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intNet++

검색결과 630건 처리시간 0.021초

무선랜 환경에서 협동 상향/하향 링크 기회적 스케줄링 기법 (Joint Uplink/Downlink Co-Opportunistic Scheduling Technique in WLANs)

  • 유준;김종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4권6호
    • /
    • pp.514-524
    • /
    • 2007
  • 무선랜의 보편화와 속도증가로 인해 시스템 성능향상을 위한 기회적 스케줄링 기법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Voice-over-IP, peer-to-peer와 같은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의 증가와 함께 무선랜 트래픽은 점점 더 상하링크 대칭이 되어가고 있으며, 그에 따라 무선랜 하향링크에 편중된 기회적 스케줄링 기법만으로는 공유된 한 개의 무선 채널의 효율을 높일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무선랜의 채널 특성은 시간에 따른 변화가 크며 또한 상하대칭적이지도 않기 때문에, 무선랜 상향링크에서의 기회적 스케줄링은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니다. 각 전송 클라이언트는 access point에게 채널상황을 보고해야 하며, 스케줄링 결정은 모든 클라이언트들의 동의를 얻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랜 환경에서 협동 상향/하향 링크 기회적 스케줄링 기법 JUDS(joint uplink/downlink opportunistic scheduling for WLANs)을 제안한다. JUDS는 상향과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결합함으로써 채널의 상이점을 최대화하며 오버헤드를 최소화한다. JUDS는 또한 상향과 하향링크 사이에 균등한 채널 공유를 하도록 한다. Qualnet 시뮬레이션을 통해, JUDS는 최대 127%의 성능향상을 보이며, 상향/하향 링크 사이 완벽에 가까운 균등한 채널 공유를 보인다.

3차원 CT 영상을 이용한 정상교합자의 안면 연조직 계측 분석 (Facial soft tissue measuring analysis of normal occlusion using three-dimensional CT imaging)

  • 한수연;백형선;김기덕;유형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09-419
    • /
    • 2005
  • 최근 들어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CT, Computed Tomography) 영상을 이용한 진단기법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여러 분야에서 3차원적인 두개악안면 분석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교정 치료나 악교정 수술 후의 결과에 있어서 안면 연조직의 분석은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교합을 가진 성인 남자 12명, 성인 여자 11명의 CT 영상을 촬영하여 개인용 컴퓨터 상에서 V works 4.0 프로그램(Cybermed Inc., Seoul, Korea)으로 3차원 CT 연조직 영상을 재구성한 후에 soft tissue Nasion을 기준 원점으로 하는 3차원 좌표평면의 좌표계를 설정하여 정중선상의 soft tissue Nasion. Pronasale, Subnasale, Upper lip center, Lower lip center, soft tissue B. soft tissue Pogonion. soft tissue Menton 등 8개의 계측점과 양측성인 Eudocanthion, Alare lateralis, Cheilion, soft tissue Gonion, Tragus. Zygomatic point등 총 20개의 재현 가능한 안면 연조직의 계측점을 지정하였으며 V surgery 프로그램(Cybermed Inc., Seoul Korea)을 이용하여 이들 계측점의 3차원적인 좌표와 기준 원점으로부터 각 계측점까지의 Net (${\delta}=\sqrt{{X^2}+{Y^2}+{Z^2}}$) 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안면 연조직 분석의 3차원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주요 계측점 간의 거리 계측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 Na'-Sn과 En (Rt)-En(Lt)를 제외한 대부분의 계측값에서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2차원적인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이나 안면 사진으로는 정확한 계측이 어려웠던 Na'-Zy, Na'-Ch, Na'-Go'(facial depth) 등의 정상치도 구하였다. 이상의 자료는 부정교합 환자와 악안면 기형 환자의 3차원적인 진단 및 치료 계획에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HS 코드 분류를 위한 CNN 기반의 추천 모델 개발 (CNN-based Recommendation Model for Classifying HS Code)

  • 이동주;김건우;최근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9권3호
    • /
    • pp.1-16
    • /
    • 2020
  • 현재 운영되고 있는 관세신고납부제도는 납세의무자가 세액 산정을 스스로하고 그 세액을 본인 책임으로 납부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다시 말해, 관세법상 신고 납부제도는 납세액을 정확히 계산해서 납부할 의무와 책임이 온전히 납세의무자에게 무한정으로 부과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만일 납세의무자가 그 의무와 책임을 제대로 행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부족한 만큼의 세액 추징과 그에 대한 제제로 가산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세액 산정의 기본이 되는 품목분류는 관세평가와 함께 가장 어려운 부분이며 잘못 분류하게 되면 기업에게도 큰 리스크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관세전문가인 관세사에게 상당한 수수료를 지불하면서 수입신고를 위탁하여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입신고 시 신고하려는 품목이 어떤 것인지 HS 코드 분류를 하여 수입신고 시 기재해야 할 HS 코드를 추천해 주는데 목적이 있다. HS 코드 분류를 위해 관세청 품목분류 결정 사례를 바탕으로 사례에 첨부된 이미지를 활용하여 HS 코드 분류를 하였다. 이미지 분류를 위해 이미지 인식에 많이 사용되는 딥러닝 알고리즘인 CNN을 사용하였는데, 세부적으로 CNN 모델 중 VggNet(Vgg16, Vgg19), ResNet50, Inception-V3 모델을 사용하였다. 분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3개의 dataset을 만들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Dataset 1은 HS 코드 이미지가 가장 많은 5종을 선정하였고 Dataset 2와 Dataset 3은 HS 코드 2단위 중 가장 데이터 샘플의 수가 많은 87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샘플 수가 많은 5종으로 분류 범위를 좁혀 분석하였다. 이 중 dataset 3로 학습시켜 HS 코드 분류를 수행하였을 때 Vgg16 모델에서 분류 정확도가 73.12%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HS 코드 이미지를 이용해 딥러닝에 기반한 HS 코드 분류를 최초로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수출입 업무를 하고 있는 기업이나 개인사업자들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을 참조하여 활용할 수 있다면 수출입 신고 시 HS 코드 작성에 도움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남 청양 풋고추농가 소득 안정화 방안 (The plan of stabilizing Gyeongnam Chung-yang Green Pepper Farm Income)

  • 황민지;정호중;조재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87-396
    • /
    • 2018
  • 본 논문은 청양 풋고추 재배농가의 실질 소득과 순수익의 불안정 요인을 경영비분석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또한 역준이상수요체계에 따른 가격신축성 분석을 통하여 출하조절에 따른 가격안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경영비 분석에 따른 농가의 소득 불안정 요인으로는 기후변화로 인해 예기치 못한 영농광열비 부담 가중과, 특정시점의 공급과잉에 따른 가격폭락 등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말하는 가격폭락은 월별 가격의 변화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청양 풋고추 농가소득 불안정의 요인으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월별 자료를 이용하여 가격 및 규모신축성 분석을 한 결과, 청양 풋고추에 국한하여 출하량을 연간 1% 축소할 경우 2.21%의 가격 상승으로 연간 농가판매 총수입이 1.21%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하여 동절기에 출하량을 감소시켜 농가수취가격을 지지하는 방안이 농가소득안정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되었다. 특히 경남지역의 청양 풋고추는 시장점유율이 82.5%로 매우 높은 편이므로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생산자단체를 결성하여 출하량 조절을 한다면 효과적으로 가격 및 소득의 안정을 꾀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Contribution of Bulk Flow to Transport Mechanisms of the Membranes Surrounding Amniotic Fluid in the Rabbit

  • Lim, Young-Cheol;Lee, Sang-Jin;Sung, Ho-Kyu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8권1호
    • /
    • pp.79-90
    • /
    • 1994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ssess the contribution of bulk flow to the regulatory mechanism of amniotic fluid volume and its ionic concentration in the membranes surrounding the amniotic fluid. For quantitative assessment, we prepared 4 kinds of artificial amniotic fIuids (isotonic isovolumetric, hypotonic isovolumetric, isotonic hypervolumetric and hypotonic hypervolumetric ones) by replacing 70% of amniotic fluid of pregnant rabbits with water or normal Tyrode solutions. Isoosmotic saline of 0.5 ml volume containing 0.05% Censored and 15 mM/l LiCl was administered initially into amniotic sacs of all subject animals. Samples of amniotic fluid were collected in after 30 and 90 minute intervals; the concentrations of Censored, $Na^+\;and\;Li^+$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Followings are the results obtained. 1. from isovolumetric and increased Congcord group, we couldn't find significant change in $Li^+\;and\;Na^+$ concentration in isotonic amniotic fluid. However, $Na^+$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s well as a striking increase in Censored concentration in hypotonic amniotic fluid. 2. In isovoIumetric and decreased Censored group, the rate of $[Li^+]$ decrement and the rate of $[Na^+]$ increment were much higher in hypotonic amniotic fluid than in isotonic. 3. In hypervolumetric and increased Censored group, the rate of $Na^+$ efflux increased proportionately with the increment of Censored concentration up to 0.98, which was higher than the rate of $Li^+$ efflux in isotonic amniotic fluid. However, the increment of $Na^+$ concentration was rather related with the initial $Na^+$ concentration in hypotonic amniotic fluid, showing inverse relationship. $Li^+$ concentration increased only when there was a marked increase in Censored concentration and approached near a maximum value or 1. 4. For hypervolumetric and decreased Censored group, the observations were identical to isovolumetric and decreased Censored group. From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made: 1) There is no net movement of water or monovalent cations across the membranes surrounding amniotic fIuid in isotonic isovolumetric condition. In contrast, there is a net efflux of amniotic fluid by osmotic bulk flow, resulting in elevation of $Na^+$ concentration in hypotonic isovolumetric condition. 2) In hypervolumetric conditions, there is a massive efflux of amniotic fluid or solvent drag through the surrounding membranes by fiItrative bulk flow, where the rate of $Na^+$ efflux has a linear relationship with that of water efflux. This is assumed to be carried out through enlarged and newly opened intercellular spaces resulting from increased intraamniotic pressure. 3) Once increasing intraamniotic pressure reaches a point allowing $Li^+$ to pass through during osmotic bulk flow in hypotonic amniotic fIuid, $Na^+$ influx seems to occur by diffusion simultaneously or immediately thereafter, too.

  • PDF

복하천 중상류 유역의 자연유량 산정 (Estimation of Natural Streamflow for the Bokhacheon Middle-upper Watershed)

  • 김남원;이정우;이정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12호
    • /
    • pp.1169-118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복하천 중상류 유역에 대해 준분포형 유역수문모형 SWAT-K를 적용하여 자연유량을 산정하고, 하천유량 변화를 야기하는 지하수 양수량, 하천수 취수량, 하수처리수 방류량 등의 인위적인 요인으로 인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2006년부터 2013년까지의 자연상태의 하천유량을 모의한 결과 최저유량은 $1.7m^3/s$, 평균유량은 $26.2m^3/s$, 갈수량은 약 $2.0m^3/s$로 산정되었다. 지하수 이용, 하천수 취수, 하수처리수 방류 등 각각의 인위적 요인에 의한 하천유황의 상대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갈수량은 지하수 양수로 인해 자연상태에 비해 약 34% 감소, 하수처리수 방류와 하천수 취수의 복합 영향으로 인해 약 15% 증가, 지하수 양수, 하수처리수 방류와 하천수 취수의 복합 영향으로 약 19% 만큼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복하천 본류를 따라 모의된 자연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비유량의 거동 특성을 분석한 결과, 중상류 유역에서는 지배면적이 증가할수록 비풍수량, 비평수량, 비저수량, 비갈수량 등의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하류부로 내려오면서 지배면적이 약 180 $km^2$ 이상에서부터는 면적과 상관없이 거의 일정한 비유량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전략집단과 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ategic Groups of Program Providers(PP) and the Performance in Korea)

  • 여현철;김재범;이상식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6권
    • /
    • pp.387-419
    • /
    • 2009
  • 유사한 자원을 가지고 유사한 전략을 사용하는 기업들의 집합체로 정의되는 '전략 집단 (strategic group)' 개념은 기업과 산업의 중간에 위치하여 산업조직론과 전략경영의 접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영학 분야에서 주로 적용되었던 '전략 집단'의 개념을 방송채널사용 사업자(Program Provider) 산업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PP시장에는 몇 개의 전략 집단이 존재하며, 집단 간 전략적 변수의 차이는 무엇이며, 전략 집단별 PP의 성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40개 상업 PP를 분석하였다. 전략 집단 분류 변수를 이용,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9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전략 집단 구분시 군집 형성에 상대적으로 기여도가 큰 변수는 운영 효율성(4.05), 가격(3.83), 규모, 즉 SO 송출수(3.56), 수신료 의존도(2.58), 수평 결합(2.16) 등의 순이었다. 전략 집단간 재무성과 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서, 성과 변수 간에 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략 집단 간에 가입자당 매출액은 유의적 차이가 있었지만, 매출액 영업 이익률, 현금흐름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기존 연구에서는 역사가 오래된 PP가 성과가 높거나 전략 집단 형성에 크게 기여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는 역사 변수 역시 집단 구분이나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ssessment of absorption ability of air pollutant on forest in Gongju-city

  • Eom, Ji-Young;Jeong, Seok-Hee;Lee, Jae-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12호
    • /
    • pp.328-335
    • /
    • 2017
  • Background: Some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evaluate the ecological function of various additional services, away from the main point of view on the timber production of Korean forests. However, basic data, evaluation models, or studies on the absorption of air pollutants related to major plant communities in Korea are very rare. Therefore, we evaluated the functional value of the forest ecosystem in Gongju-city. Plantation manual for air purification, suppli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Japan, was referred to process and method for assessment of air pollutant absorption. Results: Gross primary production was calculated about average 18.2 t/ha/year. It was a relatively low value in forests mixed with deciduous broad and evergreen coniferous compared to pure coniferous forest. Net primary production was the highest value in deciduous coniferous and was the lowest value in mixed forest with deciduous broad and evergreen broad. And the mean sequestration amount of each air pollutant per unit area per year assessed from gross primary production and concentration of gas was the highest with 75.81 kg/ha/year in $O_3$ and was 16.87 and 6.04 kg/ha/year in $NO_2$ and $SO_2$, respectively. In addition, total amounts of $CO_2$ absorption and $O_2$ production were 716,045 t $CO_2$/year and 520,760 t $O_2$/year in all forest vegetation in Gongju-city.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bsorption ability of air pollutant in 2014 on forest in Gongju-city area. Gongju-city has the broad mountain area about 70.3%, and area of deciduous broad leaves forest was established the broadest with 47.4% of genus Quercus. Pg was calculated about average 18.2 t/ha/year. The mean sequestration amount of each air pollutant per unit area per year assessed from Pg and $C_{gas}$ was the highest with 75.81 kg/ha/year in $O_3$ and were 16.87 and 6.04 kg/ha/year in $NO_2$ and $SO_2$, respectively. Absorption rates of $O_3$, $NO_2$, and $SO_2$ were the highest in evergreen coniferous forest about $14.87kgO_3/ha/year$, $3.30kgNO_2/ha/year$, $1.18kgSO_2/ha/year$, and the lowest were $5.95kgO_3/ha/year$, $1.32kgNO_2/ha/year$, and $0.47kgSO_2/ha/year$ in deciduous broad forest. In conclusion, it was evaluated that Japanese model is suitable for estimating air pollutants in Japan to Korean vegetation. However, in Korea, there is a very limited basic data needed to assess the ability of forests to absorption of air pollutants. In this study, the accuracy of a calculated value is not high because the basic data of trees with similar life form are used in evaluation.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200)를 이용한 청둥오리의 이동거리 및 행동권 연구 (Movements and Home-range of Mallards by GPS-Mobile based Telementary (WT-200) in Korea)

  • 강태한;김달호;조해진;신용운;이한수;서재화;황종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42-649
    • /
    • 2014
  • 청둥오리는 대표적인 한국내 월동 수조류로 넓은 농경지를 월동지로 이용한다. 한국의 중부지역에 위치한 만경강 하류지역에서 청둥오리 월동 행동권 및 월동지에서 이동거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1-2013년 월동기에 Cannon-net을 이용하여 포획된 청둥오리 7개체에 GPS-이동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를 부착하였다. 청둥오리 행동권 분석은 GIS용 SHP 파일과 ArcGIS 9.0 Animal Movement Extension을 이용하였으며, 커널밀도측정법(Kernel Density Estimation : KDE)과 최소볼록다각형법(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 MC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청둥오리 행동권은 최소볼록다각형법(MCP)에 의해서 $118.8km^2$(SD=70.1, n=7) 이었으며, 커널밀도측정법(KDE)으로는 $60.0km^2$(KDE 90%), $23.0km^2$(KDE 70%) and $11.6km^2$(KDE 50%)이었다.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 부착지점으로부터 이동거리는 평균 19.4km이었으며, 최대이동거리는 33.2km, 최소이동거리는 9.4km이었다. GPS좌표가 획득된 정점간 거리는 평균 0.8km이었으며, 정점간 이동거리는 최소 6.5km에서 최대 19.7km이었다. 청둥오리는 월동기 동안 매우 짧은 거리를 이동하였으며, 월동지에서 수계 의존성이 매우 높은 경향을 보였다.

통신산업에서 개인정보의 보호와 영업적 이용의 한계 (The Protection of Privacy and the Restriction of Its Commercial Use in Telecommunications)

  • 홍명수
    • 법제연구
    • /
    • 제41호
    • /
    • pp.303-335
    • /
    • 2011
  • 통신산업에서 급격한 변화는 통신법 규제체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개인정보 보호의 측면에서도 이러한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전통적인 통신법에서는 개인정보(privacy)의 비밀을 보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정책 목표였지만, 디지털화된 통신 환경에서는 정보의 형성, 저장, 전송 등의 모든 과정에서 개인정보의 보호가 문제가 되고 있으며, 특히 통신사업자 등이 개인정보 보호의 주체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2003년 EU의 프라이버시 지침의 제정이나 1996년 미국 통신법의 개정을 통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개인정보 보호의 필요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우리 통신법 체계에서도 이러한 제도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 즉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일반법으로서 "개인정보보호법"이 제정되고, 통신산업에서의 특별한 규율의 의미가 있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과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등이 특별법으로서 개인정보 보호의 근거가 되고 있다.주제어:개인정보, 통신산업, 프라이버시 지침,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이와 같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통신법 체계는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개인정보 보호의 구체적인 유형에 상응하는 규제 내용을 보완하고, 개인정보 보호의 기본 요건으로서 정보주체의 동의를 실질화 하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