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otus sajor-caju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4초

Buprofezin이 느타리버섯속의 원형질체 나출 및 재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uprofezin on the formation and reversion of protoplast from mycelia of Pleurotus ostreatus and P. sajor-caju)

  • 신관철;황의일;서건식
    • 농업과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77-81
    • /
    • 1990
  • Chitin 합성 저해제인 buprofezin이 P. ostreatus 및 P. sajor-caju 균사의 생장과 원형질체 나출 및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바를 요약하면 buprofezin은 P. ostreatus 및 P. sajor-caju.의 균사생장을 심히 저해하였고 buprofezin의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균사생장 억제가 심하였다. Buprofezin 처리에 의하여 기균사가 증가하였으나 균사의 형태에는 변화가 없었다. 원형질체의 나출량은 buprofezin 200-500 ppm 첨가구의 균사에서 무처리보다 현저히 높은 결과를 보였고, 원형질체의 재생율은 buprofezin의 처리에 의하여 증가하였다.

  • PDF

느타리버섯 균사체 액체배양으로부터 항보체 다당 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s produced from submerged mycelial culture of Pleurotus sajor-caju)

  • 송치현;김재홍;양병근;김길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2호통권77호
    • /
    • pp.104-110
    • /
    • 1996
  • Pleurotus sajor-caju를 각각 다른 영양원과 배양조건에 따라 배양했을 때 항보체 활성 다당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탄소원으로는 배양액에서는 lactose를 탄소원으로, 균사체로 부터의 열수 추출시에는 탄소원을 maltose로 사용했을 때 가장 높은 항보체 활성 다당을 얻을 수 있었다. 질소원으로는 ammonium phosphate(monobasic), amino acid로는 serine을 배양원으로 하였을 때 활성이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온도조건에서는 $25^{\circ}C$에서 최대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생산된 다당의 조성을 분석한 결과 Pleurotus sajor-caju의 배양액에서 분리한 다당은 peptidoglycan으로 나타났다.

  • PDF

Studies on the Effect of Vinyl Mulching on Pleurotus Cultivation - Bunch Formation an Pleurotus sajor-caju(III) -

  • Oh, Se-Jong;Shin, Pyung-Gyun;Jang, Kab-Yeul;Kim, Hee-Kyu
    • Mycobiology
    • /
    • 제31권1호
    • /
    • pp.54-56
    • /
    • 2003
  • Perforated vinyl mulching technique was performed on Pleurotus sajor-caju beds to assess fruitbody formation. Individual fruitbody of P. sajor-caju was transformed into bunch type on vinyl mulching bed. It was effective to grow the mushroom without waterlogging and abortion of small pins on the beds as well as hygienical bed management. A bunch showed 79 fruitbodies and 225 g of weight. Available site for fruiting was reduced up to 20% in comparison of 100% for conventional bed. The color of fruitbody turned on brownish white from treated vinyl mulching bed.

느타리버섯의 일반성분(一般成分) 및 유리당(遊離糖)의 합량변화(合量變化) (Changes in the Contents of General Compositions and Free Sugars of Oyster Mushrooms)

  • 김태영;홍재식;이태규;김명곤;오경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1호
    • /
    • pp.14-22
    • /
    • 1989
  • 고온성(高溫性) 균주(菌株)인 P. sajor-caju와 저온성(低溫性) 균주(菌株)인 P. ostreatus 2-1, P. ostreatus 2-3, P. ostreatus 201의 균사생육(菌絲生育)과 버섯의 수량(收量)을 검토(檢討)하고 이들 중(中)에서 균사생육(菌絲生育)과 버섯수량(收量)이 양호(良好)한 P. sajor-caju, P. ostreatus 201 버섯균(菌)을 生育日數(생육일수)에 따라 각(各) 주기별(週期別)로 버섯크기별 일반성분(一般成分)과 당류(糖類)를 분석(分析)하였다. 4개(個)의 느타리버섯 균주중(菌株中)에서 균사생육(菌絲生育)과 버섯수량(收量)이 양호(量好)한 균주(菌株)는 P. sajor-caju와 P. ostreatus 201이었으며 P. sajor-caju 버섯의 전수획량(全收獲量)은 약 $20.2kg/m^{2}$이었고 P. ostreatus 201은 약 $19.79kg/m^{2}$이었다. 양(兩) 버섯중(中)에서 조단백질(粗蛋白質), 수용성(水容性) 순단백질(純蛋白質), 유리(遊離) 환원당(還元糖), 전당(全糖) 및 週脂肪(조지방) 함량(含量)은 P. ostreatus 201 버섯이 다소 높았으며 주기별(週期別)로는 이들 성분(成分)이 1,2주기(週期) 버섯은 비슷하나 유리환원당(遊離還元糖)을 제외하고는 $3{\sim}5cm$ 버섯에서 제일 높았고, 버섯 크기가 클수록 점진적으로 감소(減少)되었다. 양(兩) 버섯의 조섬유(粗纖維) 함량(含量)은 P. sajor-caju 버섯이 다소 높았고 주기(週期)가 경과(經過)할수록 점차 증가(增加)되었으며 무기물(無機物) 함량(含量)은 1,2주기(週期)는 비슷하였으나 3주기(週期)부터는 정차 감소(減少)되었고 버섯 크기가 클수록 이들 성분(成分)이 점진적(漸進的)으로 증가(增加)되었다. P. sajor-caju 버섯에서는 xylose, glucose, mannitol, trehalose, P. ostreatus 201 버섯은 xylose, fructose, glucose, mannitol, trehalose, P. ostreatus 201 버섯이 약간 높았으며, glucose는 양(兩) 버섯이 $1{\sim}3cm$ 크기의 버섯에서 많았고 나머지 당류(糖類)는 $3{\sim}5cm$ 크기의 버섯에서 많았으며 버섯이 커갈수록 이들 성분(成分)은 다소 감소(減少)되었다.

  • PDF

여름 느타리 버섯 (Pleurotus sajor-caju) 저장중의 향기성분 변화 (Changes of Volatile Components of Pleurotus sajor-caju During Storage)

  • 정순택;홍재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2-298
    • /
    • 1991
  •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tion method에 의해 국내에서 인공재배되고 있는 여름 느타리 버섯(Pleurotus sajor-caju)을 실온과 냉장하에서 저장하면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리한 다음 GC-MS 및 GC에 의한 표준품과의 머무름시간 비교에 의해 향기성분의 변화를 검토하여 보았다. 총 aroma contentrates의 함량은 냉장 저장시는 큰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실온 저장시는 큰 감소의 경향을 보였다. 확인된 38종의 휘발성 화합물중 실온 저장시 ${\delta}-decalactone$만 약간증가하였으나 기타의 성분들은 현저히 감소한 반면 냉장 저장시는 2-methyl butanal, 1-octen-3-ol, cis,cis-1,5-octadien-3-ol, pentadecanoic acid등은 감소추세를 보였지만 3-octanone, 1-octen-3-one, 3-octanol, 5-undecanol등은 오히려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중량 감소와 관능적 특성은 실온 저장시 냉장 저장보다 심한 변화를 보였다.

  • PDF

여름느타리 버섯류의 미토콘드리아 DNA 비교 (Variations in Mitochondrial DNA of Pleurotus sajor-caju)

  • 변명옥;김경수;유창현;차동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7-121
    • /
    • 1994
  • 여름느타리버섯 Pleurotus sajor-caju 균주를 인디아, 파푸아뉴기니아를 포함한 5개국으로부터 수집하였다. 파푸아뉴기니아 균주는 흰색 자실체를 형성하나 나머지 4개 지역 균주는 갈색 자실체를 형성하였다. 갈색 자실체와 백색 자실체로부터 각각1핵 균주를 얻어 서로 교배하였다. 그들은 다른 교배형을 나타냈으며 갈색종은 $A_1A_2B_1B_2$이었고 백색종은 $A_3A_4B_3B_4$이었다. 여름느타리버섯 5개 균주의 균사체에서 DNA를 분리하였으며, 미토콘드리아 DNA는 bisbenzimide-CsCl 초원심 분리에 의해 핵 DNA와 분리되었다. 5개 균주중 2개 균주의 미토콘드리아 DNA는 EcoRI 제한효소 패턴이 다르게 나타났다. 분리된 각 band의 절편 크기를 합산한 미토콘드리아 DNA크기는 60-65 kb로 추정되었다.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etalloproteases from Pleurotus sajor-caju

  • SHIN, HYUN-HEE;HYE-SEON CHO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5호
    • /
    • pp.675-678
    • /
    • 1999
  • Fibrinolytic protease activity was detected in the fruit body of Pleurotus sajor-caju using a fibrin plate method. Two fibrinolytic activities (FPI and Ⅱ) were found at the regions of 14.5 and 86.0 kDa by using gel-filtration column chromatography. FPⅡ was identified as an alkaline protease, whereas FPⅠ was a neutral protease. Both were inhibited by phenanthrolin and EDTA, suggesting that they are metalloprotease. Inactivated enzyme activities were restored by adding Co/sup 2+/ or Zn/sup 2+/. Iodoacetate inhibited FPⅠ, but not FPⅡ. Both enzymes cleaved B/sub β/ and γ chains of the human fibrinogen. FPⅡ showed a preference to hydrophobic and bulky residues of nitroanilidine compounds as substrates, whereas FPⅠ preferred positively charged residues.

  • PDF

하기(夏期) 재배(栽培)에 알맞는 여름 느타리 버섯의 선발(選拔) (Selection of Pleurotus sajor-caju as Suitable Species for Cultivation under Summer Climatic Conditions in Korea)

  • 고승주;변명옥;유창현;박용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3-58
    • /
    • 1984
  • 하기재배(夏期栽培)에 알맞는 느타리버섯은 동남아세아(東南亞細亞) 및 인도(印度)에 자생(自生)하는 느타리버섯(Pleurotus spp.) 6균주(菌株)를 수집(蒐集)하여, 볏짚배지(培地)에서의 균사생장(菌絲生長) 정도(程度), 발용온도(發茸溫度) 및 여름철 기후하(氣候下)에서 자실체(字實體) 생산력(生産力) 등(等)을 조사(調査)하여 선발(選拔) 하였다. 새로선발(選拔)된 Pleurotus sajor-caju ( Fr.) Sing. (ASI 2070)은 시험(試驗)된 균주(菌株) 중(中) 볏짚배지(培地)에서 가장 양호한 균사생장(菌絲生長)을 보였고,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은 $13.7kg/m^2$으로 높았다. 발용온도범위(發茸溫度範圍)는 $10{\sim}35^{\circ}C$ 였으며 최적온도(最適溫度)는 $20{\sim}25^{\circ}C$였다. 이와같은 시험결과(試驗結果)는 농가재배(農家栽培)로 실증(實證)하였으며 이버섯을 "여름느타리버섯"으로 명명(命名)하였다.

  • PDF

한국산 느타리 버섯류 (Pleurotus sp.)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Oyster Mushrooms (Pleurotus sp.) Cultivated in Korea)

  • 정순택;홍재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9-305
    • /
    • 1991
  •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tion method에 의해 4종의 국내에서 인공재배되고 있는 느타리 버섯류 (Pleurotus sp)로부터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리한 다음 GC-MS 및 GC에 의한 표준품과의 머무름 시간 비교에 의해 성분을 확인 하였다. 확인된 54종의 휘발성 화합물중 저온성 느타리 (Pleurotus ostreatus ASI 201)에서는 1-octen-3-ol, 3-octanone, 3-octanol등이, 원형 느타리 (Pleurotus florida--ostreatus-ostreatus)에서는 1-octen-3-ol, n-hexanol, 3-octanone, 3-octanol, phenol등이, 애느타리 (Pleurotus ostreatus)에서는 1-octen-3-ol, n-pentanal, n-hexanol, n-pentanol, 3-octanone, 3-octanol, 1,5-octadien-3-one등이었다. 특히 확인된 성분중에는 탄소수가 8개인 alcohol 및 carbonyl화합물이 많았으며 전체 향기성분에 대한 $C_8$화합물의 비율은 각각 56.60%, 72.46%, 54.84%, 35.85%이었다.

  • PDF

느타리버섯 비닐멀칭재배법에 의한 노동력 감소 (Reduction of labor in oyster mushroom cultivation by vinyl mulching on mushroom bed)

  • 오세종;박정식;신평균;정종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2-43
    • /
    • 2004
  • Labor required for managing and harvesting the oyster mushroom bed was evaluated. Although vinyl mulching cultivation method needs more hours for spawning, it saves more than 50% of labor for harvesting and managing of the mushroom bed. Harvesting hour of 1st-3rd flush in vinyl mulching method was 48~50% for Plerutus ostreatus and 36~41% for P. sajor-caju. Labor for bed management after harvesting in vinyl mulching method was also 38~50% for P. ostreatus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 and 20~35% for P. sajor-caju. Vinyl mulching is believed to be a very efficient method for saving labor in oyster mushroom cultiv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