담지된 단분산 polycaprolactone (PCL)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막유화 공정변수의 최적조건을 결정하였다. 마이크로캡슐에 담지된 이온성 약물로는 양이온성인 lidocaine-hydrochloride, 중성인 sodium salicylate와 음이온성인 4-acetaminophen의 3가지를 사용하였으며, PCL 마이크로캡슐로부터 이들 모델약물의 방출거동을 검토하였다. 캡슐제조에 사용된 PCL의 농도와 분자량, 막간 압력차, 분산상과 연속상에 첨가시킨 유화제의 농도, 연속상의 교반속도가 막유화법으로 제조된 PCL 캡슐의 크기와 크기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들 공정변수의 조절을 통해 평균 크기 약 $5\;{\mu}m$의 균일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할 수 있었다. 약물 방출실험 결과 산성조건에서 알칼리조건으로 방출환경이 변화됨에 따라 약물 방출속도가 증가하였다.

분자구조가 제어된 Poly(styrene-g-caprolactone)의 합성 및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열적 성질 (Synthesis and Thermal Property of Poly(styrene-g-caprolactone) with Well-defined Structure)

  • 오병석;안성국;조창기
    • 폴리머
    • /
    • 제24권3호
    • /
    • pp.306-313
    • /
    • 2000
  • Stannous 2-ethylhexanoate와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를 개시제로 사용하여 $\varepsilon$-caprolactone을 개환중합하여 polycaprolactone (PCL) 거대단량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PCL 거대 단량체는 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 (TEMPO)를 개시제로 사용하는 안정한 자유 라디칼 중합에 의해 스티렌과 공중합되었으며 그 결과 분자구조가 조절된 poly(styrene-g-caprolactone) (PS-g-PCL)이 얻어졌다. 얻어진 공중합체는 광산란 검출기가 장착된 GPC를 이용하여 분자량을 측정하였으며, $^1$H-NMR 분석을 통해 공중합체내의 PS/PCL 함량 비를 구하였다. 전체 분자량과 PCL 거대단량체의 분자량 그리고 공중합체내 PCL의 함량으로부터 사슬당 그라프트의 수를 계산하였다. DSC를 이용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열분석에서 PCL 결정의 흡열 피이크가 관찰되었으며, 이로부터 PS-g-PCL이 상분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우레탄수지에서 캐비테이션 저항을 높이기 위한 Polyol의 영향 (Effect of polyol on urethane to increase the cavitation resistance)

  • 이익수;김낙주;박대원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28-63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캐비테이션에 의한 부식에 강한 도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고탄성의 우레탄 수지에 내마모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로서 Polypropylene glycol(PPG), Polycarbonate diol(PCD), Polycaprolactone polyol(PCL-1), Polycaprolactone-tetramethylene glycolether(PCL-2) 등 4가지 종류의 Polyol을 첨가하여 제조한 도료의 물성과 캐비테이션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합성된 도료의 물성을 비교한 결과 Polyol 중에서는 PCD을 첨가한 경우 경도와 내마모성이 높아 캐비테이션 저항성이 높을 수 있는 물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점도를 가지고 있어서 도료화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점도가 낮은 도료를 위하여 PCL-1을 적절한 첨가제로 선정하였다. PCL-1이 첨가된 도료의 캐비테이션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SEM을 이용하여 표면 분석을 통한 기공의 침식현상을 관찰하였다.

Highly Homogeneous Carbon Nanotube-Polycaprolactone Composites with Various and Controllable Concentrations of Ionically-Modified-MWCNTs

  • Lee, Hae-Hyoung;Shin, Ueon-Sang;Jin, Guang-Zhen;Kim, Hae-W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1호
    • /
    • pp.157-161
    • /
    • 2011
  • For the fabrication of multifunctional biopolymer nanocomposites in the combination of carbon nanotubes (CNTs), recently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paid to an effective homogenization of CNTs within polymer matrices and a fine tuning of the concentration. We developed an efficient method to produce homogeneous CNT-polycaprolactone nanocomposites with various and controllable CNT concentrations using an ionically-modified multi-walled CNT, MWCNT-Cl. The modified MWCNTs could be homogeneously dispersed in tetrahydrofuran (THF). Polycaprolactone (PCL) as a biodegradable and biocompatible polymer was smoothly dissolved in the homogeneous MWCNT-Cl/THF solution without agglomeration of MWCNT-Cl. The physicochem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resultant nanocomposites were examined and the biological usefulness was briefly assessed.

감마선을 이용한 아크릴산이 도입된 골조직공학용 PCL/BCP 나노섬유 지지체의 개발 (Development of Acrylic Acid Grafted Polycaprolactone (PCL)/Biphasic Calcium Phosphate (BCP) Nanofiber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Using Gamma-Irradiation)

  • 정진오;정성린;신영민;박종석;권희정;안성준;허중보;신흥수;임윤묵
    • 폴리머
    • /
    • 제39권3호
    • /
    • pp.418-425
    • /
    • 2015
  • Polycaprolactone(PCL)과 biphasic calcium phosphate(BCP)는 생체적합성 및 골 형성 촉진 등으로 인해 정형외과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PCL은 표면이 소수성으로 인해 세포의 부착 및 증식에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을 이용하여 골 재생을 위한 친수성이 향상된 PCL/BCP 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나노섬유는 전기방사를 통해 제작했으며, 감마선을 이용하여 acrylic acid(AAc)를 도입하였다. SEM을 통해 나노섬유 표면을 확인하였고, AAc가 도입된 나노섬유 위에서 MG63의 초기 생존율이 현저히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알칼리성 포스파테이즈 활성은 $1.239{\pm}0.226nmole/{\mu}g/min$으로 개질되지 않은 나노섬유($0.590{\pm}0.286nmole/{\mu}g/min$) 보다 증가하였다. 따라서, AAc가 도입된 PCL/BCP 나노섬유는 골조직 재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