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sma Urea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34초

사료급여체계가 재래종 및 교잡종 흑염소의 영양소 이용율, 질소축적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Feeding Systems on Nutrient Availability, Nitrogen Retention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Native or Crossbred Korean Black Goats)

  • 정기웅;조익환;황보순;이성훈;송해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41-350
    • /
    • 2008
  • 본 시험은 흑염소의 효율적인 사양관리체계의 확립에 기여하기 위하여, 재래흑염소 10두(male)와 교잡흑염소(재래흑염소$\times$호주야생염소 교잡종; 50:50%) 10두(male)를 공시하여, 시판 배합사료와 조사료를 급여하는 관행사료와 TMR 사료를 각각 급여하였을 때,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소화율, 질소축적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실험기간은 사료 적응기간 14일 예비기간 10일을 거친 후, 14일간의 본 실험 기간을 두어 총 38일간 실시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1일 두당 건물의 섭취량은 TMR을 급여한 교잡종이 가장 높았고(p<0.05), 품종간에서는 재래종 보다 교잡종지, 사료급여체계간에는 관행구보다 TMR구가 높았다(p<0.05). 일당증체량은 재래종 관행구, 재래종 TMR구, 교잡종 관행구, 교잡종 TMR구의 순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p<0.05). 건물 소화율은 사료급여체계간에서는 TMR구가 관행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품종간에도 교잡종이 재래종 보다 높았다(p<0.05). 질소축적량 및 질소축적율은 교잡종 TMR구가 가장 높았고, 재래종 관행구가 가장 낮았다(p<0.05). 혈중 glucose의 함량과 PUN(plasma urea nitrogen)은 교잡종이 재래종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TMR 형태의 사료급여가 재래종 보다는 교잡종에 흑염소의 생산성과 사료섭취량, 소화율, 질소축적을 및 혈액성상에 양호한 영향을 나타내어, 효율적인 사양관리체계의 확립과 함께 흑염소 생산농가에 경제적 이득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체지방 감소 다클론 후보 항체가 비거세돈의 체중, 분 소화율 및 혈액 대사물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clonal Antibody Candidate to Adipocytes for Reducing Body Fat on Body Weight, Fecal Digestibility and Blood Metabolites in Pigs)

  • 최창원;백경훈;조성백;오영균;홍성구;최창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5호
    • /
    • pp.375-382
    • /
    • 2010
  • 본 연구는 비거세돈 12두를 이용하여 돼지 복강 및 피하지방 감소 후보 항체를 생체 주사 처리 시 체중, 분 소화율 및 혈액 대사물질 등 영양생리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Choi 등(2010)에서 개발된 돼지 복강 및 피하지방 감소 후보 항체를 피하 주사하였을 때 주사 후 4주까지 평균 체중은 수치적 증가가 발생했으나(P>0.05), 전 기간에 걸쳐 수치적 증가를 보여 항체의 처리로 인한 영향보다는 돼지의 일반적인 성장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항제 주사 처리 시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섬유의 분 소화율은 항체 주사 전, 후 및 시험구 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P>0.05). 조회분 소화율의 경우 항체 주사 후 2주째 control에서 감소를 및 4주째 NAb에서 증가를 보였으나(P< 0.05), AAb 및 SAb에서는 유의적 변화가 없었다. 혈액 대사물질의 변화에서는 항체 주사 후 4주의 AAb 및 SAb에서 BUN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하지만, 후보 항체 주사 전에서도 유사한 패턴으로 유의적 증가를 보여 항체 처리에 의한 차이보다는 개체간의 차이로 사료된다. 혈액 내 glucose 및 TG 농도는 후보 항체 처리에 의한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체지방 함량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혈액 내 TC 농도에서는 control 대비 후보 항체 주사 후 4주차 AAb 및 SAb에서 유의적 감소가 나타나(P<0.05), 체지방 감소가 일어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본 연구에서 이용된 AAb 및 SAb는 in vivo 영양생리대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한 항체로 판단된다.

인삼부산물 급여에 따른 비육돈의 생산성 및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Ginseng By-product on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Parameters in Finishing Pigs)

  • 박준철;김영화;정현정;지상윤;이성대;유재원;장해동;문홍길;김인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839-846
    • /
    • 2007
  • 본 시험은 인삼부산물 급여 유무에 따른 돼지 생산성, 혈액, 도체 및 육질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시험 동물은 2원 교잡종(LandraceYorkshire) 육성-비육돈 24두를 공시하였으며 개시 체중은 65.81±2.02kg이였다. 기초 사료를 대조구(CON)로 설정하였고, 처리구(GBP)은 인삼 부산물을 기초사료의 lupin 2.5%로 대체하였다. 시험구는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암·수 동일한 비율로 각 처리구당 4마리씩 3반복 실시하였다. 생산성에서 일당사료섭취량은 GBP가 CON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001). 혈장의 생화학적 조성에서는 total protein, blood urea nitrogen, glucose, albumin, calcium 그리고 inorganic phosphate는 각각 GBP가 CON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도체 및 육질 특성은 GBP 및 CON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돈육의 총 ginsenoside 함량은 GBP가 CON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TBRAs는 저장 6일과 13일에 GBP가 CON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상의 시험 결과를 종합하면, 인삼부산물 급여는 혈장의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가져왔고, 돈육의 ginsenoside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지방산패도를 감소시켰는데 이 사실은 인삼부산물이 돼지의 사료첨가제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한우 복강 및 피하지방 감소 다클론 항체가 반추위 발효패턴 및 혈액 대사물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clonal Antibodies to Abdominal and Subcutaneous Adipocytes on Ruminal Fermentation Patterns and Blood Metabolites in Korean Native Steers)

  • 최창원;백경훈;김성진;오영균;홍성구;권응기;송만강;최창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3호
    • /
    • pp.231-240
    • /
    • 2009
  • 본 연구는 반추위 캐뉼라가 장착된 거세한우 16두 ($626.2\pm47.72$ kg)를 이용하여 한우 복강 및 피하지방 감소 항체를 생체 주사 처리 시 사료섭취량, 반추위 발효패턴 및 혈액 대사물질 등 영양생리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Choi 등(2008)에서 개발된 한우복강(AAb) 및 피하지방 감소 항체(SAb)을 피하 주사하였을 때, 주사 후 2주차에서 수치적으로 체중의 감소가 발생했으나, 무처리구 및 비면역항체처리구에서도 체중의 감소가 발생해 항체 주사에 의한 처리의 영향이라기 보다는 다른 요인(혈액채취 등)에 의한 스트레스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항체 주사 처리 시 반추위 pH 패턴, 휘발성 지방산 및 암모니아 농도에는 유의적 변화(P > 0.05)가 나타나지 않았고, 그 수준 또한 일반적인 수준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혈액 대사물질의 변화에서는 항체 주사 처리 전 BUN 농도에서 무처리구 기준, AAb 처리구는 낮게, 반면에 SAb 처리구는 높게 나타났으나(P < 0.05), 오히려 항체 주사 처리 후에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 > 0.05). 혈액 내 glucose 농도 역시 항체 주사 처리 전 비면역혈청처리구에서만 유의적 차이를 보였고(P < 0.05), 항체 주사 처리 후에서는 처리구별 유의적 영향은 없었다. 혈액 내 중성지방의 농도는 항체 주사 처리에 의한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그 농도도 11.4~19.9 mg/$d{\ell}$로 일반적인 농후사료 위주의 사료 급여시 거세한우의 혈액 내 중성지방의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본 연구에서 이용된 AAb 및 SAb는 in vivo 영양생리대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한 항체로 사료된다.

가시까치밥나무(Ribes diacanthum Pall.) 추출물의 Alloxan 투여 마우스에서 혈당 상승 억제 효과 (Preventive Action of Ribes diacanthum Pall. against High Blood Glucose Level in Alloxan-induced Diabetic Mice)

  • 김은선;비야르마 비라수렌;김미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3-60
    • /
    • 2013
  • 가시까치밥나무(Ribes diacanthum Pall.) 투여가 alloxan으로 유도된 당뇨 모델 마우스에서 혈당 저하 효과 및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마우스는 Normal 군, Alloxan 투여 대조군(Control 군), alloxan+가시까치밥나무 추출물(1 mg /kg B.W/day)(RDP-1), alloxan+가시까치밥나무 추출물(3 mg /kg B.W/day)(RDP-2)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가시까치밥나무 투여군들은 14일 동안 RDP 추출물을 두 가지 농도로 경구 투여한 후 꼬리정맥으로 alloxan을 주입하여 당뇨를 유도하였다. RDP 추출물의 항산화 실험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0.5 mg/g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식이 섭취량과 수분섭취량은 alloxan 투여군이 Normal 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간과 신장의 무게 또한 Normal 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혈당 개선 실험 결과, alloxan의 정맥주사에 의해 유도된 제1형 당뇨 마우스 모델에 있어서, RDP 추출물의 투여가 Control 군에 비하여 혈당의 상승을 크게 억제하였으며, RDP 추출물 농도 간에는 혈당 개선에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혈액 분석 결과, 중성 지질 함량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Normal 군에 비해 Control 군에서 다소 높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RDP 추출물의 투여군들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HDL-cholesterol은 그룹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혈청 AST 활성도와 BUN은 RDP 추출물 투여군에서 Control 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insulin 함량과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 ${\beta}$-cell의 기능을 알 수 있는 C-peptide 함량은 측정되지 않아 보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나, 이러한 결과로 보아 RDP 추출물은 혈당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소재 혹은 산업적 응용가능성이 높은 유용한 소재인 것으로 사료된다.

Non-enzymatic Antioxidant Status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the Consumers of Pan Masala Containing Tobacco

  • Shrestha, Raj;Nepal, Ashwini Kumar;Lal Das, Binod Kumar;Gelal, Basanta;Lamsal, Madhab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9호
    • /
    • pp.4353-4356
    • /
    • 2012
  • Background: Tobacco consumption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oral submucous fibrosis, oral cancer and even premature death.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biochemical parameters and non-enzymatic antioxidant status and the lipid peroxidation products in pan masala tobacco users as compared with age-matched non-user controls. Methods: Pan masala and tobacco users of age $33.2{\pm}9.94$ years and age-matched controls ($31.2{\pm}4.73$ years) were enrolled for the study. Plasma levels of vitamin E, vitamin C, albumin, bilirubin, uric acid, glucose, urea, creatinine, aspartate amino transferase (AST), alanine amino transferase (ALT) were measured by standard methods. Serum malondialdehyde (MDA) levels were estimated as a measure of lipid peroxidation. Results: In the pan masala tobacco users, as compared to the controls, the level of vitamin C ($68.5{\pm}5.9$ vs $97.9{\pm}9.03{\mu}mol/L$, $p{\leq}0.05$) vitamin E ($18.4{\pm}5.3$ vs $97.9{\pm}9.03{\mu}mol/L$, $p{\leq}0.001$), albumin ($37.5{\pm}7.01$ vs $44.3{\pm}9.99g/L$, $p{\leq}0.001$), and malondialdehyde ($10.8{\pm}1.29$ vs $1.72{\pm}1.15nmol/ml$, $p{\leq}0.001$)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ltered. Malondialdehyd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vitamin E (r=1.00, p<0.001) and vitamin C (r=1.00, p<0.001) in pan masala tobacco users. Serum levels of AST ($31.0{\pm}16.77$ IU) and ALT ($36.7{\pm}31.3$ IU) in the pan masala tobacco users were significantly raised as compared to the controls (AST, $25.2{\pm}9.51$ IU, p=0.038; ALT, $26.2{\pm}17.9$ IU, p=0.038).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n masala tobacco users are in a state of oxidative stress promoting cellular damage. Non-enzymatic antioxidants are depleted in pan masala tobacco users with subsequent alteration in the biochemical parameters. Supplementation of antioxidants may prevent oxidative damage in pan masala tobacco users.

반복적인 저혈당으로 엑솜 시퀀싱을 통해 31개월에 진단된 Citrin 결핍증 1례 (A Case of Citrin Deficiency Presenting with Recurrent Hypoglycemia: Diagnosed by Targeted Exome Sequencing)

  • 김치우;황정윤;양아람;김진섭;이태헌;장자현;조성윤;진동규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9-76
    • /
    • 2017
  • Citrin 결핍증은 요소회로 이상 질환 중 하나로, 7q21.3에 위치한 SLC25A13 유전자에 돌연변이로 발생하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이다. 세 가지 표현형 중에 신생아 간내 담즙 정체형, 제 2형 시트룰린혈증은 잘 알려졌지만, 성장부진과 이상지질혈증형은 최근에 밝혀지고 있는 표현형으로 아직 우리나라에 보고된 적이 없다. 성장부진과 이상지질혈증형에서는 경미할 수는 있으나 식욕감소, 피곤함, 성장부진, 저혈당, 시트룰린 상승, 이상지질혈증, 젖산염/피루브산염 상승과 같은 이상이 관찰될 수 있다. 또한 저혈당으로 내원하였을 때 일반적인 검사로는 원인 규명이 어려울 수 있다. 저자들은 생후 30개월에 반복적인 저혈당으로 내원하여 소변 유기산 분석, 호르몬 검사와 같은 대사 이상 검사에서 명확한 특정 진단명이 의심되지 않아, 생후 31개월에 targeted exome sequencing을 통해 복합이형접합 SLC25A13 유전자 돌연변이[c.852_855del (p.Met285Profs*2), c.1177+1G>A]를 발견하여 성장부진과 이상지질혈증으로 발현한 citrin 결핍증을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진단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Effects of feeding system on growth performance, plasma biochemical components and hormone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Hanwoo steers

  • Chung, Chan Sung;Cho, Woong Ki;Jang, In Seok;Lee, Sung Sill;Moon, Yea Hwa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8호
    • /
    • pp.1117-1123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growth performance, blood components and carcass traits by two feeding systems (concentrate with roughage separately [CON] vs total mixed ration [TMR]) in Hanwoo steers, and to learn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components during fattening or finishing phases and carcass traits in Hanwoo steers. Methods: Sixty steers aged 8 months were allotted to two feeding systems and fed similar amounts of average dry matter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hroughout whole experimental period according to each feeding program. Steers were weighed monthly, taken blood at the end of growing, fattening and finishing periods, and slaughtered at 30 month of age. Results: Growing performance was higher (p<0.05) in the CON group compared to the TMR group during fattening and finishing periods. The CON group was lower (p<0.05) in blood aspartic acid transaminase, blood urea nitrogen and retinol levels during growing period, but higher in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levels during fattening and finishing periods compared to the TMR group. The CON group was greater (p<0.05) in rib-eye area, and lighter (p<0.05) red in meat color compared to the TMR group.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blood components of steers and carcass traits, retinol had a negative (p<0.05) correlation with marbling score and rib-eye area. Leptin had a positive (p<0.05) correlation with back fat thickness. Bloo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positively (p<0.05) correlated with carcass weight and rib-eye area. Conclusi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ribeye area and meat color showed a more desirable result in the CON compared to the TMR in Hanwoo steers. Assessing the accumulated data of carcass traits with blood components including hormones-particularly retino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eptin-during the fattening or finishing phases, it may be possible to find a biomarker for determining beef quality in living animals.

Effects of supplementing limiting amino acids on milk production in dairy cows consuming a corn grain and soybean meal-based diet

  • Park, Joong Kook;Yeo, Joon-Mo;Bae, Gui-Seck;Kim, Eun Joong;Kim, Chang-Hyu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4호
    • /
    • pp.485-494
    • /
    • 2020
  • Limiting amino acids (AAs) for milk production in dairy cows fed on a concentrate diet of corn grain and soybean meal was evaluated in this study. Four lactating and multiparous Holstein cows (in third or fourth parities,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633 ± 49.2 kg), 8 to 9 weeks into their lactation period, were used in a 4 × 4 Latin square design. The experiment comprised four dietary treatments: (1) no intravenous infusion (control); (2) control plus intravenous infusion of an AA mixture of 6 g/d methionine, 19.1 g/d lysine, 13.8 g/d isoleucine, and 15.4 g/d valine (4AA); (3) control plus intravenous infusion of the AA mixture without methionine (no-Met); and (4) control plus intravenous infusion of the AA mixture without lysine (no-Lys). All animals were fed on a controlled diet (1 kg/d alfalfa hay, 10 kg/d silage, 14 kg/d concentrate mixture, ad libitum timothy hay). The AA composition of the diet and blood were determined using an automatic AA analyzer. Milk composition (protein, fat, lactose, urea nitrogen, and somatic cell counts) was determined using a MilkoScan. The results showed that feed intake for milk production did not differ from that of intravenous infusion using a limiting AA mixture. The 4AA treatment numerically had the highest milk yield (32.4 kg/d),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31.2 kg/d), no-Met (31.3 kg/d), and no-Lys (31.7 kg/d) treatments. The concentration of AAs in blood plasma of cows in all treatments, mainly isoleucine and valine,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The no-Met treatment increased (p < 0.05) the concentration of lysine in the blood relative to the control and no-Lys treatments, whereas the no-Lys treatment increased (p < 0.05) the concentration of methionine relative to the control and no-Met treatments. In conclusion, milk production increased when feeding 10 g/d methionine to the cows, together with their concentrate diet of corn grain and soybean meal.

Estimating total lysine requirement for optimised egg production of broiler breeder hens during the early-laying period

  • Kim, Eunjoo;Wickramasuriya, Samiru Sudharaka;Shin, Taeg Kyun;Cho, Hyun Min;Kim, Hyeun Bum;Heo, Jung Mi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4호
    • /
    • pp.521-532
    • /
    • 2020
  • The production performance of broiler breeder hens in response to different levels of total lysine during the early laying period was investigated. A total of 126 Ross 308 parent stock hens were offered one of seven dietary treatments formulating elevated contents of total lysine ranging from 0.55% to 0.79% (0.04 scale; 133 g of feed) from 23 to 29 weeks of age. Each treatment had six replicates with three birds per pen. Body weight was recorded triweekly and eggs were collected and weighted at 9:00 am daily. One hen from each pen was euthanized to collect blood samples and visceral organs were harvested and weighed. Egg production, egg weight and egg mass were lower (p < 0.05) in hens offered a diet containing 0.55% total lysine compared to those fed the diet containing higher total lysine. Hens offered a diet containing 0.71%, 0.75%, and 0.79% total lysine had greater (p = 0.008) egg production rate compared to those offered a diet containing lysine less than 0.71%. The number of total eggs produced tended to be greater (p = 0.083) in hens offered a diet containing 0.71 and 0.75% total lysine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s. The number of settable egg production was higher (p < 0.001) in hens offered a diet contacting 0.79% total lysine compared to those fed the diet containing lower levels of total lysine. The relative weights of oviduct and ovary were lower (p < 0.05) in hens offered a diet containing 0.59% total lysine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s. No difference found in body weight, the number of total eggs, double-yolk eggs and abnormal shell eggs among the treatments. The urea nitrogen, estradiol-17 beta and progesterone in plasma were not affected by treatments. Based on linear- and quadratic-plateau models, total lysine requirements for egg production, settable egg production and egg mass at the early laying period were to be 0.73%, 0.77%, and 0.71%, respectively. Modern broiler breeder hens likely require higher total lysine than NRC recommendation in a diet for enhancing productivity during the early-laying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