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a pratensis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5초

플라스틱 시트 위에 재배한 켄터키 블루그래스(Poa pratensis) 카펫형 뗏장의 배양토 및 파종량 (Soil Media and Seeding Rates for the Establishment of Kentucky bluegrass Carpet-type Sod over a Plastic Sheet)

  • 심상렬;정대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0-28
    • /
    • 1999
  • 켄터키 블루그래스를 잔디뗏장으로 생산하기 위한 실험에서 토양의 조성과 파종량을 달리하여 분석된 생육특성과 뗏장형성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의 물리화학성이 좋은 토탄, 바크 및 버미큘라이트를 배양토로 한 처리구에서의 생육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토탄은 5차례의 피복율 측정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모래를 주재료로한 처리구와 사양토, 모래, 펄라이트 및 피트모스에서는 피복율을 비롯한 다른 생육특성에서도 매우 낮은 결과를 보여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뗏장생산을 위한 배양토로는 부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피트모스는 토양의 물리성중 투수율이 좋지 않아 수분의 침투가 어려우며 pH 3.9의 강산성으로 원할한 식물 생장이 어렵다고 보여진다. 3. 표면경도와 인장강도의 측정결과 피복율도 좋고 생육이 활발하여 뿌리조직이 잘 발달된 토탄, 바크 및 버미큘라이트에서 우세하였다. 4. 파종량을 달리하여 생육특성을 파악한 실험에서는 파종량이 가장 많았던 $15g/m^2$에서 높았고 기간이 지날수록 $5g/m^2$, $10g/m^2$의 처리구도 $15g/m^2$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적당한 밀도를 유지하고 개체간의 경쟁이 없었다고 보여지는 $10g/m^2$이 적정 파종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5. 뗏장의 형성은 토탄, 바크 및 버미큘라이트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토탄은 파종후 약 2개월이 경과한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뗏장이 형성되었다. 6. 본 실험의 결과 파종량보다는 배양토의 조건에 따라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육 상태 및 뗏장의 형성이 더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훼손비탈면 복원을 위한 콩과목본류로서 참싸리 및 낭아초의 적정파종량에 관한 연구 (The Optimal Seeding Quantity of Lespedeza cyrtobotrya Miquel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MATSUMURA as Leguminous Woody Plants for the Cut-slope Revegetation)

  • 유병득;심상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1-71
    • /
    • 2016
  •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dentify the optimal seeding quantity of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as leguminous woody plants for the cut-slope revegetation. To investigate the coverage ratio and appearance frequency, we divided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into five treatment groups with various quantities of $0.0g/m^2$, $1.0g/m^2$, $2.4g/m^2$, $3.8g/m^2$, and $5.2g/m^2$. For each treatment group, we mixed the identical quantities of herbaceous flowers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Dianthus sinensis, Aster yomena and Pennisetum alopecuroides) seeds and cool-season turfgrasses (Festuca arundinacea and Poa pratensis) seeds. In this result, as the seeding quantity of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increased in the spray, the coverage ratio for leguminous woody plants appeared to increase whereas the coverage ratio decreased in herbaceous flowers and cool-season turfgrasses. However, when the seeding quantity of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exceeded $3.8g/m^2$ in the spray, the coverage ratio of leguminous woody plants rather decreased compared to four treatment groups less than $3.8g/m^2$ seeding ratio. Based on the longitudinal data of coverage ratio in five treatment groups, we observed the gradual process of a short-term succession in which the dominant species shift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cool-season turfgrasses; Second, herbaceous flowers; Third, leguminous woody plants. Comparing the appearance frequency of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Lespedeza cyrtobotrya appeared more frequent in 2014 whereas Indigofera pseudo-tinctoria appeared to be relatively more frequent in 2015. As a result, Indigofera pseudo-tinctoria was discovered to be a dominant species among woody plants. In this study, we observed that the optimal seeding quantity of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was $2.4g/m^2{\sim}3.8g/m^2$. Moreover, the coverage ratio of 29.1%~35.4% and appearance frequency of 4.6plants~5.8plants were found in the condition of optimal seeding quantity.

고속도로 비탈면 녹화 시험시공지 조사 연구 - 당진대전선 서세종 IC 비탈면 녹화 시험시공지에 대한 시공 4년 후 시점의 추적조사 - (Study on Experimental Construction Monitoring for Revegetation on the Slope of an Expressway - Follow-up Study on the Experimental Area of Revegetation, the Slope of Dangjin Daejeon Expressway (Seosejong IC), Four Years after the Construction -)

  • 전기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23-132
    • /
    • 2016
  • The study was to introduce the revegetation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landscape in October, 2012 on the slope; two and four years after the introduction, the slope was examined to see the status of the revegetation.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result from examining the soil on the slope, the soil was Loamy sand; which infers that the soil is in a poor condition for improving the scener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base materials, the soil acidity was pH 6.4 to 6.7; and the soil hardness was 21 to 24mm (hardness quotient of soil), this can be considered a favourable condition, which has no effect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lants. When it comes to the discovery of the species in the area, Lotus corniculatus var., Silene armeria L., Papaver rhoeas, Trifolium pratense L. developed and grew in spring after two years. And in the summer, Lotus corniculatus var., Dianthus chinensis L., Cosmos bipinnatus, Coreopsis drummondii L., Trifolium pratense were founded. And there were Lotus corniculatus var., Dianthus chinensis L., Aster yomena, Coreopsis tinctoria, Trifolium pratense L. in the autumn.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conducting after four years, Lotus corniculatus var., Dianthus chinensis L., Silene armeria, Cosmos bipinnatus, Coreopsis drummondii L., Papaver rhoeas, Trifolium pratense L. were founded in the spring, and Lotus corniculatus var., Dianthus chinensis L., Cosmos bipinnatus, Coreopsis drummondii L., Trifolium pratense grew in the summer. Lotus corniculatus var., Dianthus chinensis L., Astragalus sinicus, Aster yomena, Coreopsis tinctoria, Trifolium pratense L. were discovered in the autumn. Among the exotic species founded in the area, were Festuca arundinacea, Lolium perenne, Festuca rubra. When it comes to the protection of vegetation and dominance, Lotus corniculatus var., Metaplexis japonica, Coreopsis drummondii L. are the dominant species among the spring plants; and Lotus corniculatus var., Trifolium repens L., Erigeron annuus (L.) Pers. were the dominant plants in the summer. In the autumn, Lotus corniculatus var., Coreopsis drummondii L., Poa pratensis appear to be the dominant plants. The colonies of Pinus densiflora and Castanea crenata var. were formed around the South Sejong IC. Part of the area is occupied by the colony of Alnus hirsuta Turcz. ex Rupr. In terms of shrub, there were Indigofera pseudo-tinctoria, Robinia pseudoacacia, and Rosa polyantha var. genuina NAKA. As ground cover plants, Sasa borealis, Rubus crataegifolius Bunge were founded.

초흡수성 고분자 중합체가 크리핑 벤트그래스, 켄터키 블루그래스 및 들잔디의 잔디품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Highly Water-Absorbing Polymer on Thrfgrass Quality of Creeping Bentgrass, Kentucky Bluegrass, and Zoysiagrass)

  • 김경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9-68
    • /
    • 2011
  • 본 연구는 토양개량재 혼합구에서 고분자 중합체 비율이 주요 초종의 잔디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 수분 흡수 중합체를 이용한 토양개량재의 개발 및 실무 응용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하였다. 토양개량제 혼합구는 모래, 토양개량재 SOA 및 중합제 WSP를 이용하여 전체 12개 처리구틀 준비하였다. 온실에서 생장한 크리핑 벤트그래스, 켄터키 블루그래스 및 들잔디의 잔디품질은 토양개량재 SOA 및 WSP 중합체 혼합비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초종별 잔디품질은 크리핑 벤트그래스 > 들잔디 > 켄터키 블루그래스 순서로 나타났고, 시각적 잔디품질 점수는 WSP 중합체 혼합비율에 따라 크리핑 벤트그래스 0.3~9.6, 켄터키 블루그래스 0.3~4.0 및 들잔디 0.9~5.8 사이로 초종 간 최대 5.6정도 차이가 있었다. 3종류 공시초종에서 잔디품질의 변화패턴은 WSP 중합체 혼합비율에 따라 경시적으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잔디품질을 고려할 때 혼합비율은 크리핑 벤트그래스와 들잔디는 5%, 켄터키 블루그래스는 5~10% 범위가 적절하였다. 잔디품질에 대한 전반적인 WSP 중합체 처리효과는 크리핑 벤트그래스, 켄터키 블루그래스 및 들잔디 모두 SOA 20% 혼합구에서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토양개량재 SOA를 함유한 식재층 토양에 WSP 중합체 혼합 시 SOA 혼합비율은 한지형인 크리핑 벤트그래스와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경우 15~20% 사이, 그리고 난지형인 들잔디는 20% 정도를 혼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향후 유가질 토양개량재를 함유한 식재층 토양에서 0~15% 사이의 저수준의 WSP 중합체 혼합과 함께 칼슘, 펄라이트 등 무기 영양분이 초장, 밀도 및 품질 등 잔디생육 특성에 대한 효과검정을 통해 WSP 중합체를 이용한 토양개량재의 개발 및 실무 응용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entucky bluegrass의 생육을 위한 생초복합비료 효과 (Effects of Liquid Fertilizer Produced from Fermented Clippings for Kentucky bluegrass)

  • 이상국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7-71
    • /
    • 2012
  • 유기질비료(Organic fertilizer)는 천연유기질(Natural organic) 비료와 합성유기질(Synthetic organic) 비료로 구분이 된다. 천연유기질비료의 장점은 그동안의 선행연구를 통해서 많이 보고되어왔다. 그러나 예지물을 이용한 시비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예지물을 발효시켜 제조된 천연유기질비료로서의 골프장의 fairway 및 athletic fields 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Kentucky bluegrass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생초복합비료는 Kentucky bluegrass 로부터 수거된 예지물을 모아 부숙과정 없이 미립자로 분쇄한 후 $28^{\circ}C$에서 약 2개월간 발효시킨 후 생성된 발효액에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 EM) 군으로 제조된 활성액을 3%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잔디에 대한 각 질소의 시비효과는 National Turfgrass Evaluation Program (NTEP)에서 제시한 방법에 준하여 잔디의 품질을 시각적평가를 통해 매 2주마다 조사하였다(1=worst, 9=best, and 6=acceptable). 생초복합비료와 천연유기질비료와의 비교에서는 품질의 변화폭이 일정하고 최소수용품질 이상의 품질을 나타내기에 생초복합비료가 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속효성비료인 urea 와의 비교에서 그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생초복합비료의 시비 빈도간에 따른 차이는 본 실험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민통선 접경지역(매봉산, 칠절봉, 향로봉)일대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Civilian Control Line Area (Hyangro-Bong, Chiljeol-Bong, Mt. Mae-Bong in Inje-gun, kangwon-do))

  • 박광서;안치호;박완근
    • 임산에너지
    • /
    • 제20권2호
    • /
    • pp.81-116
    • /
    • 2001
  • 민통선 접경지역을 대상으로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104과 331속 634종 2아종 90변종 7품종으로 총 730종류가 분포하였으며, 양치식물계수(Pte-Q)는 1.27로 종다양성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의 한국특산식물은 지리대사초, 키버들, 누른종덩굴, 진범, 금감제비꽃 등 31종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진부애기나리, 말나리, 연령초, 천마 등 35종류가 분포하고 있었으며, 조사지역내의 귀화식물로는 오리새, 왕포아풀, 애기수영, 대나물, 다닥냉이 등 26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통선 접경지역의 식생은 1군목, 1군단, 6군락으로 분류되었다. Rhododendro-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신갈나무-철쭉군목), Lindero-Quercion mongolicae Kim 1990(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 A. Carex humilis v. nana- Phinus densiflora Community 소나무-산거울군락, B. Acer pseudo-sieboldianum-Quercus mongolica Community 당단풍-신갈나무군락, C. Styrax obassia-Quercus mongolica Community 쪽동백-신갈나무군락, D. Acer palmatum-Quercus mongolica Community 단풍나무-신갈나무군락, E. Rheodendron mucronulatum-Quercus mongolica Community 진달래-신갈나무군락, F. Betula schmiditii-Quercus mongolica Community 박달나무-신갈나무군락

  • PDF

겨울철 지하부의 가온처리가 경기장 잔디의 생육 및 무기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ndersoil Heating on Growth and Mineral Contents of Turfgrasses in Simulated Athletic Field During Winter Season)

  • 구자형;이혜정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5-73
    • /
    • 2002
  • 한국의 겨울철 온도 조건하에서 가온에 의한 근권부의 온도조절이 잔디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아울러 shoot의 무기성분 함량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겨울철 근권부의 온도를 20$\pm$2$^{\circ}C$로 유지한 결과 대조구의 잔디는 동해로 인해 생육이 멈춘 반면 온도 처리구에서는 공시된 한지형 잔디(Kentucky bluegrass, perennial ryegrass, tall fescue) 모두에서 녹색이 유지되었으며 예초를 요할 정도의 생육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들잔디의 경우 겨울철 근권부의 온도를 높여주어도 지상부의 생육은 불가능하였다. 2. 온도 처리구에서의 예초량은 tall fescue에서 가장 많았고, 엽록소 함량은 perennial ryegrass에서 가장 높았으며 Kentucky bluegrass는 안토시아닌 함량이 다른 종류에 비하여 높기 때문에 검붉은 색깔을 나타내는 shoot의 수가 많았다. 3. Shoot의 무기양분 함량은 N, P는 토양처리간에 차이가 없었고 K, Ca, Mg는 모래+peat moss에 비하여 모래+peat moss+soil 처리구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근권부의 가온조절은 한국의 겨울철 기온하에서 한지형 잔디의 생육을 도모하고 겨울철 잔디의 녹색을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눈 녹음을 촉진시켜 잔디의 이용률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판단된다.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생육을 위한 칼륨의 유형별 효과 (Evaluating Various Potassium Sources for Kentucky Bluegrass Growth)

  • 이상국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0-194
    • /
    • 2011
  • 칼륨(K)은 식물체 성장을 위한17가지 필수 영양소중의 하나이지만 식물체를 구성하는 필수 구성물질은 아니다. 그러나 칼륨은 식물체내에서 여러가지 효소작용과 효소와 관련된 여러가지 대사과정에 관여를 하는 중요한 영양소이다. 칼륨이 잔디의 성장에 영향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결과들이 많은 연구결과를 통해서 보고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다양한 칼륨의 종류에 따른 잔디의 생육에 관한 연구결과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실험의 목적은 6종류의 칼륨에 따른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생육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칼륨의 종류로 potassium nitrate (13-0-44, PN), potassium chloride (0-0-60, PC), potassium sulfate (0-0-50, PS), polymer-coated potassium sulfate (0-0-45, PPS), potassium thiosulfate (0-0-25, PT), potassium sulfate granulated with methylene urea (20-0-25, PSU) 등 6종류가 사용이 되었다. 실험을 위해 질소와 칼륨이 각각 20와 $30g\;m^{-2}\;yr^{-1}$의 양이 4번에 나누어 실험구에 적용되었다. 칼륨의 종류에 따른 처리에 의해 잔디의 색, 품질, 엽록소 지수, 예지물생산량등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유의성이 발견되었지만, 일관성 있는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 칼륨의 종류에 따라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부산석회를 활용한 휴ㆍ폐 석탄광산 폐기물의 안정화 및 식생복원 (Reclamation of the Closed/Abandoned Coal Mine Overburden Using Lime wastes from Soda Ash Production)

  • 김휘중;양재의;옥용식;유경열;박병길;이재영;전상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37-47
    • /
    • 2004
  • In Korea, over three hundreds of the coal mines were closed or abandoned due to the depression of the mining industry since the late 1980s. Many of them locate in the steep mountain valleys and the coal mine wastes had been disposed without a proper treatment From these mines, enormous amounts of coal mine overburdens have been abandoned in the slopes and the ample amounts of acid mine drainage (AMD) from either portal or overburdens have been discharging directly to the streams, causing the detrimental effects on soil and water qualities.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reclaim the coal mine overburdens using the lime waste cake from the soda ash production by stabilizing the overburden slopes, introducing the vegetation alleviate th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the closed coal mines. The percentages of the grass distribution ratio (%) and the surface coverage ($\textrm{cm}^2$) in each treatment plot were determined during June to August after seed spraying grasses such as orchard grass (Dactylis glomerata L),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and Eulalia (Miscanthus sinensis Anderss) at the end of May. The grasses covered only 15.5 % of the coal overburden plot at the early stage but the coverage was increased with time to 33% in August. Growth of such grasses was enhanced with the combined treatments of lime waste and topsoil resulting in the increased surface coverage by the grasses. The Increment of the surface coverage from June to August was higher with lime waste treatments. The distribution percentages and surface coverage were highest when the lime wastes were treated at 25 % of the lime requirement. This might be related with the high salt contents in the hire wastes.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amounts of lime wastes at 25% of the lime requirement were sufficient for neutralizing the acidic coal overburden and introducing the re-vegetation. Either layering between the coal waste and topsoil or mixing with coal overburdens could be adopted as the lime waste treatment method. The combined treatment of lime wastes and topsoil was recommended for re-vegetation in the coal overburden slopes. The lime wastes from the soda ash production might have a potential to be recycled for the reclamation of the abandoned coal mines to alleviate the environmental problems associated with coal mine waste.

  • PDF

난지형 잔디와 한지형 잔디의 혼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ies on the Warm-Season Turfgrass and Cool-Season Turfgrass Mixtures)

  • 박봉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21-27
    • /
    • 2003
  • 본 연구는 난지형 잔디와 한지형 잔디의 혼식구의 5년간에 걸친 초종 구성비율의 경년변화를 조사하여 안정성이 높은 초종 품종의 조합을 밝히고 시비법이 난지형 잔디와 한지형 잔디 초종의 구성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한지형 잔디를 혼식하여 5년째인 시점에서 난지형 잔디와 한지형 잔디 혼식구의 초종 구성비율은 센티페드그래스와 버팔로그래스와의 혼식구를 제외하고는 들잔디, 세인트어거스틴그래스, 버뮤다그래스는 대체적으로 반반 정도의 비교적 안정된 혼식비율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들 초종들은 난지형 잔디와 한지형 잔디의 혼식을 위한 이용적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센티페드그래스와의 혼식구에서는 센티페드그래스가 버팔로그래스와의 혼식구에서는 한지형 잔디가 우점하여 이들 난지형 잔디는 한지형 잔디와의 혼식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난지형 잔디와 한지형 잔디 혼식구의 시비는 난지형 잔디가 휴면중인 시기에 실시하면 한지형 잔디가 우점하게 되는 경향을 보여 난지형 잔디의 생육기인 4~8월 사이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난지형 잔디와 한지형 잔디 혼식구는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일정한 초종 구성비율이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계속적인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