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stic cord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6초

COFS 증후군 1례 (Cerebro-oculo-facio-skeletal syndrome : A case report)

  • 이소희;홍성진;이정화;오수연;김순흠;고덕환;김교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4호
    • /
    • pp.435-438
    • /
    • 2008
  • Cerebro-Oculo-Facio-Skeletal (COFS) syndrome은 뇌, 안면, 안구 및 사지의 기형을 특징으로 하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 질환이다. COFS 증후군은 DNA-repair gene의 돌연변이로 인한 뇌와 척수의 퇴행성 질환으로 여겨지며, 대뇌, 안구, 안면 및 사지의 복합 기형을 보인다. 국내에서는 신생아기에 진단되어 생후 1개월에 사망한 1례만이 보고 되어 있다. 저자들은 뇌, 안면, 안구, 그리고 사지의 복합 기형을 보여 COFS 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아를 경험하였으며,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냉동보존된 생쥐배아를 이용한 정도관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Quality Control by Frozen-Thaw 2-Cell Mouse Embryos)

  • 한선남;김향미;정혜원;오승은;손영수;유한기;안정자;우복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0권2호
    • /
    • pp.165-176
    • /
    • 1993
  • Thes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al freezing protocol for 2 cell mouse embryos and to find the probability of quality control with 2-cell embryos frozen. The embryos showed the best survival by the protocol composed of a freezing solution with the cryoprotectants(1.5M propanediol + 0.1M sucrose), and a 2-steop thawing method(room temperature, 20 sec-37$^{\circ}C$, 20 sec). The developmental ability of frozen-thaw 2-cell embryos did not differ from that of fresh 2-cell embryos in m-KRB medium with 0.4% bovine serum albumin. But development of frozen-thaw embryos was depended on the supplements of the medium. In the albumin-free medium, the developmental rate(rate of blastocysts)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that in the medium with 0.4% BSA. Also, when frozen-thaw embryos were cultured in the meduim with human fetal cord serum(HCS), the developmental rate of frozen-thaw embryos was sligtly reduced, compared with that of fresh 2-cell embryos. Finally, frozen-thaw 2-cell mouse embryos were more sensitive to the toxic agent of disposable-plastic syringe. Therefore, toxicity of medium could be effectively detected by frozen-thaw 2-cell mouse embryos.

  • PDF

흰쥐의 술 후 통증 모델에서 T형 칼슘 통로 차단제인 Ethosuximide와 Mibefradil의 항통각과민 효과 (Antihyperalgesic Effects of Ethosuximide and Mibefradil, T-type Voltage Activated Calcium Channel Blockers, in a Rat Model of Postoperative Pain)

  • 신혜란;차영덕;한정욱;윤정원;김부성;송장호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0권2호
    • /
    • pp.92-99
    • /
    • 2007
  • Background: A correlation between a T-type voltage activated calcium channel (VACC) and pain mechanism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ethosuximide and mibefradil, representative selective T-type VACC blockers on postoperative pain using an incisional pain model of rats. Methods: After performing a plantar incision, rats were stabilized on plastic mesh for 2 hours. Then, the rats were injected with ethosuximide or mibefradil, intraperitoneally and intrathecally. The level of withdrawal threshold to the von Frey filament near the incision site was determined and the dose response curves were obtained. Results: After an intraperitoneal ethosuximide or mibefradil injection, the dose-response curve showed a dose-dependent increase of the threshold in a withdrawal reaction. After an intrathecal injection of ethosuximide, the threshold of a withdrawal reaction to mechanical stimulation increased and the increase was dose-dependent. After an intrathecal injection of mibefradil, no change occurred in either the threshold of a withdrawal reaction to mechanical stimulation or a dose-response curve. Conclusions: The T-type VACC blockers in a rat model of postoperative pain showed the antihyperalgesic effect. This effect might be due to blockade of T-type VACC, which was distributed in the peripheral nociceptors or at the supraspinal level. Further studies of the effect of T-type VACC on a pain transmission mechanism at the spinal cord level would be needed.

전립선암의 세기조절 방사선치료 시 불균질부에 의한 선량변화에 관한 고찰 (The Investigation Regarding the Dose Change due to the Heterogeneity of Prostate Cancer Treatment with IMRT)

  • 윤일규;박장필;이제희;박흥득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7-112
    • /
    • 2007
  • 목 적: 본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전립선암의 세기조절 방사선치료시 직장 내에 존재하는 불균질부에 의한 선량변화를 전산화 치료계획 선량과 자체 제작한 전립선암 환자형 골반 팬톰을 이용하여 측정한 선량을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전립선암 환자형 골반 팬톰(타원형의 물 팬톰: $30\times20\times20cm^3$, 방광, 직장, 정낭을 묘사하는 팬톰)을 제작하였으며, 전산화단층촬영으로 3차원 영상을 획득하였다. 전산화치료계획장치(ECLIPSE, Varian, USA), 6 MV X선(Clinac 6EX, Varian, USA)을 이용하여 세기조절 방사선치료계획을 수립한 후, 전립선암 환자형 골반 팬톰을 이용하여 직장벽, 방광벽, 정낭 부위에 TLD를 삽입하고, 전산화치료계획 선량과 비교하였다. 결 과: 전산화치료계획에 의한 선량은 직장벽 100%, 방광벽 52%, 우측 정낭 86%, 좌측 정낭 87%, 표면 18%였으나, TLD로 측정 한 선량은 직장벽 89%, 방광벽 54%, 우측 정낭 85%, 좌측 정낭 84%, 표면 17%로 측정되었다. 직장벽은 11%, 방광벽은 2%, 우측 정낭은 1%, 좌측 정낭 3%, 표면 1%의 선량차이를 확인하였다. 결 론: 본원에서 개발한 전립선암 환자형 골반 팬톰으로 전산화치료계획에서 구현하는 불균질부 선량계산의 오차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선량 측정 장치(TLD, film)를 이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선량 검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보상여과판을 이용한 비인강암의 전방위 강도변조 방사선치료계획 (Dose Planning of Forward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for Nasopharyngeal Cancer using Compensating Filters)

  • 추성실;이상욱;서창옥;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53-65
    • /
    • 2001
  • 목적 : 비인강암 환자의 국소제어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보상 여과판을 이용한 전방위 강도변조 방사선치료방법(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 IMRT)을 계획하고 기존 3차원 입체조형치료방법과 비교하여 최적의 방사선치료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3-차원 입체조형치료계획으로 치료받았던 비강암환자(T4N0M0) 1예를 선택하여 치료면의 굴곡과 뼈, 공동 등 불균질 조직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표적체적의 선량분포를 균일하게 만들고 주변 정상장기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일차 입사선량의 강도 조절을 보상여과판으로 시행 하였다. 환자는 열변성 plastic mask로 고정시킨 후 치료조준용 CT Scan (PQ5000)을 이용하여 3 mm 간격으로 scan 하고 가상조준장치(virtual simulator)와 3차원 방사선치료계획 컴퓨터$(ADAC-Pinnacle^3)$를 이용하여 보상여과판을 제작하였다. 각 조사면을 세분한 소조사선(beamlet)의 강도 가중치(weighting)를 계산하고 가중치에 따른 선량 감약을 보상여과판의 두께로 환산하여 판별이 쉽도록 도표화하였다. 방사선 치료성과의 기준은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선량체적표(dose volume histogram : DVH)와 종양억제확율(tumor control probability : TCP)및 정상조직 손상확율(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 NTCP)의 수학적 관계식을 이용하여 치료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 전방위 IMRT에서 계획용표적체적(planning target volume: PTV)내의 최소선량과 최대선량의 차이가 입체조형치료계획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며 평균선량은 강도조절치료계획에서 약 $10\%$, 더 높았고 전체 방사선량의 $95\%$가 포함되는 체적(V95)은 비교적 양쪽 설계방법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주위 건강장기들의 DVH에서 방사선에 민감한 장기인 시신경, 측두엽, 이하선, 뇌간, 척수, 측두하악골관절 등은 강도조절치료계획에서 많이 보호되었다. PTV의 종양제어확율은 입체조형치료계획과 강도변조치료계획에서 모두 비교적 균일하였으며 계획선량이 50 Gy에서 80 Gy로 증가함에 따라 TCP가 0.45에서 0.56으로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척수, 측두하악골 관절, 뇌간, 측두엽, 이하선, 시신경교차, 시신경 등 정상장기의 손상확율은 입체조형치료계획보다 강도조절치료계획에서 월등히 감소되었으며 특히 뇌간(brain stem)의 NTCP는 입체조형치료계획에서 보다 강도조절치료계획에서 훨씬 적은 값(0.3에서 0.15)으로 감소되었다. 계획선량의 증가에 따른 TCP와 NTCP를 입체조형치료계획과 강도조절치료계획에서 TCP는 공히 완만한 증가를 보였으나 NTCP값은 선량증가에 비례적으로 증가하였고 입체조형치료계획이 강도조절치료계획보다 월등히 증가하였다. 결론 : 보상여과판을 이용한 전방위 강도변조 방사선치료에서 PTV내의 선량 균일도의 개선은 없었지만 뇌간, 척수강 등 정상장기의 피폭을 줄일 수 있었다. 특히 인체표면의 굴곡이 심하거나 뼈, 동공 등으로 종양에 도달하는 방사선량분포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 매우 유리한 치료방법이였다. 방사선치료성적을 평가함에 있어 DVH와 TCP, NTCP 등 수학적 척도를 이용함으로서 치료성과의 예측, 종양선량의 증가(dose escalation), 방사선수술의 지표 및 방사선치료의 질적 상황을 정량적 수치로 평가할 수 있어 방사선치료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