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len key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에서 생육하는 콩과 목본식물의 화분형태 (Pollen Morphology of the Woody Fabaceae in Korea)

  • 성은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87-108
    • /
    • 2007
  • 콩과의 화분학적 자료를 제공하고 분류학적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국에서 생육하는 콩과 목본식물 12속 31분류군의 화분형태를 광학현미경과 주사형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콩과의 화분립 형태는 단립이었으며, 적도면 입상은 약장구형 혹은 드물게 아장구형으로 나타났다. 화분립의 발아구는 적도면에서 일렬로 배열하는 삼공구형이거나 혹은 드물게, 한국에서 생육하는 콩목의 다른 과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삼복개형이었다. 본 과는 표면무늬에서 평활상, 미세공상, DMIP상, 세공상, 다각형 세공상, MAP상, MPG상, PMAP상, VPPS상, VP상, 과립상, 난선상, 망상, 세망상과 같은 다양성을 보여주었다. 화분학적 특징은 개느삼속이 고삼속으로 합병되어야 함을 지지하였고, 골담초속(Galegeae족)과 Sophoreae족 내 Sophora 그룹(Maackia, Sophora, Echinosophora)이 측정된 모든 특징과 표면무늬에서 서로 상당히 유사하였다. 발아구형, 화분립형태 그리고 표면무늬의 차이점에 근거하여 콩과의 11속이 인지되었고, 한국에서 생육하는 목본 콩과의 속수준의 화분검색표와 싸리속의 화분형검색표가 작성되었다. 조사된 Coronilla속과 등나무속 내 분류군들이 표면무늬에 의해 구별이 가능했다.

한국(韓國)의 주요(主要) 나자식물(裸子植物) 화분(花粉)의 형태학적(形態學的) 연구(硏究) (Contribution to the Pollen Morphology and Taxonomy of Korean Gymnosperms on the Generic Level)

  • 김계환;이상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5-42
    • /
    • 1978
  • 한국(韓國) 나자식물(裸子植物) 5과(科) 9속(屬) 17종(鍾)에 대(對)한 화분형태(花粉形態)를 관찰(觀察)하여 그 특징(特徵)을 기재(記載)하고 검색표(檢索表)를 만들었다.

  • PDF

화분에 의한 납의 오염도 분석과 그 방제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and Control of Pb Pollutions of Soils by Pollens)

  • 장남기;고영현;홍순철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1-48
    • /
    • 1998
  • In this paper, pollen types of plants and Pb, N, P, K, Ca and Na in pallens of trees were investigated to control the air and soil pollutions. Morphological types of about 500 species of plants were identified to make the best use of paleontology, medicine and pharmacy. There were th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b, N, P, K,Ca and Na contents in pollens and soils, respectively. A heavy metal, Pb, contained in pollens was not absorbed by rats. This fact should be utilized to purify air and soils polluted by Pb. Key words: Pb, Pollen, Pollution, puripication, Control.

  • PDF

한국(韓國)에서 생육(生育)하는 땅비싸리속(屬)(콩과(科))의 화분형태(花粉形態) (A Contribution to the Pollen Morphology of Indigofera(Fabaceae) in Korea)

  • 성은숙;김계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213-220
    • /
    • 1999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생육하는 땅비싸리속 6분류군의 화분형태를 광학현미경과 주사형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속의 화분립은 단립이며, 적도면 입상은 약장구형 혹은 아장구형이고, 발아구는 삼공구형이고, 표면무늬는 DMIP상이거나 VPPS상이었다. 본 속은 mesocolpium, apocolpium 그리고 구구 주변의 표면무늬에 따라 Decora, Kirilowii, Koreana 화분형으로 구분되었다. 염색체 수와 mesocolpium 표면무늬에 연관성이 있고, Decora와 Krilowii 화분형은 Koreana 화분형에서 분지된 듯 보인다.

  • PDF

버드나무 아속(亞屬) 6절(節) 화분(花粉)의 형태(形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ollen Morphology of Six Sections in Subgenus Salix L. (Salicaceae))

  • 김계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132-142
    • /
    • 1989
  • 버드나무아속(亞屬) 6절(節), 15종(種) 2변종(變種) 1품종(品種)에 대(對)한 화분형태(花粉形態)를 광학현미경(光學顯微鏡)(LM)과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SEM)으로 관찰(觀察) 하였든바 버드나무 아속(亞屬)의 화분(花粉)은 동형(同型) 화분군(花益群)이였으며 화분(花粉)의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징(特徵)에 의(依)하여 6절(節)에 대(對)한 화분(花粉) 검색표(檢索表)를 만들 수 있었다. 또한 Amygdalinae 절(節)과 근녹관계(近綠關係)에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Humboldtianae 절(節)은 본아속중(本亞屬中)에서 가장 진화(進化)된 것으로 보인다.

  • PDF

Varietal Responses of Pollen Development to Salt Stress in Barley

  • Rehman Safiq;Kook Hee-Sun;Lim Jeong-Hyun;Park Myoung-Ryoul;Ko Jong-Chul;Park Kwang-Geun;Choi Jae-Seong;Park Tae-Il;Kim Jung Gon;Lee Kyu-Sung;Seo Yong Won;Kim Jin-Key;Choi Kyeong-Gu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407-409
    • /
    • 2004
  • Thirty-nine out of eighty-five barley varieties/strains survived until heading stage in the saline experimental field $(0.03-0.05\%\;salt)$ and they were used for pollen study.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revealed two distinctive types of barley pollens: one transparent and small in size and the other dark and larger. In addition, both types of pollens were stained with Alexander's stain and it was found that the smaller and transparent pollen was cytoplasm-devoid (CD) while the larger pollen was cytoplasm-rich (CR). Sixteen out of 39 barley varieties/lines grown in the saline soil had CR pollens, which were rarely observed in the barley plants grown in the non-saline soil. Moreover, it was observed that salt stress severely reduced seed setting in the varieties having degenerated polle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lt stress affects the fertility of barley pollen. The sterile pollen was undersized and lack of cytoplasm probably due to abortion. Furthermore, a varietal difference existed in the response of pollen development to salt stress.

칠엽수과(科) 화분(花粉)의 형태학적(形態學的) 연구(硏究) (A Contribution to the Pollen Morphology of Hippocastanaceae)

  • 김계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251-258
    • /
    • 1997
  • 칠엽수과(科) 2속(屬)의 20종(種) 1변종(變種)에 대한 화분 형태를 광학현미경, 주사형전자현미경 그리고 투과형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화분립은 단립, 장구형 내지 아장구형, 등극성, 방사성 대칭, 발아구는 3공구형 혹은 3구형이며 내공구는 원형 또는 횡장형이다. 표면무늬는 유선상 혹은 자상이며, 골은 다양한 방향이다. 칠엽수과(科)의 화분을 발아구의 형태와 표면무늬에 의하여 hipppocastanum형, indica형 그리고 punduana형의 3가지 화분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 PDF

한국(韓國)에서 생육(生育)하는 단풍나무속(屬) 화분(花粉)의 형태학적(形態學的)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ollen Morphology of the Genus Acer L. in Korea)

  • 김계환;박준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472-486
    • /
    • 1996
  • 한국에서 생육하는 단풍나무속 19종 1변종의 화분형태를 광학현미경과 주사형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한국에서 생육하는 단풍나무속의 화분에 대하여 4가지형 화분검색표를 작성할 수 있었다. 2. 한국에서 생육하는 단풍나무속의 화분을 발아구 형태와 표면무늬에 의하여 단풍나무형, 청시닥나무형, 네군도단풍형 그리고 설탕단풍형의 4가지 화분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3. 화분립의 발아구 형태는 3구형 또는 3공구형이었으며, 표면무늬는 유선상, 난선상, 망상 등으로 나타났다. 4. 화분형태 parameters의 상관분석 결과, 극축의 길이와 발아구의 길이간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냈다.

  • PDF

Proteome characterization reveals the role of pollen and pistil of W22 (ga1; Ga1) in maize

  • Roy, Swapan Kumar;Yu, Jin;Kamal, Abu Hena Mostafa;Kwon, Soo Jeong;Cho, Kun;Cho, Seong-Woo;So, Yoon-Sup;Woo, Sun H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29-129
    • /
    • 2017
  • The first key point to the successful pollination and fertilization in plants is the pollen pistil interaction, referring to the cellular and molecular levels, which mainly play active roles in limiting gene flow among maize populations and between maize and teosint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proteins and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gametophytic factors using protein analysis. W22 (ga1); which didn't carry a gametophytic factor and W22 (Ga1), a near iso-genic line were used for the proteome investigation. SDS-PAGE was executed to investigate proteins in the pollen and pistil of W22 (ga1) and W22 (Ga1). A total of 44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s were identified in the pollen and pistil on SDS-PAGE using LTQ-FTICR MS. Among the 44 proteins, a total of 24 proteins were identified in the pollen of W22 (ga1) and W22 (Ga1) whereas 20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s were identified from the pistil of W22 (Ga) and W22 (Ga1). However, in pollen, 2 proteins were identified only in the W22 (ga1) and 12 proteins only in the W22 (Ga1) whereas 10 proteins were confirmed from the both of W22 (ga1) and W22 (Ga1). In contrary, 10 proteins were appeared only in the pistil of W22 (ga1) and 7 proteins from W22 (Ga1) while 3 proteins confirmed in the both of W22 (ga1) and W22 (Ga1). Moreover, the identified proteins were generally involved in hydrolase activity, nucleic acid binding and nucleotide binding. These results help to reveal the mechanism of gametophytic factors and provide a valuable clue for the pollen and pistil research in maize. In addition, it might provide a comprehensive insight on the proteins that wer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pollen-pistil interaction.

  • PDF

한국(韓國)에 생육(生育)하고 있는 회양목과(科) 화분(花粉)의 형태학적(形態學的)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ollen Morphology of Buxaceae Growing in Korea)

  • 최태기;김계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2호
    • /
    • pp.193-201
    • /
    • 1991
  • 한국(韓國)에서 생육(生育)하고 있는 회양목과(科)의 3속(屬) 2종(種) 4변종(變種) 1품종(品種)의 화분형태(花粉形態)를 광학(光學) 현미경(顯微鏡)과 주사형전자(走査型電子) 현미경(顯微鏡)을 이용(利用)하여 관찰(觀察)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화분형태(花粉形態)에 의(依)하여 속(屬) 수준(水準)의 화분(花粉) 검색표(檢索表)를 만들수 있었다. 2. 화분립(花粉粒)의 길이는 회양목속은 $21.9{\mu}m-28.3{\mu}m$, 수호초속은 $34.9{\mu}m-43.0{\mu}m$, Sarcococa는 $27.2{\mu}m-39.6{\mu}m$이었으며, Muri의 폭과 길이는 $0.3{\mu}m-4.6{\mu}m$, $0.9{\mu}m-4.3{\mu}m$, Lumen의 길이는 $0.4{\mu}m-2.4{\mu}m$이었다. 3. 표면(表面)무늬 형태(形態)는 회양목속(屬)은 망상(網狀), 수호초속(屬)과 Sarcococa는 사슬상(狀)이었다. 4. 발아구(發芽溝)는 3속(屬) 모두 다산공구형(多散孔溝型)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