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ar lipids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6초

조리방법에 따른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의 식품 영양성분 변화 (Changes of Nutritional Components in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by Various Cooking Methods)

  • 문수경;강지연;김인수;정보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17-327
    • /
    • 2012
  • The changes in the proximate compositions, lipid classes, and fatty acids of muscle and dripped lipids, and the amino acid compositions and mineral content were studied in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muscle cooked using a frying pan, oven, and microwave oven.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 in the raw sample (65.7%) and decreased with cooking, decreasing the most with frying pan method (54.5%). Conversely, the protein, lipid and ash content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cooking (P<0.05). The dripped lipid content from the cooked muscles was the highest with the frying pan sample (0.81%) and was approximately half this level in the oven (0.46%) and microwave oven (0.34%) samples. The percentage of non-polar lipid (NL) in the total lipid content exceeded 95% for the muscle lipids (13.9-17.6 g/100 g sample) and 99% for the dripped lipids (0.34-0.81 g/100 g sample). The prominent fatty acids were 18:1n-9, 16:0, 22:6n-3, 16:1n-7, and 20:5n-3 in the muscle and dripped lipids. The frying pan muscle lipid contained high levels of saturates and monoenes such as 16:0, 18:0, and 18:1n-9, and low levels of polyenes compared with other muscle lipids.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dripped lipids were similar with all three cooking methods. The prominent total amino acids in Spanish mackerel muscle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and arginine, and their proportions were similar (45.49-45.82%) in all samples. The potassium and phosphorous content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cooking (P<0.05), and while no heavy metals were detected in any sampl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hange in nutritional components, especially the lipid content, was lower with the microwave oven and oven methods compared with the frying pan method.

Flavobacterium amnigenum sp. nov. Isolated from a River

  • Patil, Kishor Sureshbhai;Padakandla, Shalem Raj;Chae, Jong-Ch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9호
    • /
    • pp.1536-1541
    • /
    • 2018
  • A yellowish, flexirubin-pigment-producing strain $I3-3^T$ was isolated from river water in Iksan, the Republic of Korea. The strain was gram-negative, aerobic, non-motile, showed catalase and oxidase activities, and could grow at a temperature range of $10-35^{\circ}C$, pH 5.0-10 and 0-2.0% (w/v) of NaCl. The major fatty acids were iso-$C_{15:0}$, iso-$C_{17:0}$ 3-OH and summed feature 3 (comprising $C_{16:1}{\omega}7c$ and/or $C_{16:1}{\omega}6c$). The isolate contained phosphatidylethanolamine, one aminolipid, and two unidentified lipids as the major polar lipids. Menaquinone-6 (MK6) was the major respiratory quinone. The G+C content of the genomic DNA of strain $I3-3^T$ was 35.6%. Comparison of the 16S rRNA gene sequence with the sequences of the closely related type strains showed highest sequence similarity of 96.95% and 96.93% to Flavobacterium nitrogenifigens $NXU-44^T$ and Flavobacterium compostarboris $15C3^T$, respectively. Based on phenotypic and phylogenetic distinctiveness, strain $I3-3^T$ is considered as a member of novel species within the genus Flavobacterium, for which Flavobacterium amnigenum sp. nov. is proposed. The type strain is $I3-3^T$ (=KCTC $52884^T$ =NBRC $112871^T$).

보리와 맥아(麥芽)의 지방질(脂肪質) 성분(成分)에 관한 비교(比較) 연구 -제(第)2보(報) : 극성지질(極性脂質)의 조성(組成)-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Barley and Malt -II. Composition of Polar Lipids-)

  • 이상영;김종승;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7-42
    • /
    • 1981
  • 우리나라에서 재배된 4가지 품종의 보리와 이들의 맥아에서 추출한 총지방질중 극성지질의 조성을 관, 얇은막 및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4가지 품종의 보리와 이들 맥아의 총지방질중 당질의 평균함량은 8.9% 및 12.3%, 인지질의 평균함량은 17.3% 및 19.2%였으며, 보리중의 당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은 맥아에서 평균 39.5% 및 11.5%가 증가하였다. 2. 보리의 당지질 중에는 DGDG 와 MGDG가 평균 35.5%및 28.6%로 주요성분이 었고 SG와 Cerebroside는 20.7% 및 15.2%이었으며, 보리중의 DGDG 와 MGDG 는 맥아에서 감소되었으나, SG 와 Cerebroside는 증가하였다. 3. 보리의 인지질 중에는 phosphatidyl choline(PC), lysophosphatidyl choline(LyPC), diphosphatidyl glycerol(DPG), phosphatidyl ethanolamine(PE)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맥아는 보리에 비하여 PC, LyPC는 감소하였으나 PE와 DPG는 증가하였다. 4. 보리와 맥아의 지방질중 당지질 및 인지질 획분의 지방산조성과 그 변화는 총지방질과 중성지질 획분의 지방산조성 및 그 변화 패턴과 비슷하였다. 그러나 당지질 획분중에는 리놀레산, 인지질 획분중에는 팔미트산의 함량이 다른 획분들에 비하여 많았다.

  • PDF

일반계 및 다수계 미강유의 극성지방질 조성 (Comparative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Polar Lipids in Japonica and Indica Rice Bran Oils)

  • 권경순;최광수;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35-740
    • /
    • 1996
  • 일반계 및 다수계 미강유의 극성지방질 조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미강유 중의 당지방질의 주요성분은 esterified steryl glycoside가 48.8~52.1%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그 다음으로는 steryl glycoside, monogalactosyl diglyceride, cerebroside 및 digalactosyl diglyceride순이었다. 인지방질은 phosphatidyl choline이 33.1~36.7%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그 다음이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inositol+phosphatidyl serines, phosphatidyl glycerols, dipho sphatidyl glycerols, lysophosphatidyl cholines 순이었다. 미강유의 당 및 인지방질 획분의 주요지방산은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palmitic acid이었다.

  • PDF

담수어의 지질에 관한 연구 5. 잉어(Cyprynus carpio)의 부위별 지질성분의 분포 (Studios on Lipids in Fresh-Water Fishes 5. Distribution of Lipid Components in Various Tissues of Carp, Cyprynus carpio)

  • 최진호;노재일;변대석;변재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9-156
    • /
    • 1985
  • 담수어의 체부위별 지질 및 그 구성지방산의 조성을 밝히기 위하여, 전보 이어 잉어의 조직을 육, 피, 및 내장별로 채취하고 유리지질과 결합지질을 추출하여 지질의 조성을 측정하였으며, 양적으로 많은 비율을 점하는 중성지질과 인지질에 대하여는 그 구성지방산의 조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1. 부위별 지질의 함량은 육에 $3.88\%$, 피부에 $8.02\%$, 내장부에 $6.18\%$ 함유되어 있었고, 각 부위별 지질은 육질부에 있어서는 유리지질 $2.47\%$와 결합지질 $1.41\%$, 피부에 있어서는 유리지질 $5.65\%$와 결합지질 $2.37\%$, 그리고 내장부에 있어서는 유리지질 $3.54\%$ 와 결합지질 $2.64\%$로 각각 구성되고 있었다. 2. 각부위별로 유리지질은 중성지질 $68\%{\sim}92\%$, 당지질 $3\%{\sim}6\%$, 인지질 $4\%{\sim}18\%$, 그리고 결합지질은 중성지질 $8\%{\sim}20\%$, 당지질 $2\%{\sim}7\%$, 인지질 $47\%{\sim}62\%$로 구성되어 있었다. 3. 중성지질의 조성을 분석한 결과, 유리지질은 각부위에서 그 대부분이 TG와 DG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내장에는 FFA도 상당 비율 함유되어 있었다. 결합지질은 각부분이 공통으로 ES와 HC 및 TG가 많은 비율을 점하였으나 FS도 상당한 비율로 함유되고 있었다. 4. 인지질의 조성에 있어서는 각부위별로 유리지질과 결합지질이 모두 PC PE 및 PS로서 주로 구성되고 있었으나, 결합지질에 특히 PC가 많은 것이 특징이었다. 5. 유리지질과 결합지질의 극성 및 비극성지질별 주요지방산의 조성을 비교한 결과, 유리지질과 결합지질이 모두 극성지질은 주로 $C_{16:0},\;C_{18:0},\;C_{20:4},\;C_{22:6}$$C_{18:2}$ 산으로, 그리고 비극성지질은 주로 $C_{18:1},\;C_{16:0},\;C_{16:1},\;C_{18:0}$$C_{18:2}$ 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6. 각부위별 유리지질과 결합지질을 구성하는 중성지질의 주요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포화지방산에 있어서는 $C_{12:0}{\sim}C_{20:0}$산 8개 지방산중 $C_{16:0}(11.20{\sim}21.13\%),\;C_{18:0}(1.58{\sim}12.76\%)$$C_{14:0}(2.54{\sim}6.98\%)$을 monoene산에 있어서는 $C_{14:1}{\sim}C_{22:1}$산 5 개 지방산중 $C_{18:1}(21.68{\sim}30.50\%),\;C_{16:1}(7.06{\sim}20.70\%)$$C_{20:1}(1.76{\sim}6.27\%)$을, 그리고 polyenoic acid에 있어서는 $C_{18:2}{\sim}C_{22:6}$산 8개 지방산중 $C_{18:2}(4.50{\sim}6.89\%),\;C_{20:4}(1.52{\sim}4.29\%)$$C_{22:6}(0.73{\sim}6.62\%)$을 들 수 있었다. 또, 이들 지방산의 조성은 유리지질과 결합지질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 PDF

지질 종류에 따른 나일틸라피아의 성장 효과 (Effect of Dietary Lipids on Growth o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 강석중;최병대;정우건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7-165
    • /
    • 1992
  • 양어 사료에 피드오일을 첨가하면 사료 효율이 향상된다. 나일틸라피아가 요구하는 필수 지방산의 종류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두유 및 옥수수유 등의 식물유 및 오징어 간유, 어유를 사료에 첨가하고 사육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n-6 계열이 풍부한 식물유를 투여 한 실험구가 n-3 계열의 어유를 투여한 실험구 보다 성장이 좋았으며 그 중에서도 대두유 첨가구가 가장 양호하였다. 총 지질중의 20 : 3n-9의 수준은 유지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이는 없었으나 극성 지질중의 20 : 3n-9의 수준은 어유 및 오징어 간유 보다는 식물유구에서 낮게 나타났다. 틸라피아 사료에 첨가하는 지질로서는 n-6 계열을 많이 포함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담수어의 지질에 관한 연구 1. 붕어(Carassius carassius)의 부위별 지질성분의 분포 (Studies on Lipids in Fresh-Water Fishes 1. Distribution of Lipid Components in Various Tissues of Crucian Carp, Carassius carassius)

  • 최진호;노재일;변재형;최강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3-343
    • /
    • 1984
  • 담수어 중 그 분포가 광범위한 붕어를 시료로 하여 육질부, 피부, 내장 등 부위별로 유리 및 결합지질을 추출,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로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로 분획하고 thin layer chromatography(TLC) 및 TLC scanner로 이들 지질획분의 지질 조성을 동정 및 정량하여 부위에 따른 지질 함량을 비교하였다. 또 gas liquid chromatography(GLC)에 의하여 이들 지질의 구성지방산 조성을 분석, 비교하여 몇가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한다. 1. 부위별 유리 및 결합지질의 함량($7\%$ 수분함량)은 육질부가 $6.22\%$$10.01\%$, 피부가 $9.95\%$$3.56\%$, 내장부가 $9.67\%$$7.36\%$였으며, 각 부위별로 유리지질과 결합지질의 비는 육질부가 1:1.52, 피부가 1:0.35, 내장부가 1:0.76으로 부위별로 상당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2. 지질형태별 구성지질 함량을 비교하여 보면 유리지질은 중성지질이 $71.7{\sim}89.4\%$, 당지질이 $1.0{\sim}10.7\%$, 인지질이 $4.0{\sim}12.7\%$로 되어 있고, 결합지질은 중성지질이 $7.4{\sim}27.9\%$, 당지질이 $5.1{\sim}14.7\%$, 인지질이 $42.3{\sim}63.2\%$로 되어 있어, 유리지질은 주로 중성지질로 되어 있는 반면 결합지질은 인지질로 되어 있었으며, 부위별 상당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3. 지질획분별 구성지질 조성을 비교하여 보면 유리지질 중의 중성지질은 triglyceride(TG)가 $81.91{\sim}88.34\%$로 대부분을 차지하는 반면, 결합지질 중의 중성지질은 esterified sterol(ES) & hydrocarbon(HC)가 $41.00{\sim}59.43\%$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고있었다. 또 유리지질 중의 인지질은 phosphatidyl ethanolamine(PE)가 $54.56{\sim}66.79\%$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phosphatidyl choline(PC)가 $21.88{\sim}34.28\%$로 되어 있는 반면 결합지질중의 인지질은 PC가 $50.49{\sim}70.57\%$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PE로 $15.74{\sim}24.92\%$를 차지하고 있었다. 4. 유리 및 결합지질 중의 극성지질의 중요 구성 지방산은 $C_{16:0}\;(17.53\%,\;19.29\%)$, $C_{18:1}\;(24.57\%,\;16.08\%)$, $C_{18:2}\;(8.39\%,\;4.03\%)$, $C_{22:5}\;(1.68\%,\;8.08\%)$, 및 $C_{22:6}$산($6.22\%,\;13.60\%$)으로 되어 있으며, 비극성 지질의 경우 중요 구성지방산은 $C_{16:0}\;(17.67\%,\;24.15\%)$, $C_{16:1}\;(12.81\%,\;5.52\%)$, $C_{18:1}\;(24.13\%,\;13.02\%)$, $C_{18:2}\;(15.47\%,\;8.68\%)$, $C_{22:5}\;(0.88\%,\;4.14\%)$$C_{22:6}$산($1.17\%,\;5.04\%$)으로 되어 있었다. $C_{22:5}$$C_{22:6}$산 등 고도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극성 및 비극성지질에 관계없이 유리지질에 비하여 결합지질쪽에 $2{\sim}5$배 정도 높았다. 5. 불포화도(TUFA/TSFA)는 극성지질에서는 결합지질(2.74)이 유리지질(2.02)보다 높았으나 비극성지질에서는 유의성있는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monoenoic acid에 대한 polyenoic acid의 비(TPEA/TMEA)는 결합지질($1.09{\sim}l.43$)이 유리지질($0.49{\sim}0.68\%$)보다 $2{\sim}3$배 높았고, 필수지방산 함량은 유리지질($14.14{\sim}16.71\%$)이 결합지질($10.07{\sim}11.31\%$)보다 약간 높았으며, w3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은 극성지질($10.15{\sim}27.66\%$)이 비극성지질($4.16{\sim}16.55\%$) 보다 2배이상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고 있었다. 6. 부위별 중성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비교하여 보면, 중요 구성지방산은 $C_{16:0},\;C_{16:1}\;C_{18:0},\;C_{18:2}$$C_{20:6}$산으로 $C_{16:0}$산은 피부의 결합지질($27.10\%$) 및 내장의 유리지질($24.31\%$)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고 있었고, $C_{16:1}$산은 내장부($13.33\%$$11.22\%$)에 높았으며, $C_{18:0}$산은 유의성있는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C_{18:1}$산은 육질부에서 $27.45\%$(유리) 및 $26.26\%$(결합)로 가장 높았고, $C_{18:2}$산도 육질부에서 $17.60%$(유리) 및 $16.83\%$(결합)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C_{22:6}$산은 부위에 관계없이 결합지질($5.04{\sim}13.38\%$)이 유리지질($1.11{\sim}1.14\%$)보다 월등히 높았다.

  • PDF

담수어의 지질에 관한 연구 2. 가물치(Channa argus)의 부위별 지질성분의 분포 (Studies on Lipids in Fresh-Water Fishe 2. Distribution of Lipid Components in Various Tissues of Snake Head, Channa argus)

  • 여재일;최진호;변재형;장진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05-413
    • /
    • 1984
  • 전보에 이어 가물치의 지질을 체부위별(육질부, 피부. 내장부)로 유리지질과 결합지질로 분획하고, 지질 및 구성지방산의 조성을 분석,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적으로 유리지질은 총 지질의 $32.80\%$를 차지하여 결합지질 $3.86\%$에 비하면 약 8.5배 정도의 높은 함량이었다. 부위별로 유리지질의 함량을 보면 내장부가 $67.50\%$로서 가장 높았고 피부($20.04\%$), 육질부 ($10.85\%$)의 순이었다. 2, 유리지질중에는 중성지질이 $66.6{\sim}72.4\%$, 인지질이 $17.9{\sim}20.4\%$ 그리고 당지질이 $5.7{\sim}12.2\%$ 함유되어 있었으며, 결합지질중에는 인지질이 $28.6{\sim}50.6\%$, 중성지질이 $13.2{\sim}36.1\%$ 그리고 당지질이 $3.8{\sim}22.8\%$ 함유되어 있었다. 3. 유리지질중의 중성지질은 triglyceride(TG)가 $62.00{\sim}90.20\%$, 결합지질중의 중성지질은 esterified sterol(ES) 및 hydrocarbon(HC)이 $51.3{\sim}72.70\%$의 함량으로 가강 많았다. 한편 유리지질중의 인지질은 phosphatidyl ethanolamine(PE)이 $28.9{\sim}42.75\%$. phosphatidyl choline(PC)이 $27.85{\sim}41.06\%$로서 비슷한 함량을 보였으나, 결합지질중의 인지질은 phosphatidyl choline(PC)의 $47.18{\sim}52.54\%$, phosphatidyl ethanolamine(PE)은 $17.88{\sim}26.67\%$ 로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4. 극성지질의 주요 구성지방산을 유리 및 결합지질로 비교하여 보면 $C_{16:0}산(21.03\%,\;22.62\%),\;C_{16:1}(8.70\%,\;30.1\%),\;C_{18:1}산(20.62\%,\;12.11\%),\;C_{22:5}(3.02\%,\;9.86\%)\;C_{22:6}산(7.56\%,\;16.02\%)$ 인 반면 비극성지질의 경우에는 $C_{16:0}산(18.98\%,\;19.12\%),\;C_{16:1}산(9.04\%,\;13.49\%),\;C_{18:1}산(22.94\%,\;11.61\%)\;C_{22:5}산(3.00\%,\;10.05\%)$였다. 5. 불포화도(TUFA/TSFA)는 결합지질이 유리지질보다 약2.5배 정도 높았으며, monoenoic acid에 대한 polyenoic acid의 비(TPEA/TMEA)르 결합지질이 유리지질보다 훨씬 높았다. 6. 필수지방산(EFA)의 함량은 유리지질이 결합지질에 비하여 높았으나 w3 고도불포화방방산(w3-HU-FA)의 함량에 있어서는 그 반대이었다. 부위별로는 지질의 함량 및 지방산의 조성이 많은 차이를 보였다.

  • PDF

수산물의 지질에 관한 연구 (제4보) -두족류의 근육지질성분에 대하여- (Studies on the Lipid of Aquatic Products (Part 4) On the Flesh Lipid Composition of Cephalopods)

  • 하봉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9-73
    • /
    • 1982
  • 두족류의 근육지질의 특징을 알기 위하여 3종의 두족류를 사료로 하여 이들 근육에서 총지질을 적출하였고, 이를 thin layer chromatography, column chromatography 및 gas-liquid chromatography 그리고 TLC-scanner를 이용하여 총지질을 구성하는 지질성분. 지방산조성, sterol조성 그리고 총지질에서 분획한 중성지질, 당지질 및 린지질의 지방산조성을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시료의 총후무사양은 생시료에 대하여 문어가 $0.5\%$, 낙지가 $0.8\%$ 그리고 꼴뚜기가 $0.6\%$였고 이들 평균지질함양은 $0.6\%$였다. 그리고 총지질의 전지방산양은 문어가 $19.3\%$, 낙지가 $47.8\%$,꼴뚜기가 $38.4\%$였으며, 불광화물양은 문어가 $10.9\%$, 낙지가 $15.8\%$, 꼴뚜기가 $41.1\%$로서 높은 함양을 나타냈다. 2) 총지질을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sterol성분과 극성지질일색소 혼합층의 함양분포가 총지질에 대하여 각각 $27.0\sim35.5\%$ 그리고 $38.3\sim63.4\%$로서 시료에서 다 같이 높은 함양을 나타내고 있어 총지질이 주성분을 이루며, 문어의 근육에는 다른 시료보다 sterol성분의 함양이 높았다. 그리고 그가 소양성분으로 triglyceride, 유리지방산 및 탄화수소-esterified sterol혼합층이 분리 동정되었다. 3) 총지질의 지방산조성은 시료에서 다 같이 Palmitic acid가 주성분을 이루고 그외 oleic acid, linole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 및 eicosapentaenoic acid가 구성지방기의 주체를 이루고 있다. 특히 문어의 총지질에는 palmitic acid와 eicosapentaenoic acid가 서로 비슷한 양으로 존재하면서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다. 4) sterol조성에 있어서는 시료에서 다 같이 전sterol성분에 대한 cholesterol의 함양분포가 $82.4\sim89.1\%$로서 가장 많았고 그외 소양성분으로서 22-dehydrocholesterol 과 24-methylenecholesterol이 각 시료에 공통적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5) 총지질에서 분획한 비극성복질(신성지질)과 극성지질의 함양비는 시료에서 다 같이 비극성낙질보다 극성지질의 함양이 훨씬 높았다. 그리고 극성지질중에서도 당지질보다 린지질의 함양이 월등히 높았다. 6)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유리 sterols의 함양분포가 중성서질에 대하여 $50.0\sim70.5\%$로서 주성분을 이루며, 그 다음 서로 비슷한 양으로 나타나는 esterified sterol, 유리지방산 및 triglyceride가 분리 동정되었다. 그리고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hexadecadienoic acid 주성분이었다. 7) 당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가 가장 많고 그가 oleic acid, linole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 myristic acid가 구성지방산의주함분을 이룬다. 그러나 특히 꼴뚜기의 당지질에는 이들 지방산외에 arachidonic acid의 함양이 월등히 높아 주성분의 하나였다. 8) 린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함양이 가장 많았고 그가 oleic acid, linole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가 구성지방산의 주성분이었다. 본 연구는 1981년도 문교부연구조성비의 지원으로 이루어 졌음을 밝힌다.

  • PDF

메기(Parasilurus asotus)의 부위별(部位別) 지방질성분(脂肪質成分)의 분포(分布) (Distribution of Liquid Components in Various Tissues of Cat Fish, Parasilurus asotus)

  • 최진호;박시향;노재일;변재형;최선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21
    • /
    • 1985
  • 메기의 지방질(脂肪質)을 부위별(部位別)로 유리(遊離) 및 결합(結合)지방질(脂肪質)을 추출하여 중성(中性), 당(糖) 및 인지방질(燐脂肪質)로 분획하고, 이들 지방질(脂肪質)의 구성지방질(構成脂肪質)및 지방질(脂肪質) 조성(組成)을 분석, 비교하였다. 부위별 구성지방질(構成脂肪質)의 함량(含量)은 피부(皮部)가 26.34%로 가장 많고 내장부(內臟部)(19.27%), 육질부(肉質部)(5.62%)의 순이었으나,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은 부위별로 뚜렷한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유리지방질(遊離脂肪質)의 구성(構成)은 중성지방질(中性脂肪質)이 $65.82{\sim}72.21%$, 인지방질(燐脂肪質)이 $13.91{\sim}15.44%$, 당지방질(唐脂肪質)이 $5.25{\sim}11.13%$로서 중성지방질(中性脂肪質)의 함량(含量)이 가장 높은 반면,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의 경우에는 인지방질(燐脂肪質)이 $57.35{\sim}61.53%$로서 가장 높은 함량(含量)을 나타내고 있었다. 구성지방질(構成脂肪質)중의 중성지방질(中性脂肪質)은 트리글리세리드(TG)가 $79.84{\sim}99.86%$로 가장 많은 반면 인지방질(燐脂肪質)은 포스파티딜콜린이 $52.38{\sim}69.98%$로 가장 많았으며,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중의 중성지방질(中性脂肪質)은 에스테르화스테롤(ES) 및 탄화수소(HC)가 $55.12{\sim}64.33%$로 가장 많은 반면, 인지방질(燐脂肪質)은 포스파티딜콜린(PC)이 $53.03{\sim}58.54%$로 가장 많았다. 극성지방질(極成脂肪質)의 중요 구성지방질(構成脂肪質)의 함량을 유리(遊離) 및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로 비교하여 보면 C16 : 0(28.37%, 21.99%), C18 : 1(12.01%, 11.52%), C18 : 2(17 93%, 14.12%), C22 : 6(17.22%, 20.63%)인 반면 비극성지방질(非極成脂肪質) 유리지방질(遊離脂肪質)은 C16 : 0(14.81%), C18 0(12.38%), C18: 1(25.93%), C22:6(9.95%)이며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은 C14 : 0(11.60%), C16 : 0(18.94%), C16: 1(10.42%). C18 : 1(10.89%), C22 : 6(23.44%)이었다. 총필수지방산(總必須脂肪酸) 함량(含量)은 극성지방질(極成脂肪質)$(20.14{\sim}31.12%)$이 비극성지방질(非極成脂肪質)$(6.97{\sim}11.13%)$보다 훨씬 높았고,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이 유리지방질(遊離脂肪質)보다 높았으며 부위별(部位別)로는 피부(皮部)$(15.18{\sim}15.41%)$가 육질부(肉質部)$(6.97{\sim}11.13%)$보다 높았다. 또${\omega}3$고도부포화지방산(高度不飽和脂肪酸) 함량(含量)은 육질부(肉質部)$(15.15{\sim}28.32%)$가 피부(皮部)$(6.77{\sim}18.18%)$나 내장부(內臟部)$(8.35{\sim}9.74%)$보다 높았으며, 육질부(肉質部)에서는 극성지방질(極成脂肪質)$(26.28{\sim}34.18%)$이 비극성지방질(非極成脂肪質)$(15.15{\sim}28.32%)$보다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