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isy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6초

Tuberculous Pleurisy: An Update

  • Jeon, Doosoo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6권4호
    • /
    • pp.153-159
    • /
    • 2014
  • Tuberculous pleurisy is the most common form of extrapulmonary tuberculosis in Korea. Tuberculous pleurisy presents a diagnostic and therapeutic problem due to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diagnostic tools. There have been many clinical research works during the past decade. Recent studies have provided new insight into the tuberculous pleurisy, which have a large impact on clinical practice. This review is a general overview of tuberculous pleurisy with a focus on recent findings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결핵성 늑막삼출과 비결핵성 늑막삼출에서의 가용성 Interleukin-2 수용체의 농도 (Soluble Interleukin-2 Receptor(sIL-2R) Levels in Patients Tuberculous Pleurisy VS Nontuberculous Pleurisy)

  • 임현옥;함종렬;심대석;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2호
    • /
    • pp.135-143
    • /
    • 1994
  • 연구목적 : 혈청 sIL-2R 농도는 T세포의 면역활성화가 관여되는 육아종성질환, 장기이식, 자가면역질환에서, 또한 혈액종양 및 림프세망내 피계종양등에서 증가 한다고 알려져있다. 최근 결핵환자에서도 질병의 활성화 정도에 따라 혈청 및 흉강 삼출액에서 sIL-2R 농도의 증가를 보고하고 있다. 임상에서 결핵성 흉강삼출과 악성 흉강삼출의 감별이 어려운 경우를 경험하게 되는데 흉강삼출액에서 sIL-2R 농도 측정이 이들 질환의 감별에 도움이 될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늑막조직검사에서 결핵성으로 확인된 12명의 결핵성 흉강삼출액환자와 32명의 비결핵성 흉강 삼출액환자를 대상으로 혈청 및 흉강삼출액에서 sIL-2R 농도를 측정하였다. 방법 : 대상환자의 늑막삼출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과 동시에 채취한 혈청을 $-70^{\circ}C$에 보관한 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가용성 IL-2수용체 농도 측정은 Cellfree(r) IL-2R test kit(T-cell sciences Inc., Cambridge, MA, USA)를 이용하였다. 측정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IL-2R 분자의 두가지 항원 결정기(epitope)에 대한 단일 항체를 이용한 샌드위치 ELISA 검사로 측정하였다. 결과 : 1) 늑막삼출액의 sIL-2R 농도는 비결핵성 늑막삼출환자군보다 결핵성 늑막삼출환자군에서 높았다(p<0.005). 2) 늑막삼출액에서 감별진단 기준을 sIL-2R 농도 5,000u/ml로 할 경우 결핵성 늑막삼출환자군을 악성 늑막삼출환자군과 비교시 민감도는 84.6%, 특이도는 99.9%였다. 3) 혈청 sIL-2R 농도는 결핵성 늑막삼출환자군에서 세균성 늑막 삼출환자군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p<0.05), 악성 늑막 삼출환자군 및 늑막여출액환자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4) 결핵성 늑막삼출환자군에서 sIL-2R 농도는 혈청에서보다 늑막삼출액에서 더 높았다(p<0.005). 결론 : 결핵성 늑막삼출에서 늑막삼출액내의 sIL-2R 농도는 감별기준 5,000 u/ml로 사용할 경우 결핵성 늑막삼출과 비결핵성 늑막삼출의 감별진단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PDF

결핵성 늑막염의 진단시 늑막액의 Tb PCR 및 ADA활성도에 관한 연구 (Significance of Pleural Fluid PCR and ADA Activity in the Diagnosis of Tuberculous Pleurisy)

  • 황재준;최영호;김욱진;신재승;손영상;김학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8호
    • /
    • pp.669-675
    • /
    • 2000
  • Background: Tuberculous pleurisy is the leading cause of pleural effusion in Korea.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tuberculous pleurisy with other cause is clinically very important. Traditional diagnostic methods such as routine analysis of pleural fluid, staining for acid-fast bacilli or pleural biopsy have major inherent limita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pleural fluid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and adenosine deaminase (ADA) activity in early diagnosis of tuberculous pleurisy. Material and Method: Between March 1996 and July 1997, 198 patients with pleural effusion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study group included 112 cases with tuberculous effusion and 86 cases with non-tuberculous effusions, whose diagnoses were confirmed by pleural biopsy, microbiological methods, or cytology. We compared the results of PCR and pleural fluid levels of ADA between tuberculous and non-tuberculous effusions. Result: Mean age was 47.54$\pm$19.52 years(range 2 to 85 years). The positive rate of PC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uberculous group than non-tuberculous group(p<0.05). The sensitiv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PPV),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NPV) for PCR were 31.7, 90.9, 83.0, and 48.8%, respectively. Mean ADA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uberculous group than non-tuberculous group(83.2 U/L vs 49.8 U/L)(p<0.05). With diagnostic thresholds of 40 U/L,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PV, and NPV of ADA for tuberculosis were 75.9, 70.9, 77.3, and 69.3% respectively. At a level of 70 U/L,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PV, and NPV of ADA for tuberculosis were 70.1, 75.9, 82.9, and 60.3% respectively. Conclusion: PCR is very highly specific, but less sensitive methods in diagnosis of tuberculous pleurisy. But ADA level of pleural fluid has acceptabl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in diagnosis of tuberculous pleurisy. ADA activity is more useful test in the evaluation of pleural effusions.

  • PDF

결핵성 흉막염에서 초감염 결핵과 재발성 결핵의 임상 양상 (Tuberculous Pleurisy :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imary and Reactivation Disease)

  • 홍구현;임상수;신재민;박재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6호
    • /
    • pp.526-532
    • /
    • 2006
  • 연구배경: 결핵성 흉막염은 대부분 초감염 결핵의 형태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결핵환자가 감소함에 따라 초감염 결핵보다 재발성 결핵으로 결핵성 흉막염이 발생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6년 2월까지 단국대학교병원에서 결핵성 흉막염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의 과거력과 방사선 소견에 따라 초감염 결핵과 재발성 결핵으로 분류하고 두 군 사이에 임상 소견, 방사선 소견, 그리고 6 개월 동안 항결핵 약물치료 후 잔여 흉막비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 과: 1. 결핵성 흉막염 환자 141명 중에서 135명에서 초감염 결핵과 재발성 결핵의 구분이 가능하였는데 초감염 결핵의 소견을 보인 환자는 38명(28%), 재발성 결핵의 소견을 보인 환자는 97명(72%)으로 재발성 결핵의 소견을 보이는 환자가 더 많았다. 2. 초감염과 재발성 결핵 환자 사이에서 성별, 나이, 증상의 발현 시작부터 흉수검사까지의 기간, 진단 시의 흉수의 양, 흉수 총백혈구수, 림프구수, LDH, ADA 수치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6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24명의 환자들의 잔여 흉막비후의 정도에 있어서 초감염 결핵과 재발성 결핵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결 론: 결핵성 흉막염 환자 중에서 초감염 결핵보다 재발성 결핵의 소견을 보이는 환자가 더 많았으며 두 군 사이에 임상 소견, 방사선 소견, 흉수 소견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6 개월 치료 후의 잔여 흉막비후의 정도에 있어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ycobacterium tuberculosis Derived Epitope Peptide Specific CD8+T Cell Responses in Tuberculous Pleurisy

  • ;;;;;조상래;조성애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25-332
    • /
    • 2007
  •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CMI) is a major immune protective mechanism against tuberculosis (TB) infection. Among several components involved in CMI, recent studies suggest that CD8+ T cells are important in controlling TB infection. In our previous report, we defined four 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 derived epiotpe peptides specific for HLA-A*0201-restricted CD8+ T cells. These four peptides are $PstAl_{75-83}$, $ThyA_{30-38}$, $RpoB_{127-135}$ and $85B_{15-23}$. In this study, these epitope peptides specific CD8+ T cell responses in tuberculous pleurisy were investigated using ex vivo $IFN-\gamma$ elispot assay and intracellular $IFN-\gamma$ staining method. As a result, we observed these epitope peptide specific CD8+ T cell responses are induced in all three patients with tuberculous pleurisy suggesting that CD8+ T cells are involved in protective immune mechanism against MTB infection in tuberculous pleurisy. However, the CMI to mitogens and MTB antigens from pleural fluids of patients with tuberculous pleurisy does not seem to correlate with that from peripheral blood, although the sample size is too small to make any conclusion. In sum, the MHC I restricted CD8+ T cell responses seem to be induced efficiently in the pleural fluids, at the site of TB infection, in which the CMI is actively induced. In addition, these experiments suggest that MHC I restricted CD8+ T cell mediated immune responses are also involved in protective mechanism against MTB infection in extra-pulmonary TB.

  • PDF

고혈압 환자와 당뇨환자에서 흉막염 발생의 비교 (Incidence of Pleurisy in Diabetics and Hypertension Patients)

  • 오해림;김민준;유희상;김인식;신성화;이은정;강상순;현성희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0-35
    • /
    • 2016
  • 흉막염은 폐를 둘러싸는 흉막에서의 염증이다. 흉막염은 바이러스 감염과 결핵균 감염을 포함하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병한다. 본 연구에서는 흉수천자를 실시한 입원환자 136명을 대상으로 흉막염과 고혈압, 당뇨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자 136명 중에서 고혈압이나 당뇨가 없는 정상인은 47.8%, 고혈압 32.3%, 당뇨 7.4%, 고혈압 및 당뇨 12.5%의 분포를 보였다. 흉막염 유무에 따른 정상인 그룹과 고혈압 그룹 간의 오즈비는 2.524이며 이의 95% 신뢰구간은(1.050, 6.069)로 1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고혈압이 흉막염의 위험률을 높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정상인 그룹과 당뇨 그룹 간의 오즈비는 4.417이며 95% 신뢰구간은(1.101, 17.714)로 1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당뇨가 흉막염의 위험률을 높인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고혈압과 당뇨질환은 흉막염의 발병과 관련성이 있다.

결핵성 흉수에서 IL-10, IL-12, IFN-$\gamma$, ADA 측정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IL-10, IL-12, IFN-$\gamma$ and ADA in Tuberculous Pleural Fluid)

  • 전두수;윤상명;박삼석;이효진;김윤성;이민기;박순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301-310
    • /
    • 1998
  • 연구배경: 결핵성 흉막염은 면학적으로 흉강내에 국소적으로 활성화된 CD4+ T림프구와 대식세포가 관여하는 세포매개면역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의 상호작용은 다양한 사이토카인에 의해 좌우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helper T cell type 1 (Th1) 사이토카인인 IL-12 및 IFN-$\gamma$와 Th2 사이토카인인 IL-4 및 IL-10간의 균형이 세포매개반응의 정도를 결정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세포매개면역반응의 지표로서 Th1 사이토카인인 IL-12, IFN-$\gamma$와 이들과 길항적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있는 Th2 사이토카인 중 IL-10이 결핵성 흉수내에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검사하여 대조군인 악성 흉수와 비교함으로써 결핵성 흉막염의 변역학적 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며 아울러 사이토카인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각 20명의 결핵성 흉막염과 악성 흉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흉수와 혈장에서 IL-10, IL-12, IFN-$\gamma$를 측정하고 흉수에서의 ADA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사이토카인은 대상환자의 혈액과 흉수를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ADA 활성도는 비색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결핵성 흉막염 환자에서 흉수의 IL-10, IL-12, IFN-$\gamma$의 농도는 $121.3{\pm}83.7$ pg/mL, $571.4{\pm}472.7$ pg/mL, $420.4{\pm}285.9$ pg/mL로 혈장의 $21.2{\pm}60.9$ pg/mL, $194.5{\pm}67.6$ pg/mL, $30.1{\pm}18.3$ pg/mL 보다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p<0.01). 악성 흉막염 환자에서 흉수의 IL-10, IL-12, IFN-$\gamma$의 농도는 $88.4{\pm}40.4$ pg/mL, $306.5{\pm}271.1$ pg/mL, $30.5{\pm}54.8$ pg/mL로 혈장의 $43.4 {\pm}67.2$ pg/mL, $206.8{\pm}160.6$ pg/mL, $14.6{\pm}3.3$ pg/mL와 비교하였을때 IL-10 만이 유의하게 높았고 (p<0.001) IL12, IFN-$\gamma$에선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핵성 흉막염과 악성 흉막염 환자의 흉수에서의 농도를 비교하였을 때 IL-12, IFN-$\gamma$, ADA는 결핵성 흉막염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p=0.046, <0.001, <0.001) IL-10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핵성 흉수염을 악성 흉수염과 감별하는데 있어 IL-12, IFN-$\gamma$, ADA의 기준을 각각 300 pg/mL, 100 pg/mL, 45 U/L으로 하였을때 민감도/특이도는 IL-12에서 60%/70%, IFN-$\gamma$에서 90%/85%, ADA 에서 85%/90%였다. 결 론: 결핵성 흉수에서 흉강내에 Th1 사이토카인인 IL-12, IFN-$\gamma$와 함께 IL-10이 증가되어 있었고 악성흉수와 비교했을때 IL-12, IFN-$\gamma$는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 IL-10은 의의가 없었다. 따라서 결핵성 흉막염의 면역기전에 Th1 경로의 세포매개변역반응이 주로 관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국소적인 IL-10 증가의 임상적 의의는 추후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IFN-$\gamma$와 ADA는 결핵성 흉수와 악성 흉수와의 감별에 유용한 진단법으로 생각된다.

  • PDF

결핵성 흉막염에서 ADA 활성도와 림프구/중성구 비의 곱의 진단적 유용성 (Diagnostic Value of ADA Multiplied by Lymphocyte to Neutrophil Ratio in Tuberculous Pleurisy)

  • 전은주;곽희원;송주한;이영우;정재우;최재철;신종욱;김재열;박인원;최병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1호
    • /
    • pp.17-23
    • /
    • 2007
  • 배경 및 목적: 흉수의 원인은 매우 다양한 만큼 진단에 많은 검사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Adenosine Deaminase(ADA)의 활성도는 결핵성 흉수 저류의 진단에 유용한 검사법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ADA의 수치가 높을 수록 결핵을 진단하는 데 더욱 유용하지만, 양성기준을 정하는 데 아직 확정적이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DA와 함께 림프구/중성구 비를 동시에 진단에 적용하였을 때 진단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5년 1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중앙대학교병원 및 중앙대학교 용산병원에 흉수 저류로 입원하여 진단적 흉수 천자 및 치료를 받은 19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 특성과 영상의학적 자료 및 흉수액에 대한 자료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1) 190명의 원인으로 결핵이 59명(31.1%)이었으며, 부폐렴성 흉막염 45명(23.7%), 악성 흉수 저류 42명(22.1%), 여출액 36명(18.9%), 농흉 8명(4.2%)이었다. ADA 활성도가 1-39 IU/L인 경우가 121 명(63.7%)이었고, 40-75 IU/L 범위에는 29명(15.3%), 75 IU/L를 초과한 경우가 40명(21.0%)이었다. 2) 결핵은 ADA 활성도가 1-39 IU/L인 경우가 5명(8%)이었고, 40-75 IU/L 범위에는 18명(30%), 75 IU/L를 초과한 경우가 36명(60.0%)이었다. ADA가 40-75IU/L사이일 때, 결핵은 18명(62%), 부폐렴성 흉막염 및 농흉은 9명(31%)이었고 악성 흉수염은 1명이었다. ADA 활성도가 40-75 IU/L인 범위 내에서는 결핵성 흉막염(ADA=61.3${\pm}$9.2 IU/L)과 나머지 질환(ADA=53.3${\pm}$10.5 IU/L)에서 ADA의 평균의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림프구/호중구의 비는 결핵성 흉막염은 39.2${\pm}$ 44.6, 비결핵성은 0.2${\pm}$0.2 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ADA X 림프구/호중구)의 값은 결핵성 흉막염은 2,445.7${\pm}$2,818.5 IU/L, 비결핵성은 10.6${\pm}$11.3 IU/L으로 매우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ROC 분석을 하였을 때 ADA보다 민감도와 특이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 론: ADA만으로 결핵성 흉수 저류를 진단하기 어려울 때, 림프구/호중구비와 ADA를 곱한 값은 결핵성 흉막염의 더 정확한 감별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결핵흉막염 치료중에 새로이 발생한 폐병변 1예 : 역설적 반응 (A case of newly developed pulmonary lesion during the antitubercular agents in tuberculous pleurisy : A paradoxical response)

  • 박지민;신윤호;전규락;신현준;최영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6호
    • /
    • pp.717-720
    • /
    • 2009
  • 결핵 환자들에서 역설적반응이란 항결핵제 치료 중 초기에 병변의 호전 이후 방사선학적, 임상적으로 이전의 병변이 악화되거나 새로운 병변이 발생하는 경우로 정의될 수 있다. 전세계적으로 지금까지 다양한 종류의 역설적 반응이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국내 소아에서의 보고는 거의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17세 남아에서 결핵성 흉막삼출로 진단되어 결핵약물에 좋은 반응을 보여 적절한 치료 후 흉수가 호전된 후에, 첫 치료 3주 후에 새로이 발생한 폐병변이 기존의 항결핵제를 계속하면서 결국에는 호전된 케이스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Clinical Utility of Two Interferon-gamma Release Assays on Pleural Fluid for the Diagnosis of Tuberculous Pleurisy

  • Kang, Ji Young;Rhee, Chin Kook;Kang, Na Hyun;Kim, Ju Sang;Yoon, Hyoung-Kyu;Song, Jeong Sup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3권3호
    • /
    • pp.143-150
    • /
    • 2012
  • Background: The release of interferon-gamma (IFN-${\gamma}$) by T lymphocytes increases after rechallenge with Mycobacterium tuberculosis antigen, especially, at a localized site of tuberculosis (TB) infection. We aimed to compare the clincial efficacy of two commercial IFN-${\gamma}$ release assays from pleural fluid for the diagnosis in tuberculous pleurisy. Methods: We performed T-SPOT.TB and QuantiFERON-TB Gold tests simultaneously on pleural fluid and peripheral blood samples from patients with pleural effusion, in South Korea, an area with intermediate TB burden. Results: Thirty-six patients were enrolled prospectively, and tuberculous pleurisy was found in 21 patients. Both the numbers of IFN-${\gamma}$ secreting T cells and the concentration of IFN-${\gamma}$ were greater in the pleural tuberculous group, comparing with the non-tuberculous group. Moreover, in the tuberculous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FN-${\gamma}$ producing spot-forming cells using the T-SPOT.TB method between pleural fluid and peripheral blood.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was the greatest for pleural fluid T-SPOT.TB test, followed by peripheral blood T-SPOT.TB test, peripheral blood QuantiFERON-TB Gold test, and pleural fluid QuantiFERON-TB Gold test (area under the ROC curve of 0.956, 0.890, 0.743, and 0.721, respectively). The T-SPOT.TB assay produced less indeterminate results than did QuantiFERON-TB Gold assay in both pleural fluid and peripheral blood.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leural fluid T-SPOT.TB test could be the most useful test among the IFN-${\gamma}$ release assays for diagnosing tuberculous pleurisy in an area with an intermediate prevalence of TB inf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