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ollutant delivery ratio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tudy on delivery pollutant ratio assessment of inflow stream for non-point pollutants decrease of Hwaseong lake (화성호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유입하천의 오염부하량 유달율 산정)

  • Woo, Su-Hye;Choi, I-Song;Choi, Jun-Hyog;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47-1051
    • /
    • 2006
  • 우리나라는 산업화 이후 많은 인공 저수지를 건설하였으며, 이후 부영양화 등의 수질 악화로 하천 및 호소의 오염은 심각한 상황에 놓여있다. 이에 대해 점오염원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였지만, 하천 및 호소의 오염저감에 한계를 드러내었으며 그 원인을 비점오염원에서 오염물질이 대량으로 하천 및 호소에 유입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성호의 주요 유입하천(남양천, 자안천, 어은천) 유역의 오염원 조사와 유입하천의 강우시기별 수질 및 유량조사를 통하여 오염부하량의 산정 및 유입하천의 오염부하량 유달율을 산정함으로써, 비점오염원에 대한 보다 명확한 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강우시 수질 및 유량조사 결과, 유입하천의 유량은 강우 사상과 매우 큰 관계를 지니며, 강우 강도 및 강우 지속 시간 등의 변화에도 많은 유출 특성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월별 유달율 산정 결과 홍수기에 가장 높았으며, 이는 강우의 집중으로 인한 비점오염물질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강우시의 유달율이 높게 나타난 것은 강우시에는 점 및 비점오염원 모두에서 비점오염 형태로의 유출 가능성이 커 이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유달율 산정으로 하천 수계 특성에 적합한 소유역의 유달율 적용을 통해 점 및 비점오염원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자료로 이용함으로써 하천 및 수계 관리를 위해 보다 실효성 있는 관리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ssessment of Pollutant Loads for Water Enhancement in the Jeongeupcheon of Dongjin River (동진강 정읍천 유역 오염부하량 평가)

  • Lee, Kyeong-Bo;Kim, Jong-Cheon;Park, Ji-Hye;Lee, Deog-Bae;Kim, Jong-Gu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3 no.1
    • /
    • pp.41-46
    • /
    • 2004
  • The influence of pollutant loads on the water quality in Jeongeupcheon of Dongjin river was evaluated from Jan. 2002 to Dec. 2003 for two years. The range of pH in water was $6.87{\sim}7.53$. The EC level in upstream ranged from 83 to $95\;{\mu}s/cm$ with the highest value in autumn. The BOD level in upstream rang ed from 0.61 to 1.27 mg/L, which would be I grade according to water quality criteria by Ministry of Environment, but that in downstream was III grade. The average T-N level in midstream ranged from 6.10 to 10.84 mg/L which was the highest values throughout the stretch of the river. The average T-P levels ranged from. 0.41 to 0.98 mg/L Jeongeupcheon was suitable for the agricultural usage based upon one year analysis of river water quality. The effluent loads of BOD was high in midstream (J4) with 553 kg/day. The major sources of T-N loads were livestock, population, land use, and industry in order. The effluent loads of T-N was high in J4 by population and industry while that of T-N was high in J5 and J6 by livestock and land use. The delivered loads of T-N was high in downstream The delivered loads of T-P was low as compared with those of BOD and T-N. The delivery ratio of T-N ranged from 6 to 38%.

Assessment of Pollutant Loads for Water Enhancement in the Mankyeong River (만경강 유역 오염부하량 평가)

  • Lee, Kyeong-Bo;Kim, Jong-Cheon;Kim, Jong-Gu;Lee, Deog-Bae;Park, Chan-Won;Kim, Jae-Du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4 no.2
    • /
    • pp.83-90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pollutant loads on the water quality in the Mankyeong River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4. The BOD level in upstream ranged from 0.58 to 1.57 mg $L^{-1}$, which would be in I grade according to water quality criteria by Ministry of Environment but BOD level in midstream and downstream was III grade. T-N contents were high in midstream and the average T-P level ranged from 0.06 to 2.70 mg $L^{-1}$. The point raw loads of BOD was high in Iksancheon, Mokcheonpo and Cheongha basin. The point raw loads of T-N and T-P were high in Iksancheon and Cheongha watershed. The non-point low loads of BOD were 3,931 kg $day^{-1}$, 2,870 kg $day^{-1}$ and 2,827 kg $day^{-1}$ in Mokcheonpo, Top and Jeonju watershed, respectively. The major source of BOD effluent load was population, that of T-N and T-P effluent loads was livestock. The delivered load of T-N were high in Jeonju, Mokcheonpo, Gosan, Iksancheon watershed in order. The delivered load of T-N was high in Jeonju watershed and that of T-P was high in Jeonju and Iksancheon watershed. The delivery ratio of BOD and T-N at dry season were below 100% except Mokcheonpo watershed. The delivery ratio of BOD and T-N at raining season were high in Gosan watershed.

Analysi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using GIS Technique (GIS를 이용한 충주호주변의 비점원 오염 분석 연구)

  • 김윤종;유일현;김원영;류주영;이영훈;민경덕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3 no.1
    • /
    • pp.1-18
    • /
    • 1995
  • Despite the widespread use of GIS over the past ten years, it has been limited application for regional modeling of pollutant loadings such as sediment, nitrogen, and phosphorus(non-point source pollution),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to: select important processes and parameters of watersheds that contribute to non-point source pollution degradation, develop a ranking model to use the environmental geologic data and verify the model by comparing results with existing water quality data(Chung-ju Lake) for specific watersheds, The GIS database consisted of topography, geology, soils, precipitation, rainfall erosivity, land use, and watershed boundaries. The index(NPSP) for assess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was comprised in the following three seperate components: soil loss index(SLI) assesses the potential soil erosion and sedim-ent delivery from field to stream; run-off potential ratio(R.P.R) predicts the potential production of surface runoff; chloropgyll-a index ranks the potential manure(animal or human) production within a watershed. The GIS model was a valuable tool to assess the impact of environmental pollation in watersheds.

  • PDF

Pollutant Load and Delivery Ratio in Upper Chungmi River Watershed (청미천 상류유역의 오염부하량 및 유달율 산정)

  • Jun, Sang Min;Kang, Moon Seong;Park, Jihoon;Song, Jung Hun;Ryu, Jeo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11-511
    • /
    • 2016
  • 오염부하량은 오염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발생부하량, 수체로 배출되는 배출부하량, 수체의 특정지점까지 도달하는 유달부하량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하천의 수질관리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정확한 유달부하량 산정이 필요하다. 유달부하량 산정방법에는 실측에 의한 방법, 모델링을 이용한 방법, 유달율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중 유달율은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된 오염물질이 수체의 특정지점에 도달하는 비율이며, 일반적으로 배출부하량과 유달부하량의 비를 의미한다. 따라서 특정 유역의 유달율을 알고 있을 경우 배출부하량을 이용한 유달부하량의 추정이 가능하다. 유달율을 산정하는 방법은 모니터링을 통해 유달부하량과 배출부하량의 비율을 직접 계산하는 방법, 기 개발된 유역특성을 이용한 회귀식을 이용하는 방법, 모델링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미천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수문 수질 모니터링을 통해 유달부하량을 계산하고, 배출부하량과의 비교를 통해 유달율을 산정하여 수질관리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청미천 상류유역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축사가 밀집한 지역으로 수질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모니터링 지점은 청미천의 지류인 양가천을 따라 3개 지점, 청미천 본류에 1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유량 자료는 초음파 수위계를 이용해 측정한 수위자료와 수위-유량곡선을 이용해 구축하였으며, 수질 자료는 월1회 이상 정기 측정 및 강우시 정밀 측정을 실시하여 구축하였다. 수문 수질 자료를 이용해 유량-부하량 관계식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해 유달부하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통계자료를 통해 각 모니터링 지점을 말단으로 하는 유역의 오염원 현황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환경부 원단위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지점별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유달율은 배출부하량과 유달부하량의 비로 계산하였으며,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비교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청미천 유역의 수질관리대책 마련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