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cy Information Resources

검색결과 832건 처리시간 0.031초

공간정책수단으로서 부동산개발과 장소마케팅전략 - 동경대도시권을 사례로 - (Real Estate Development and Place Marketing Strategy in Dimension of Spatial Policy - A Case Study of Tokyo Metropolitan Area -)

  • 이정훈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1-74
    • /
    • 2002
  • 1980년대. 동경 권에서는 공간구조 다핵화를 표방하고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교외지역에 대규모 업무지구 개발에 착수하였다. 이 개발사업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 지방자치단체는 장소마케팅 전략을 도입한다. 다양한 민간의 참여를 이끌어 내며, 대중성, 고유성. 중심성. 쾌적성을 장소 이미지로 설정하여 공간 인프라 구축에 반영함으로써, 기업과 소비자에게 매력있는 장소로 전환을 시도한다. 지방자치단체의 노력과 도심 입지여건 악화등의 결과 1920년대. 근대도시 동경이 성립된 이래 처음으로 교외지역에 본사기능을 비롯한 고타 업무기능이 이전하게 되었다. 아직 교외의 개발이 미완성 상태에 있으며, 재정 문제 등 어려움에 봉착해 있기는 하지만, 이 지역이 향후 지식기반경제의 거점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중요한 토대임은 분명하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위한 기존 시스템의 이전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existing system migration for Cloud computing)

  • 박성희;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271-282
    • /
    • 2014
  •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패러다임의 기술과 개념은 사실상 거대한 자원의 활용과 다양한 서비스를 시간과 장소의 구애 없이 효율적인 비용으로 제공된다는 장점으로 기업들의 도입이 점차 늘어가고 있다. 하지만, 보안, 호환성, 통제력 상실, 보안, 데이터보호, 성능과 업타임,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벤더 종속에 대한 위험성, 기존 시스템과 호환성, 이식성에 대한 불안으로 국내에 클라우드 도입은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특히 기존 시스템의 이전에 관심과 이슈는 높지만, 그에 따른 연구가 아직은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도입사례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의 기존 시스템 이전에 관련한 방법론과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한계점을 도출하고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기존 시스템의 현대화에 대해 방안을 제시하였다.

부분 맵 업데이트 지원 내비게이션을 위한 모바일 공간 DBMS 개발 및 성능 평가 (The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Mobile Spatial DBMS for the Partial Map Air Update in the Navigation)

  • 민경욱;안경환;김주완;진성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5호
    • /
    • pp.609-620
    • /
    • 2008
  • 모바일 단말에서의 맵 데이터 활용 서비스는 내비게이션, 위치기반서비스 등 그 활용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에서 저장/관리되는 맵 데이터의 크기는 갈수록 커져 수 GB에 이른다. 기존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경우, 리소스 제약으로 인해 모바일 단말의 성능을 최대로 활용하기 위하여 맵 데이터를 읽기 최적화된 물리적인 저장형식(PSF: Physical Storage Format)으로 저장 관리하고 있다. 즉, 맵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부분만의 업데이트가 불가능하여 전체 데이터를 업데이트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2 GB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의 플래시메모리에 기록하는 시간은 수십 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내비게이션용 맵 데이터의 부분 업데이트가 불가능한 점을 해결하고자 모바일 공간 DBMS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모바일 공간 DBMS에서의 내비게이션 서비스의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기법을 제시하고 실험을 통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비디오 서버에서의 효율적인 대역폭 스케줄링 지원 (Efficient Support for Adaptive Bandwidth Scheduling in Video Servers)

  • 이원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9C권2호
    • /
    • pp.297-306
    • /
    • 2002
  •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들은 기존의 화일 서버 기법으로는 쉽게 제공하지 못하는 보장된 검색 및 전송률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CM(Continuous Media : 예를 들어 비디오) 서버를 위한 동적 협상 수락 제어(dynamic negotiated admission control)와 자원 스케줄링(resource scheduling) 기법을 제안한다. 이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예약 기반 수락 제어 방법(reserve-baed admission control mechanism)과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스케줄러가 그것이다. 정적 스케줄러와 비교할 때, 제안된 기법은 경쟁하는 스트림들에게 이용가능 한 자원들을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며, 전반적인 QoS(Quality of Service)를 향상시키기 위해 자원의 재 할당을 요구하는 스트림들을 위한 스케줄러 초기화 협상(scheduler-initiated negotation)을 통해 높은 이용률을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을 사용하여 동시에 실행시킬 수 있는 클라이언트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혼잡한 트래픽 상태에서도 좋은 응답 비율과 향상된 자원 이용률을 얻을 수 있다.

통합적 공공 복지전달체계를 위한 조건: 영국 사례 연구 (Conditions for Integrated Public Welfare Delivery System: Case Studies in Britain)

  • 김보영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2호
    • /
    • pp.403-428
    • /
    • 2018
  • 우리나라에서 통합적인 공공 복지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시도는 통합사례관리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최근 '커뮤니티 케어'와 관련해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부분적인 조직개편에 그치거나 민간자원의 동원에 그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서비스 정책 발전에 있어서 통합적 개혁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 영국의 보건의료와 사회서비스의 통합적 접근 사례, 우리나라 통합사례관리와 유사한 문제경험가족 프로그램 사례를 각각 런던 자치구와 지방의회를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통합적 전달체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력, 조직, 재정 등 제도적 장벽의 종합적인 해소가 시급하고, 관련된 전문 집단과 기관간의 분명한 목표 공유와 파트너십 구축이 필요하며, 사례에 대한 정보 공유 체계와 기술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통합 도시 기후 교육을 통한 복원력 구축: 베트남 중부 Da Nang 시 사례 연구 (Building Resilience through Integrated Urban Climate Education: A case study in Da Nang City, Central Vietnam)

  • ;;이달희;박태윤;한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7
    • /
    • 2019
  • 기후변화 대응을 공식화하고 보완하는데 있어서 교육의 중요성은 국제 및 국가별 체제, 의제, 전략 및 실행 계획에 의해 널리 인식되어왔다. 기후변화 교육은 기후변화에 대한 최신 정보와 지식에 접근하고 정책 개발을 지원하며 기후 변화 대응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지역 사회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기후변화와 도시화를 교육하교학습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 중 하나로 통합 도시 기후 교육 (IUCE)의 혁신적인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다낭 시 캠르 지역의 IUCE 사례 연구에서 얻은 접근법, 방법론 및 주요 교훈을 제시한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시 복원력 구축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방식으로 IUCE의 개발 및 구현에 대한 여러 가지 중요한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에는 (1) 다차원 접근법, (2) 교사 중심의 기반, (3) 학교 가족 공동체 연결, 그리고 (4) 공생 원리가 포함된다.

SPI와 EDI 가뭄지수의 방글라데시 기상가뭄 평가 적용성 비교 (Comparative Evaluation of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and Effective Drought Index (EDI) for Meteorological Drought Detection over Bangladesh)

  • 모하마드 캄루자먼;조재필;장민원;황세운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1호
    • /
    • pp.145-159
    • /
    • 2019
  • A good number of drought indices have been introduced and applied in different regions for monitoring drought conditions, but some of those are region-specific and have limitations for use under other climatic conditions because of the inherently complex characteristics of drought phenomenon.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indices are widely used all over the world, including Bangladesh. Although newly developed,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Effective Drought Index (EDI) to perform better compared to SPIs in some areas. This research examined the performance of EDI to the SPI for detecting drought events throughout 35 years (1981 to 2015) in Bangladesh. Rainfall data from 27 meteorological stations across Bangladesh were used to calculate the EDI and SPI values. Results suggest that the EDI can detect historical records of actual events better than SPIs. Moreover, EDI is more efficient in assessing both short and long-term droughts than SPIs. Results also indicate that SPI3 and the EDI indices have a better capability of detecting drought events in Bangladesh compared to other SPIs; however, SPI1 produced erroneous estimates. Therefore, EDI is found to be more responsive to drought conditions and can capture the real essence of the drought situation in Bangladesh. Outcomes from this study bear policy implications on mitigation measures to minimize the loss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 drought-prone areas. Information on severity level and persistence of drought conditions will be instrumental for resource managers to allocate scarce resources optimally.

SW산업 일자리 창출효과 모델분석 (Analysis of Employment Creation Effect Model for SW Industry)

  • 임규건;이지윤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3-78
    • /
    • 2019
  • Despite the government's efforts, the jobs in SW industry are not easily created and only many problems of unemployment have been pointed out, failing to solve the basic problem. Sustainable decent jobs were recognized as a national task. Emotional connection between things and people is the SW industry, which is a core industr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order to be globally competitive, SW job creation, manpower planning for generating core human resources and highly educated manpower is a necessary issue. Basic estimation of job creation using the Input Output Table by Bank of Korea has some limitations and did not consider the SW industry characteristics. This study proposes an assessment model of SW policies and the practices a case of assessment of 113 projects supported by the Korean government. We propose a flowchart that can divide the government budgets according to the portion of the direct investment for SW industry by introducing investment types. We use an adjusted Input Output Table for SW industry and the model also considers the effect of SW promotions and regulations effects. This model can be used practically and flexibly by adjusting the SW fusion areas portions. It also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supporting areas, project size, short-term and long-term types. 113 projects of 'MSIT', 'SMBA' and 'NIPA'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into 'policy' and 'business' to reflect SW job creation effect model considering domestic SW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practical data, 47,254 jobs are expected to be created within five years in optimistic cases and 27,211 jobs would be created in pessimistic cases.

COVID-19 '덕분에 챌린지' 전후 간호사 관련 뉴스 기사의 토픽 모델링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Topic Model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of News Articles Related to Nurses before and after "the Thanks to You Challeng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윤은경;김정옥;변혜민;이국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42-453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public awareness and policy challenges faced by practicing nurses. Methods: After collecting nurse-related news articles published before and after 'the Thanks to You Challenge' campaign (between December 31, 2019, and July 15, 2020), keywords were extracted via preprocessing. A three-step method keyword analysis,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text and the structure of the selected news articles. Results: Top 30 keywords with similar occurrence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campaign. The five dominant topics before the campaign were: pandemic, infection of medical staff, local transmission, medical resources, and return of overseas Koreans. After the campaign, the topics 'infection of medical staff' and 'return of overseas Koreans' disappeared, but 'the Thanks to You Challenge' emerged as a dominant topic. A keyword network analysis revealed that the word of nurse was linked with keywords like thanks and campaign, through the word of sacrifice. These words formed interrelated domains of 'the Thanks to You Challenge' topic.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various issues and social perspectives on COVID-19 nursing. The major themes of news reports lagged behind the real problems faced by nurses in COVID-19 crisis. While the press tends to focus on heroism and whole society, issues and policies mutually beneficial to public and nursing need to be further explored and enhanced by nurses.

경력단절여성의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lfare Policy of Career Interrupted Women)

  • 이경화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57-62
    • /
    • 2022
  • 경력단절 여성들이 노동시장으로 재진입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유망직업을 발굴하여 선정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선정된 유망직종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직업정보를 제공하여 경력단절 여성들이합리적인 직업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정부지원과정이 일반과정에 비해 수강료의 부담이 없고, 교육 내용의 충실도가 높기 때문에 교육생 모집과정에서 경쟁을 통하여 취업의지가 높은 교육생을 선발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정부지원과정이 상대적으로 양질의 프로그램과 강사진을 확보하여 교육생의 집중도와 만족도, 취업에 대한 의지를 높인다는 점, 직무소양 및 취업대비 교육의 의무화, 취업상담을 통한 직업설계 지원 및 지속적인 사후지원 체제도 작용한다. 이에 따라 경력단절 여성을 위한 유망직종의 선정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설계과정에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개발과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경력단절 여성들의 노동시장 재진입도 좀 더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