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len morphology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3초

Atractylis속(국화과)의 화분형태 (Pollen Morphology of the Genus Atractylis L. (Compositae))

  • 정규영;정형진;김미숙;윤창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9-9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Atractylodes속과 혼용되는 Atractylis속 6분류군의 화분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속의 화분은 단립(monad)으로, 극축의 길이는 46.5-66.7$\mu\textrm{m}$, 적도면의 나비는 43.6-60.47$\mu\textrm{m}$이 었다. 발아구는 3공구형 (tri-colporate)으로서 , 구구(colpus)의 길이는 19.6-29.1 $\mu\textrm{m}$, 나비는 7.3-11.0$\mu\textrm{m}$이 었고, 공구의 직경 은 6.4-10.6$\mu\textrm{m}$ 이었다. 화분벽은 외표벽 (ektexine)은 기저층(foot layer)과 원주층(columellae), 피복층(tectum)으로 구성되고, 두에는 5.2-8.3$\mu\textrm{m}$이었다. 화분의 표면 돌기는 자상(echinate)으로서 길이가 1.4-5.8$\mu\textrm{m}$이었으며, 단위면적당(No./20$\mu\textrm{m}$$^2$) 분포는 6-33개 이었다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들의 화분, 특히 Atractylis arabica, A. aristata, A. carduus, A. microcephala의 화분형 태는 Atractylodes속의 화분과 매우 유사하였으며, 따라서 화분에 관련된 형질은 두 속을 구분하는 식별형질로 적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화분에 관련된 형질이 Atractylodes속에서는 화분의 크기만이 속내 분류군간의 식별형질로서 기여도가 적은 반면, Atractylis속에서는 화분의 크기뿐만 아니라 형태 및 표면무늬와 자상돌기의 크기 등에 있어서 분류군간 의 식별형질로서 적용되어 분류학적 기여도가 다소 큰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급된 분류군 중 A. cancellata와 A. prolifera는 나머지 분류군들과 달리 자상돌기가 작고 적도면상이 긴 특징은 본속의 화분의 진화경 향성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였다.

Diurnal and Nocturnal Behaviour of Airborne Cryptomeria japonica Pollen Grains and the Allergenic Species in Urban Atmosphere of Saitama, Japan

  • Wang, Qingyue;Nakamura, Shinichi;Lu, Senlin;Nakajima, Daisuke;Suzuki, Miho;Sekiguchi, Kazuhiko;Miwa, Makoto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7권2호
    • /
    • pp.65-71
    • /
    • 2013
  • Japanese cedar (Cryptomeria japonica) pollinosis is the most popular pollinosis in Japan. It has been reported that Cryptomeria japonica pollen allergenic species are suspended as fine particles in the urban atmosphere. These allergenic fine particles are responsible for inducing asthma by breaking into the lower respiratory tract. It has also been found that pollinosis symptoms on the sufferers appear mainly at night-time by the results from epidemiological studies. However, the exact reason for these phenomena is not yet clarified. In this study, the diurnal and nocturnal behaviours of Cryptomeria japonica pollen grains and their allergenic species in the urban area of Saitama city of Kanto Plain were investigated. Airborne pollen grains and allergenic Cry j 1 concentrations in total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TSP) were investigated at two sampling sites, a heavy traffic road (roadside site) and at the balcony of the $10^{th}$ floor of the Building of Research and Project of Saitama University (general urban site). The latter sampling site where located about 300 m away from the roadside site was used as a general urban site unaffected by automobile traffic. The airborne pollen counts were measured with a real-time pollen monitor. Cry j 1 particles were collected with two high volume air samplers, and thes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surface plasmon resonance method with a Biacore J system. The diurnal variation of the airborne pollen counts was similar to the trends of temperature and wind speed during the day-time; whereas its tendency with wind speed trend was not observed during the night-time. Airborne pollen counts were lower with northern wind than with southern wind because the pollen comes from the mountainous areas, and the mountains in the south are closer, about half the distance to the northern mountains. It is suggested that the peaks of airborne pollen counts during night-time in the sampling site occurred by transport of pollen grains released during day-time in the mountainous forest areas, located c.a. 100 km away from the sampling site. On the roadside site the allergenic Cry j 1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at the general urban site, nevertheless pollen grains counts were low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worsening of pollinosis symptoms during night-time in urban area was caused by transport of pollen grains during day-time in the mountainous forest areas. Moreover, pollen allergenic species become different morphology from pollen grain at roadside site, and the subsequent pollen grains re-suspension by automobile traffic.

왕머루의 화형에 따른 화분특성 및 포도의 교배화합성 (Pollen Characteristics of Flower Type and Cross Compatibility with Table Grape in Vitis amurensis Rupr.)

  • 박영식;김인종;정병찬;허재윤;박성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234-240
    • /
    • 2005
  • 본 연구는 강원도 일원에서 수집된 왕머루 (GW-22, GW-45, GW-56, GW-200, GW-202, GW-300)의 화형에 따른 화분 특성 및 포도와 교배친화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각각의 꽃 구조와 화분발아능력, 화분 형태, 화분크기 및 포도와 교배화합성을 조사하였다. GW-22와 GW-56의 꽃은 암술이 퇴화하고, 5개의 수술대가 곧은 직선이었다. 이들 각각의 계통은 인공배지에서 화분발아율은 $27.6{\sim}29.8%$였다. GW-45, GW-200, GW-202, GW-300의 꽃은 잘 발달된 암술과 5개의 수술대가 바깥쪽으로 말린 형태였다. 이들 계통은 모두 인공배지에서 화분발아율은 0%였다. 이들 계통은 자가수분된 머루에서는 과립과 종자를 얻을 수 없었다. 머루간의 상호교배에서는 착과율이 $14.1{\sim}45.4%$였다. 따라서 왕머루의 꽃 형태는 Vitis종의 자웅이주식물이다. 암머루와 수머루의 교배시 정상적인 종자를 형성하였고, 포도와 수머루의 교배시 정상적인종자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암머루와 암머루의 교배시 종자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머루는 포도와 상호교배친화성이 있으며, 왕머루계통은 포도속 식물의 육종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화분립(花紛粒)의 영양생화학적(營養生化學的) 연구(硏究) -2. 해바라기 화분립(花紛粒)의 아미노산조성(産組成)과 RAT 간(肝) Alcoholdehydrogenase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Nutritional and Biochemical Studies on the Pollen Loads -2. Amino Acid Composition of Sunflower Pollen Load and Its Effects on the Hepatic Alcohol Dehydrogenase(ADH) Activity in Rat-)

  • 윤수홍;안정임;권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7-32
    • /
    • 1985
  • 화분립이 alcohol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아미노산을 분석하고, rat에 alcohol과 화분립을 각각 농도별로 투여하여 rat 간(肝) alcoholdehydrogenase (ADH)활성과 간(肝)조직 변화를 실험하였다. 1. 해바라기 화분립의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여 phenylalanine을 비롯한 18종의 아미노산을 정량하였으며, 필수 아미노산중 특히 phenylalanine, leucine, threonine, lysine의 함량이 많았다. 2. 실험동물의 간(肝) ADH활성은 alcohol 투여군이 alcohol농도에 비례하여 대조군 보다 현저히 저하하였으며, 화분립을 alcohol과 함께 투여함으로써, 대조군에는 미치지 않았지만 ADH활성이 증가하였고, alcohol의 농도가 낮을수록 그 증가율이 높았다. 3. 실험동물의 간(肝)조직은 alcohol투여군에서 지방침윤이 나타났으며, 화분립과 alcohol 복합투여군에서는 지방침윤이 현저히 적게 나타났다.

  • PDF

작약화분(芍藥花粉)의 형태(形態) 및 발아(發芽) (Pollen morphology of Paeonia lactiflora Pallas and its germination)

  • 김재철;신종희;김정혜;박소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31-235
    • /
    • 1996
  • 작약(芍藥) 화분(花粉)의 형웅(形熊)와 화분발아능력(花粉發芽能力)에 관한 실험을 수행(遂行)한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작약(芍藥)의 화분형태(花紛形態)는 주(主)로 장타원형(長楕圓形)이었으며 작약화분(芍藥花粉)의 화분(花粉) 발아률(發芽率)은 71% 정도로 타계통보다 낮은 편이었다. 2. 꽃봉오리 상태에서 화분은 개화 10일전까지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개화전(開花前) $7{\sim}9$일 부터 관찰되었고 개화기(開花期)가 가까울수록 정상화정비률(正常花精比率)과 화분(花粉) 발아률(發芽率)이 높았다. 3. 작약화분(芍藥花粉)은 화분발아배지(花粉發芽培地)에서 치상(置床) 30분 후(後)부터 발아하기 시작하여 화분관(花粉管)이 신장(伸長)하였으며 약 2시간부터 3시간 사이에서 발아가 거의 완료(完了)되었다. 4. 화분(花紛)의 수명(壽命)은 저장기간(貯藏期間)이 경과(經過)할수록 단축(短縮)되었는데 상온(常溫)저장시 저장 8일에 51%. 15일에 25% 31일에는 전혀 발아되지 않았고 $5^{\circ}C$와 -$15^{\circ}C$에 15일 저장시는 각각50%, 55%가 발아되었으며 95일 저장에서도 각각 48%와 43%로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어 $5^{\circ}C$냉장(冷藏)과 $-15^{\circ}C$냉동(冷凍)에서는 작약화분(芍藥花粉)의 장기저장(長期貯藏)이 가능(可能)하였다.

  • PDF

A palynological study of Dioscorea (Dioscoreaceae) in Korea

  • JEONG, Dae-Hui;JO, Hyeong-Jun;KIM, Jae-Young;KWON, Min-Ji;JEONG, Seon;PARK, Hong-Woo;CHUNG, Youngjae;CHUNG, Gyu-You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9-34
    • /
    • 2022
  • A palynological study of genus Dioscorea L. in Korea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axonomic implication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alyn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ven taxa of Dioscorea L., including six that are distributed in Korea and D. tokoro found in Japan, sections or spec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number of apertures, the polar end shape, and exine sculpturing. Specifically, the exine sculptures of D. coreana and D. tokoro, erroneously known to be distributed in Korea, are distinguished. The change in the number of apertures is closely associated with microsporogenesis, and it can be presumed that disulcate pollen might have been derived from monosulcate pollen in Diosc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