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y education

검색결과 1,800건 처리시간 0.025초

아동 놀이의 국가적 정책화 : 영국의 사례 (Children's Play as a National Policy and Strategy : The Case of the UK)

  • 이종희
    • 아동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61-181
    • /
    • 2010
  • This study reviews policies related to children's play which are being implemented by the UK at a national level from 2008 to 2020. The Department for Children, Schools, and Families, in cooperations with other central government departments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are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strategy. The purpose of the strategy is to improve play opportunities for all children and young people in England by raising the value and status of play in every community. This study examines the strategy by focusing on firstly, the purpose, vision, and steps to be undertaken; secondly, the methods used and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s; and thirdly, the legal, social, and academic basis upon which the strategy is founded. By way of conclusion, the researcher argues that we need to consider and learn from the case of the UK to come up with desirable polices for children's education and well-being.

4P기반의 K-12 대상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교육체계 개발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System for K-12 Based on 4P)

  • 류혜인;조정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141-149
    • /
    • 2021
  • 세계적으로 인공지능 기술의 급부상으로 인해 초·중등에서 실시하고 있는 SW(Software 이하 SW) 교육은 AI(Artificial Intelligence 이하 AI) 교육을 포함하여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P(Play, Problem Solving, Product Making, Project)기반 만5세 대상 유치원에서부터 고등학교까지 적용할 수 있는 AI 교육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AI 교육체계는 학령별, 단계별로 적용할 수 있도록 4P기반의 Play(놀이), Problem Solving(문제해결), Product Making(제작), 그리고 Project(프로젝트) 4단계 교육전략을 설계하고, 수준을 AI 소양과 AI 개발이라는 2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개발된 AI 교육체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SW 교육 또는 AI 교육 경험이 있는 15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방법을 적용하였다. 검증 결과 도출된 AI 교육체계는 향후 학교급별 AI 교육을 위한 내용 체계를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아버지의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thers' Play Participation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 장여옥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7-182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fathers' play participation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The subjects consisted of 180 fathers with children at ages between 4-7 years old from 2 preschools and 3 kindergartens located in Y city in Gyeonggi province. The analyses used for this study included the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athers' play participation was not different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fathers' age, educational level, and job. Second, fathers' participation in functional play, role play, and constructive play was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activator, reassurance, and cooperation among subscale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lso, fathers' participation in games was negatively related to reassurance among children and positively related to hypersensitivity among children. Third, fathers' participation in role play and functional play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self-monitoring and self-control. These findings suggest emphasizing fathers' play participation to improv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it can be helpful to underline fathers' education and to develop programs for fathers' play.

은유(metaphor)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들의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인식연구 (A Study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lay-oriented Education through Metaphorical Analysis)

  • 김혜윤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357-362
    • /
    • 2023
  • 본 연구는 은유분석을 통해 놀이중심교육에 대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지 조사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이 생각하고 있는 놀이중심교육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C시에 소재한 4년제 및 3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들로 최종 183명이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 놀이를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그 이유를 서술하도록 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체계적 은유분석 단계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은유적 표현 범주에서 교수학습방법이 가장 많았으며, 환경, 즐거움·행복, 자율, 성장발달, 상호작용관계, 유아주도, 삶의 본, 흥미, 창의성, 잠재력, 가변성, 일상, 시작과 끝의 모호성, 자연스러움, 기타 순으로 분류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중심교육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예비유아교사교육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것이다.

과학관 놀이-학습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Play-Learning Model in Science Museum)

  • 권이영;정은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1-20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과학관 교육의 목적인 교육하기, 참여하기, 즐기기를 추구하고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학습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과학관 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의 박물관 교육 모형을 '요인 중심 박물관 교육 모형'과 '과정 중심 박물관 교육 모형'으로 구분하여 고찰하고 과학관 교육의 특성화 방법을 고찰하였다.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과학관 학습 모형에서 전시물, 스캐폴딩과 소집단 내 상호작용, 놀이에 중점을 두었고, 개인적, 사회적, 물리적 요인을 포함하였으며, 각 요인들이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관 학습 모형은 놀이에 중점을 두고 있는 점을 반영하여 '과학관 놀이-학습 모형'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모형은 '준비', '전시물 탐색', '체험', '정리'의 교수 학습 단계를 중심축으로 양쪽에 학생과 교사의 활동이 나타난 형태이다. '준비' 단계는 개인적, 물리적 요인을 고려하고, 학생은 관련 지식을 형성하며 놀이를 준비한다. '전시물 탐색' 단계는 개인적, 사회적 요인을 고려하고, 전시물, 스캐폴딩과 소집단 내 상호작용, 놀이가 집약된 이 모형의 핵심 단계이다. 이 단계는 학생들이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시물을 탐색하는 과정으로 이러한 활동을 묶는 수단이 놀이이다. 학생들은 소집단으로 활동하며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해결되지 않으면 교사의 도움을 받게 된다. '체험'과 '정리' 단계는 개인적 요인을 고려한 것인데, '체험' 단계에서는 '전시물 탐색' 단계의 활동과 연계된 조작적 활동을 하고, '정리' 단계에서는 놀이를 통해 학습 내용을 정리한다. 과학관 교육은 다양한 형태로 실행되므로 과학관 학습 모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놀이 활동 교육 자료를 활용한 중학교 정보 표현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Study of Effect of Information Representation Learning in Middle-School with Play Activities Materials on the Learning Achievement)

  • 남동수;박진화;서순식;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57-165
    • /
    • 2011
  • 정보 과목에서 컴퓨터 과학의 원리와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내용과 문제해결 방법과 절차에 대한 내용, 정보 윤리에 대한 내용이 강화되었으나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컴퓨터 과학의 원리와 이해,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에 대한 내용들은 7차 교육과정의 활용, 소양 위주 내용에 비해 쉽지 않은 내용이며 학습자에게 어려운 과목으로 인식됨에 따라, 학습자가 쉽게 접근가능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 자료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정보 표현에 관한 내용을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놀이활동 교육 자료로 개발하고 중학교 2학년들을 대상으로 4차시 수업을 진행한 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놀이 활동 교육 자료를 활용한 수업이 강의식 수업에 비해 학업 성취도 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놀이 활동 교육 자료를 활용한 수업이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의학 교육에서 인공지능의 응용: 임상의학 교육을 위한 ChatGPT의 활용을 중심으로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medical education: focus on the application of ChatGPT for clinical medical education)

  • 홍현미;강영준;김영전;김봄솔
    •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 /
    • 제20권2호
    • /
    • pp.53-59
    • /
    • 2023
  •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services, specifically ChatGPT-3.5, in medical education. The application of this technology is acknowledged as a valuable tool for simulating authentic clinical scenarios and enhancing learners' diagnostic and communication skills. To construct a case, students received ChatGPT training using a clinical ethics casebook titled "Clinical Ethics Cases and Commentaries for Medical Students and Physicians." Subsequently, a role-play script was generated based on this training. The initial draft of the script was reviewed by two medical professors and was further optimized using ChatGPT-3.5. Consequently, a comprehensive role-play script, accurately reflecting real-world clinical situations, was successfully developed.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for effectively integrating AI technology into medical education and provides a solution to overcome limitations in developing role-play scripts within conventional educational settings. However, the study acknowledges that AI cannot always generate flawless role-play scripts and recognizes the necessity of addressing these limitations and ethical concerns. The research explores both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employing AI in the early stages of medical education, suggesting that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overcoming these limitations while further investigating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AI in this field.

장자철학의 체육적 함의 (Implication of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Zhaung Zi's Philosophy)

  • 이학준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1권4호
    • /
    • pp.23-31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장자철학의 체육적 함의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장자'의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체육적 함의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자철학에 나타난 이상적 인간상은 유(遊)의 경지에 도달한 사람으로 지인, 신인, 진인이다. 장자철학을 통해서 체육이 추구하는 이상적 인간상은 지미지락의 체육과 승리, 기록, 결과를 초월하고 자유자재로 체육을 하는 사람이다. 장자의 체육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자유자재로 자연스럽게 잘 노는 것을 지칭하는 유(遊)에서 찾을 수 있다. 유(遊)라는 것은 지극한 아름다움과 지극한 즐거움으로 표현되는 지미지락의 경지이다. 이러한 경지는 [잊고-즐김]이라고 할 수 있다. 승리, 기록, 결과를 [잊고-즐김]이 장자에서 찾을 수 있는 체육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체육의 방법은 전일, 허심, 심재, 좌망 등의 인위적이지 않으며 자연과 조화로운 체육공부이다. 장자철학에서 발견할 수 있는 스승(교사)과 제자(학생)의 관계는 상호존중과 배려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체육교사는 학생(선수)에게 강요하지 않고 묻고, 스스로 자발적 학습(연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미국의 최신 건강중심 체육교육수업의 소개 - Sports, Play, Active Recreation for Kids(SPARK) 체육프로그램 개발배경 및 사례보고 - (Introduction to a Health-relat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Model in the United States : Sports, Play, and Active Recreation for Kids (SPARK))

  • 유수진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01-10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Sports, Play, and Active Recreation for Kids (SPARK)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PARK is a model for health-related, research-based and evidence-based physical educat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The outcome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can relate to public health, but there exists few evidence-based physical education programs reporting health-related variables. School physical education can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o be physically active and to learn more about healthy lifestyles. However, physical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cut and eliminated due to lack of funding in the U.S. as in South Korea. Although facing these problems, SPARK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in over 50% of schools, after school programs and coordinated school health programs in the U.S. This article reviewed: (a)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SPARK program, (b) examples of effective interventions, and (c) methods of dissemination to schools nationally in the U.S. The methods showed in SPARK may use as a model for researching, developing and implementing new physical education(PE) program and after school programs in Korea.

  • PDF

부모교육으로서의 부모놀이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iveness of Filial Play Therapy as Parent Education)

  • 최영희
    • 아동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1-17
    • /
    • 2006
  • This study on filial play therapy training as parent education included 12 experimental group mothers, 11 control group mothers, and their 5-year-old children. Over 5 weeks, experimental group mothers received 2 hours filial therapy training 10 times, twice a week, and 30 minutes home special play 4 times, once a week. Each mother was videotaped playing with her child and completed three self-report instruments : Parental Acceptance Scale(Porter, 1954), Parenting Stress Index(Abidin, 1990), and Child Behavior Checklist(Oh et al., 1997)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Pre- and post-test data was analyzed by paired-t test. Filial play therapy training enhanced empathy in adult-child interaction during free play. Significant increases appeared in parental acceptance level of child's feeling and autonom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