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otus florida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5초

느타리버섯속균과 교잡종에 대한 단백질 밴드에 의한 분류 (Comparisons of Soluble Protein Bands for Pleurotus Species and Interspecific Crosses of Pleurotus Species)

  • 김명조;심재욱;이윤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1호통권80호
    • /
    • pp.20-25
    • /
    • 1997
  • 느타리버섯 균주(Pleurotus isolates)와 이들 균주들을 교잡하여 얻어진 균사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전기영동하여 균주간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밝힌 결과, P. ostreatus 201은 자가교잡 균주 혹은 타가교잡 균주들과 낮은 유연관계를 나타냈다. P. ostreatus 2042도 역시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P. ostreatus $2042{\times}P$. ostreatus 202, P. ostreatus $2042{\times}P$. sajor-caju, 그리고 ostreatus $2042{\times}P$ ostreatus 900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P. ostreatus 202와 P. ostreatus 900은 자가교잡 균주 혹은 타가 교잡된 균주들과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자가 교잡된 P. ostreatus와 P. $ostreatus{\times}P$. florida, 그리고 P. florida와 자가교잡된 P. florida는 각각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PDF

한국산 느타리 버섯류 (Pleurotus sp.)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Oyster Mushrooms (Pleurotus sp.) Cultivated in Korea)

  • 정순택;홍재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9-305
    • /
    • 1991
  •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tion method에 의해 4종의 국내에서 인공재배되고 있는 느타리 버섯류 (Pleurotus sp)로부터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리한 다음 GC-MS 및 GC에 의한 표준품과의 머무름 시간 비교에 의해 성분을 확인 하였다. 확인된 54종의 휘발성 화합물중 저온성 느타리 (Pleurotus ostreatus ASI 201)에서는 1-octen-3-ol, 3-octanone, 3-octanol등이, 원형 느타리 (Pleurotus florida--ostreatus-ostreatus)에서는 1-octen-3-ol, n-hexanol, 3-octanone, 3-octanol, phenol등이, 애느타리 (Pleurotus ostreatus)에서는 1-octen-3-ol, n-pentanal, n-hexanol, n-pentanol, 3-octanone, 3-octanol, 1,5-octadien-3-one등이었다. 특히 확인된 성분중에는 탄소수가 8개인 alcohol 및 carbonyl화합물이 많았으며 전체 향기성분에 대한 $C_8$화합물의 비율은 각각 56.60%, 72.46%, 54.84%, 35.85%이었다.

  • PDF

Isolation, Regeneration and PEG-Induced Fusion of Protoplasts of Pleurotus pul-monarius and Pleurotus florida

  • Eyini, M.;Rajkumar, K.;Balaji, P.
    • Mycobiology
    • /
    • 제34권2호
    • /
    • pp.73-78
    • /
    • 2006
  •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Pleurotus pulmonarius and P. florida was attempted through PEG-induced protoplast fusion to select a fusant. The protocol for protoplast release, regeneration and fusion in these two Pleurotus species was standardized using the variables controlling the process. The mixture of mycolytic enzymes, i.e. commercial cellulase, crude chitinase and pectinase, KCl (0.6 M) as osmotic stabilizer, pH 6 of the phosphate buffer and an incubation time of 3 hours resulted in the maximum release of protoplasts from 3-day-old mycelia of P. florida ($5.3{\sim}5.75{\times}10^{7}$ protoplasts/g) and P. pulmonarius ($5.6{\sim}6{\times}10^{7}$ protoplasts/g). The isolated protoplasts of P. florida regenerated mycelium with 3.3% regeneration efficiency while P. pulmonarius showed 4.1% efficiency of regeneration. Polyethyleneglycol (PEG)-induced fusion of protoplasts of these two species resulted in 0.28% fusion frequency. The fusant produced fruiting bodies on paddy straw but required a lower temperature of crop running ($24{\pm}2^{\circ}C$) than its parents which could fruit at $28{\pm}2^{\circ}C$. The stable fusant strain was selected by testing for the selected biochemical markers i.e. Carbendazim tolerance and utilization of the lignin degradation product, vanillin.

균사생장(菌絲生長)이 부진(不進)한 사철느타리 및 느타리버섯으로부터 Virus입자(粒子)의 분리(分離) (Virus-like Particles from Abnormal Growing Oyster Mushrooms, Pleurotus florida and P. ostreatus)

  • 고승주;차동열;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9-153
    • /
    • 1992
  • 균사생장(菌絲生長)이 부진(不進)한 사철느타리버섯 (P. florida), 느타리버섯 (P. ostreatus) 및 이들 두 종(種)의 교배균주(交配菌株)로부터 30nm 및 23nm 의 구형(求刑) virus입자(粒子)를 단일(單一) 혹은 혼합형태(混合形態)로 분리(分離)하였다. 사철 느타리버섯으로부터 분리(分離)한 virus의 최적(最適) spectrum은 259.5nm 였다.

  • PDF

한국산 느타리 버섯 (Pleurotus spp.)의 전기영동 Isozyme Band Pattern 비교 -II. 등전점 전기영동- (Comparison of Electrophoretic Isozyme Band Pattern of Pleurotus spp. in Korea -ll. Isoelectric Focusing-)

  • 박용환;변명옥;등정부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5-100
    • /
    • 1988
  • 한국에 자생하는 느타리버섯 균주중 지역별로 기주가 다른 균주들을 수집하여 Esterase 동위효소와 Leucine amino peptidase 동위효소를 등전점 전기영동으로 균사와 자실체 부위별로 비교하였다. Pleurotus ostreatus의 Esterase 밴드 패턴은 균사와 자실체가 많은 차이가 있었으나 자실체중 Primordia, 갓, 줄기 등의 isozyme 패턴은 유사하였다. P. ostreatus, P. cornucopiae, P. florida의 Esterase 밴드 패턴에 많은 차이가 있어 종간 균주구별이 가능하였다. Leucine Amino Peptidase 밴드는 P. ostreatus, P. cornucopiae, P. florida 간에 뚜렷이 구별지을 수 없었으며, 균사와 자실체 간에는 약간의 밴드 패턴의 차이가 있었다.

  • PDF

자외선(紫外線) 조사(照射)에 의한 느타리버섯과 사철느타리버섯 원형질체(原形質體)의 영양요구성(營養要求性) 균주(菌株) 선발(選拔)에 관한 연구(硏究) (Isolation of Auxotrophic Mutants from Protoplasts of Pleurotus ostreatus and Pleurotus florida)

  • 유영복;죤 페버디;박용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5-78
    • /
    • 1985
  • 진균류의 균주개발과 유전연구에 필수적인 영양요구성 균주 선발을 위하여 느타리비섯과 사철느타리버섯의 월형질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원형 질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그 생존을이$0.83{\sim}15%$일 때 가장 많은 영양 요구성 균주를 선발하였다. 2. 느타리에서 Arg, Gly Ser 그리고 Ala Orn Tyr 3균주와 사철느타리버섯에서 Ribo-1, Ribo-2, Phen, 그리고, Ade Hyp 4군주를 선발하였으며 이들 중에서 Phen 균주는 back mutation 현상이 나타났다.

  • PDF

느타리섯과 사철느타리버섯의 원형질체(原形質體) 재생(再生) 및 환원(還元)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Protoplast Regeneration and Reversion of Pleurotus ostreatus and Pleurotus florida)

  • 유영복;죤 페버디;차동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9-82
    • /
    • 1985
  • 식용으로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느타리버섯과 사철느타리버섯의 유전연구와 균주개 발을 위하여 원형질체의 재생 및 환원에 관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느타리버섯의 원형질체 재생에 알맞는 삼투압 조절제는 0.6 M KCl과 0.6 M Sucrose였으며, 균사의 생장을 촉진하는 amino acid와 vitamin을 혼합한 배지에서 원형질체 환원율이 약 5배로 증가하였다. 2. 삼투압 조절제가 첨가된 배지에서 재생후 2일부터 원형질체가 재생하여 $5{\sim}10$일에 균총을 육안으로 확인하였으며, 환원율이 $0.24{\sim}3.19%$로 사철느타리버섯과 wild type이 느타리버섯과 영양요구성 균주보다 환원율이 다소 높았다.

  • PDF

식용(食用)버섯의 원형질체(原形質體) 분리(分離)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Protoplast Isolation from Edible Fungi)

  • 유영복;존 페버디;유창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0
    • /
    • 1985
  • 고등균류의 유전연구와 균주개발을 위한 원형질체 조작의 기초 연구로서 몇가지 주요 버섯류의 원형질체 분리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 ostreatus와 V. volvacea의 원형질체 분리에 알맞는 효소는 ${\beta}-D-Glucanase+Novozym234+Snail enzyme$이었으며, 삼투압 조절제로는 0.6M $MgSO_{4}$였고, 이들을 Na-Maleate buffer로 pH 5.8에 조절하여 사용했을때 가장 많은 원형질체를 생성하였다. 2. P. ostreatus, P. florida, P. sajor-caju는 MCM에서 각각 4, 5, 3일간 배양한 균사체에서, L. edodes, F. velutipes는 PDA 배지에서 각각 2일과 5일간 배양했을때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A. bisporus와 V. volvacea는 분리량이 극히 적었다. 3. V. volvacea의 균사체에 2-mercaptoethanol의 전처리는 효과가 없어 원형질체 분리는 적었으며, 액체배양 보다는 agar 배지상의 cellophan방법이 원형질체 분리에 있어서 효과가 좋았다. 4. 균사체에 효소처리후 1시간 부터 원형질체가 분리되면서 점차 증가하여 9시간경에 가장 많은 원형질체를 얻었으며, 시간이 갈수록 액포화현상으로 원형질체의 크기가 커졌다.

  • PDF

한국산 느타리버섯(Pleurotus spp.)의 전기영동 Isozyme Band Pattern 비교 -I. Homogeneous Gel- (Comparison of Electrophoretic Isozyme Band Pattern of Pleurotus spp. in Korea -I. Homogeneous Gel-)

  • 박용환;변명옥;등정부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7-94
    • /
    • 1988
  • 한국산 느타리버섯 균주의 균사, Primordia, 갓, 줄기의 전피영동 isozyme 패턴을 비교한 결과 자실체중 Primordia, 갓, 줄기의 패턴은 모두 아주 유사하였으나 균사의 패턴은 자실체의 것과 많은 차이가 있었다. 자생지역이 다른 한국산 Pleurotus ostreatus의 전기영동 isozyme 패턴중 Malate Dehydrogenase, Acid phosphatase는 유사하였으나 Esterase, Peroxidase, Leucine amino peptidase, Superoxide Dismutase의 패턴은 차이가 있었다. Pleurotus osteatus, P. cornucopiac, P. florida의 종간 Esterase 밴드 패턴은 많은 차이가 있어 전기영동에 의한 느타리버섯 종의 가능하였다.

  • PDF

Phylogenetic analysis of pleurotus species based on the nuclear SSU rRNA sequences

  • Jeong, Jae-Hoon;Kim, Eun-Kyoung;Roe, Jung-Hye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4권1호
    • /
    • pp.38-39
    • /
    • 1996
  • The internal regions of nuclear small subunit rRNA from 6 plaeurotus species and 5 Pleurotus ostreatus strains were amplified by PCR and sequenced. The DNA sequences of 8 Pleurotus strains (P. ostreatus NFFA2, NFFA4501, NFFA4001, KFFA4001, KFCC11635, P florida, P. florida, P. sajor-cuju, P. pulmonarius, and P. spodoleucus) were idential, but P. cornucopiae differed from them in two bases out of 605 bases. However,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sequences by DNA-distance matrix and UPGMA methods showed that P. ostreatus NFFA2m1 and NFFA2m2, known as mutants of P. ostreatus NFFA2, belonged to anther group of Basidiomycotina, which is close to the genus Auricularia. The difference of the SSU rDNA sequences of P. cornucopiae from other Pleurotus species tested corresponds to the difference of mitochondrial plasmid type present in Pleurotus species as observed by Kim et al. (1993, Korean J. Microbiol. 31, 141-14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