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sma Arc curing light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5초

전단접착강도와 관련된 Plasma Arc Curing Light의 중합효율평가 (Shear bond strength of dentin bonding agents cured with a plasma arc curing light)

  • 권영철;김선영;정세준;한영철;이인복;손호현;엄정문;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3호
    • /
    • pp.213-223
    • /
    • 2008
  • 광물리학적 특성 분석을 위해 Apollo 95E (DMT Systems, Orange, CA; PAC 광중합기), Elipar Freelight 2 (3M ESPE, MN, USA; LED 광중합기) 그리고 VIP Junior (Bisco, Schaumberg, IL, USA; QTH 광중합기), 3종의 광중합기의 총광강도(Total intensity)와 spectral distribution을 측정하였고 특정 파장에 해당되는 광강도 (Energy density)를 분석하였다. 상아질 전단접착강도의 측정을 위해 Scotchbond Multipurpose (3M ESPE), Single bond (3M ESPE) 그리고 Clearfil SE bond (Kuraray)가 사용되었다. Plasma Arc Curing light (Apollo 95E) 광중합기는 여러개의 최대정점을 가지며 넓은 spectral distribution과 $2307mw/cm^2$의 높은 광강도를 나타내었고, VIP Junior 광중합기는 490nm에서 최대정점을 갖는 넓은 spectral distribution을 나타내었고, Elipar Freeelight 2 광중합기는 462 nm의 최대정점 주위로 좁은 spectral distribution을 보였다. Two-Way ANOVA와 Bonferroni's multiple comparison test를 이용하여 상아질 전단접착강도를 분석한 결과, PAC 광중합기와 LED 광중합기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 > 0.05), 상아질 접착제와 광중합기의 교호관계에도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나 상아질 접착제는 상호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P < 0.001).

광원의 유형에 따른 광중합 수복재의 중합양상 (A STUDY ON THE MODE OF POLYMERIZATION OF LIGHT-CURED RESTORATIVE MATERIALS CURED WITH THREE DIFFERENT LIGHT SOURCES)

  • 권민석;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29-237
    • /
    • 2003
  • 본 연구는 기존의 할로겐광(XL 3000, 3M, U.S.A.)과 비교하여 새로운 중합광원인 플라즈마광(Flipo, LOKKI, France)과 Light Emitting Diode(이하 LED, Elipar Free light, 3M, U.S.A.)광의 효율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일정 광도 하에서 플라즈마광과 LED광의 중합시간에 따른 중합도의 변화를 검토하여 할로겐광의 미세경도와 유사한 광조사 시간을 알아보고, 둘째, 중합반경에 따라 균일한 중합이 이루어지는지를 보기 위해 광조사 부위의 중심부와 외측 변연부에서의 중합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2mm 두께의 복합레진 시편의 상면과 하면의 미세경도의 측정을 통해 중합도를 평가,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Z-100의 미세경도 측정치 비교에서, 대조군인 할로겐광을 40초 적용한 경우는, 플라즈마광 6-9초, LED광 40-60초를 적용한 경우와 유사하였다(P>0.05). 2. Tetric Flow의 미세경도에서는 대조군인 할로겐광을 40초 적용한 경우, 플라즈마광 9초, LED광 40-60초를 적용한 경우와 유사하였다(P>0.05). 3. Dyract AP의 경우, 할로겐광 40초를 조사한 것은, 플라즈마광 6-9초, LED광 20-40초를 적용한 경우와 유사하게 나타났다(P>0.05). 4. Fuji II LC에서는 할로겐광을 40초 적용한 경우가, 플라즈마광 9초, LED광 20-60초를 적용한 경우와 유사하게 나타났다(P>0.05). 5. Fuji II LC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할로겐, 플라즈마, LED광 모두 시편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미세경도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 PDF

광중합 광원의 종류와 조사시간에 따른 치면열구전색제의 미반응 모노머 용출 (ELUTION OF RESIDUAL MONOMER ACCORDING TO VARIOUS LIGHT SOURCES AND CURING TIME ON THE POLYMERIZATION OF PHOTOACTIVATED PIT AND FISSURE SEALANTS)

  • 오유향;박윤경;이난영;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21-43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할로겐 광과 보다 강한 강도와 짧은 조사시간을 갖는 아르곤 레이저와 플라즈마 광의 광중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많은 양의 TEGDMA를 용출하는 치면열구전색제를 실험재료로 이용하여 각각의 중합시간과 용출시간에 따른 미반응 TEGDMA의 양을 측정, 비교 분석하여 중합도를 평가하였다. 광원에 따른 중합시간 당 각각 10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3차 증류수에 넣은 후 바로 용출시킨 액을 0시간으로 하고 $37^{\circ}C$ 항 온기에서 10분, 1시간, 12시간, 24시간 동안 용출시켰다. 각 용출액의 $20{\mu}l$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P-HPLC)에 적용시켜 미반응 모노머의 시간경과에 따른 용출양을 측정하였다. 이상의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할로겐 광은 중합시간이 증가할수록 TEGDMA의 초기 용출량 감소를 보였다(p>0.05). 2. 플라즈마 광은 6초, 9초로 중합한 군에서는 TEGDMA의 용출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3초 중합 군에서는 6초와 9초 중합 군보다 초기 용출량이 크게 나타났다(p<0.05). 3. 아르곤 레이저는 전반적으로 할로겐 광과 플라즈마 광보다 TEGDMA의 초기 용출량이 컸으며 조사시간이 증가할수록 용출량은 감소되었다(p<0.05). 4. 광원의 제조회사에서 권장하는 최소 중합시간인 할로겐 광 20초, 플라즈마 광 3초, 아르곤 레이저 5초로 조사시 TEGDMA의 용출량은 할로겐 광, 플라즈마 광 아르곤 레이저 순으로 용출량이 적었다(p>0.05). 5. 제조회사의 권장 중합시간인 할로겐 광 40초, 플라즈마 광 6초, 아르곤 레이저 10초 조사시 할로겐 광 40초와 플라즈마 광의 6초의 TEGDMA의 용출량은 아르곤 레이저 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6. 권장시간 이상인 할로겐 광 60초와 플라즈마 광 9초, 아르곤 레이저 20초 중합시 나타나는 TEGDMA의 용출량 간에는 유의 할만한 차이가 없었다(p>0.05).

  • PDF

Plasma arc light curing unit을 이용한 광중합형 수복재의 중합양상 (A STUDY ON THE MODE OF POLYMERIZATION OF LIGHT-CURED RESTORATIVE MATERIALS CURED WITH PLASMA ARC LIGHT CURING UNIT)

  • 우연선;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62-269
    • /
    • 2002
  • 본 연구는 할로겐광과 비교하여, 고강도의 단축된 중합 시간을 장점으로 하는 플라즈마광의 효율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첫째, 중합 시간과 중합 거리에 따른 중합도의 변화를 검토, 광조사 시간을 증가시킬 경우 특정거리 이상에서도 수복물 하층까지 충분한 중합이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고, 둘째, 중합 반경에 따라 균일한 중합이 이루어지는지 보기 위해 광조사 부위의 중심부와 외측 변연부의 중합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2mm 두께의 복합레진 시편의 상 하면 미세경도 측정을 통해 중합도를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거리증가에 따른 상대광도의 감소는 할로겐광에 비해 플라즈마광에서 그 차이가 적었다(p<0.05). 2. 플라즈마광, 할로겐광 모두 상면의 미세경도는 중합거리 2mm 이상부터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중합시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다(p<0.05). 3. 플라즈마광 3초를 제외하고, 하면의 미세경도 변화는 4mm 이상에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상면에 비해 중합시간과 거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p<0.05). 4. 플라즈마광, 할로겐광 모두 조사시간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4mm와 6mm 사이에서 하면의 미세 경도차는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p<0.05). 5. 플라즈마광을 $6{\sim}9$초 적용한 때와 할로겐광을 $40{\sim}80$초 적용한 때의 미세경도치 및 거리에 따른 경도 변화는 유사하였다(p>0.05). 6. 플라즈마광, 할로겐광 모두 레진 시편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미세경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 PDF

복합레진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AN IN VITRO STUDY OF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S)

  • 이선영;양연미;백병주;전철완;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93-599
    • /
    • 2003
  • 치과의 수복재로 널리 쓰이는 복합레진의 미세누출에 대한 할로겐광과 플라즈마광의 영향을 비교하고, 유동성 복합레진과 할로겐광으로도 중합시간이 20초로 단축된 복합레진 $Filtek^{TM}$ Z250이 미세누출면에서 기존에 널리 쓰이던 복합레진인 Z100을 대체할 수 있을지를 평가하며, 미세누출에 미치는 adhesive resin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발거된 치아에 5급 와동을 형성하고 레진의 충전은 각 군에 따라 시행하였다. 유동성복합레진 $Filtek^{TM}Flow$와 Z100, $Filtek^{TM}Z250$을 이용하였고, 할로겐광과 플라즈마광을 이용하여 중합하였다 충전이 완료된 시편은 보관, 연마, 열순환을 시행하고, 1% methylene blue를 침투시킨 후 협설로 절단하여 미세누출 정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Filtek^{TM}Flow$$Filtek^{TM}Z250$ 모두 광원에 따른 미세누출의 차이는 없었다(p>0.05). 2. 유동성 복합레진인 $Filtek^{TM}Flow$는 복합레진 $Filtek^{TM}Z250$과 Z100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큰 미세누출을 보여(p<0.05) 유동성 복합레진만으로 수복한다면 미세누출의 위험이 커질 것이다. 3. Adhesive resin을 도포한 것이 할로겐광을 이용한 경우와 플라즈마광을 이용한 경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미세누출을 감소시켰다.(p<0.05)

  • PDF

각각의 광조사기가 복합레진의 미세경도와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ACH LIGHT CURING UNITS ON THE MICROHARDNESS AND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 정유진;이희주;허복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1호
    • /
    • pp.58-67
    • /
    • 200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urrent visible light curing units regarding microhardness and microleakage. Fourty samples of composite resin(Z-250, 3M) were cured by different light curing units (Flipo, LOKKI; Credi II, 3M; XL 3000, 3M: Optilux 500, Demetron) in acrylic blocks. Microhardness was measured using a calibrated Vickers indenter on both top and bottom surfaces after 24 hours of storage in air at room temperature.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on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fourty extracted human molars. Each margin was on enamel and dentin/cementum. Composite resin(Z-250, 3M) was filled in cavities and cured by four different light curing units (Flipo, LOKKl; Credi II, 3M; XL 3000, 3M: Optilux 500, Demetron). The results of this syudy were as follows: Microhardness 1. Flipo showed low microhardness compared to Optilux 500, Credi II significantly in upper surface. Flipo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XL 3000. 2. The microhardness resulting from curing with Flipo was lower than that of others on lower surfaces. Microleakage 1. Dentin margin showed significantly high dye penetration rate than enamel margin in all groups(p<0.05). 2.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both enamel and dentin margin regarding curing units.

리노미터를 이용한 할로겐 가시광선 광조사기와 플라즈마 아크 광조사기의 복합레진 및 컴포머의 광중합 양상 비교 (COMPARISON OF LINEAR POLYMERIZATION SHRINKAGE IN COMPOSITES AND COMPOMER POLYMERIZED BY PLASMA ARC OR CONVENTIONAL VISIBLE LIGHT CURING)

  • 이재익;박성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5호
    • /
    • pp.488-49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lasma arc curing (PAC) unit for composite and compomer curing. To compare its effectiveness with conventional quartz tungsten halogen (QTH) light curing unit, the polymerization shrinkage rates and amounts of three composites (Z100, Z250, Synergy Duo Shade) and one compomer, that had been light cured by PAC unit or QTH unit, was compared using a custome made linometer. The measurement of polymerization shrinkage was peformed after polymerization with either QTH unit or PAC unit. In case of curing with the PAC unit, the composite was light cured with Apollo 95E for 6s, the power density of which was recorded as 1350 mW/$\textrm{cm}^2$ by Coltolux Light Meter. For light curing with QTH unit, the composite was light cured for 30s with the XL2500, the power density of which was recorded as 800 mW/$\textrm{cm}^2$ by Coltolux Light Meter. The amount of linear polymerization shrinkage was recorded in the computer every 0.5s for 60s. Ten measurements were made for each material. The amount of linear polymerization shrinkage for each material in 10s and 60s which were cured with PAC or QTH unit were compared with t test. The amount of polymerization shrinkage in the tested materials were compared with 1way ANOVA with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s for the amounts of polymerization shrinkage in 60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PAC unit and QTH unit in Z250 and Synergy Duo Shade. In Z100 and Dyract AP, it was lower when it was cured with PAC unit than when it was cured with QTH unit (p<0.05). As for the amounts of polymerization shrinkage in 10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PAC unit and QTH unit in Z100 and Dyract AP. The amounts of polymerization shrinkage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it was cured with PAC unit in Z250 and Synergy Duo Shade (p<0.05). The amounts of polymerization shrinkage in the tested materials when they were cured with QTH unit were Z250 (6.6um) < Z100 (9.3um), Dyract AP (9.7um) < Synergy Duo Shade (11.2um) (p<0.05). The amount of polymerization shrinkage when the materials were cured with PAC unit were Dyract AP (5.6um) < Z100 (8.1um), Z250(7.0um) < Synergy Duo Shade (11.2um) (p<0.05).

완속기시(Soft-start) 광조사 방식이 복합레진의 중합 및 수축응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OFT-START LIGHT CURING ON THE POLYMERIZATION AND THE CONTRACTION STRESS OF COMPOSITE RESIN)

  • 위유민;오유향;이난영;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32-34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할로겐 광중합기를 이용하여 40초간 조사하여 복합레진을 중합한 경우와 플라즈마 광중합기를 이용한 고강도의 중합 및 완속기시 중합 방식, 그리고 LED 광중합기를 이용한 통법의 중합과 완속기시 중합 방식으로 복합레진을 중합하여 발생되는 수축응력을 비교하고 미세경도를 측정하여 중합도를 평가하였다. 내경 7mm, 외경 10mrn의 아크릴릭 주형을 제작하고 외면에 스트레인게이지를 부착시킨 뒤 각각의 광원에 따른 중합모드로 광중합 하였다. 광조사 시점부터 1초 간격으로 600초간 수축응력을 측정하였으며, 중합 24시간 후 각 군의 미세경도를 측정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수축응력 측정 후 시편을 종단하여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레진수복물과 아크릴릭 주형 계면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플라즈마 광과 LED 광원의 완속기시 중합방식은 각각의 기본 중합방식에 비해 중합 10분 후에 수축응력 감소를 보였다(P<0.05). 2. 완속기시 중합방식의 플라즈마 광이 가장 낮은 수축응력을 보였으나 미세경도 또한 가장 낮았다(P<0.05). 3. 완속기시 중합방식의 LED 광중합은 기존의 할로겐 광과 LED 광중합 방법에 비하여 낮은 수축응력을 보였다(P<0.05). 4. 완속기시 중합방식의 LED 광으로 조사한 시편의 미세경도는 단일광도로 조사한 할로겐 광과 LED 광중합과 비교하여 유의할만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5. 기존의 할로겐 광과 완속기시 중합방식의 LED로 중합한 시편이 플라즈마 광과 단일강도의 LED로 조사한 군보다 더 나은 변연봉쇄를 보였다.

  • PDF

수종의 광중합기에 의한 복합레진 중합시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MICROLEAKAGE IN RESIN COMPOSITE POLYMERIZED WITH VARIOUS LIGHT CURING UNITS)

  • 박성진;김대업;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04-610
    • /
    • 2005
  • 현재 광중합 복합레진은 치아의 수복을 위하여 많이 사용되며 복합레진이 많이 사용되는 만큼 광중합을 위한 광중합기도 다양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광중합기에 따른 복합레진의 미세누출은 아직 연구대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광중합기에 따라 발생하는 미세누출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으로 최근에 개발된 광중합기의 중합능력을 전통적 인 할로겐 광중합기와 비교하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지던 저출력 할로겐 광중합기(Optilux 360), 일반 플라즈마 아크 광중합기(Flipo). 저발열 플라즈마 아크 광중합기 (Aurys), 고출력 LED 광중합기 (Freelight 2)를 사용하였다. 건전한 유구치에 와동을 형성한 후 복합레진(Z100)을 동일한 레진 접착제 (Scotchbond Multi-Purpose)를 사용하여 충전한 후 각 광중합기를 이용하여 복합레진을 중합시켰다. 광중합기의 광조사 시간은 제조사에서 복합레진의 광중합을 위해 권장하는 시간으로 Optilux 360은 40초, Flipo는 5초, Aurys는 9초, Freelight 2는 20초간 조사하였다. Optilux 360만 광강도의 변화가 없는 광조사 방식이며 그 외 광중합기들은 광강도가 광조사 중에 증가되는 soft-start 광조사 방식이다. 각 시편을 증류수에 24시간 보관 후 열 순환을 1000회 시행한 후 2% methylene blue용액으로 색소침투를 시켰으며 각 시편을 절단하여 색소침투 정도를 점수화시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미세누출을 각 점수화하였을 때 Aurys가 평균 0.95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고 Freelight 2(1.05), Flipo(1.25), Optilux 360(1.30)의 순이었다. 하지만 각 광중합기군 간의 값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P>0.05).

  • PDF

중합광원과 레진 색상이 복합레진의 중합깊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SOURCE AND SHADE ON DEPTH OF CURE OF COMPOSITES)

  • 나준석;정선와;황윤찬;김선호;윤창;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6호
    • /
    • pp.561-568
    • /
    • 2002
  • Purpose of this research is estimating polymerization depth of different source of light. XL 3000 for halo-gen light, Apollo 95E for plasma arc light and Easy cure for LED light source were used in this study. Different shade (B1 & A3) resin composites (Esthet-X, Dentsply, U.S.A.) were used to measure depth of cure. 1, 2, and 3 mm thick samples were light cured for three seconds, six seconds or 10 seconds with Apollo 95E and they were light cured with XL-3000 and Easy cure for 10 seconds, 20 seconds, or 40 seconds. Vicker's hardness test carried out after store samples for 24 hours in distilled water. Results were as following. 1. Curing time increases from al1 source of lights, oui$.$ing depth increased(p<0.05). 2. Depth (that except 1mm group and 2mm group which lighten to halogen source of light) deepens in all groups, Vickers hardness decreased(p<0.05). 3. Vicker's hardness of A3 shade composite was lower in all depths more than B1 shade composites in group that do polymerization for 10 seconds and 20 seconds using halogen source of light(p<0.05), but group that do polymerization lot 40 seconds did not show difference(p>0.05). 4. Groups that do polymerization using Plasma arc and LED source of light did not show Vicker's hardness difference according to color at surface and 1mm depth(p>0.05), but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color at 2mm and 3mm depth(p<0.05). The results showed that Apollo 95E need more polymerization times than manufacturer's recommendation (3 seconds), and Easy cure need polymerization time of XL-3000 at le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