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que disclosing agent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1초

치면착색제를 이용한 광역동 치료의 항균 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Photodynamic Therapy Using Plaque Disclosing Agent)

  • 고준희;박호원;이주현;서현우;이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0-127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치면착색제인 10 - 20 mM erythrosine을 광감각제로 사용한 광역동 치료의 항균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Streptococcus mutans, Lactobacillus casei, Candida albicans를 포함하는 다종 우식원성 세균막을 hydroxyapatite disc에 형성하였다. 광감각제로 20 μM, 10 mM, 20 mM erythrosine을 3분간 적용 후 24초 동안 광조사를 시행하였다. 각 실험군의 Colony-forming unit (CFU)을 측정하고 세균막을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10 - 20 mM erythrosine을 광감각제로 사용한 광역동 치료 실험군에서 CFU의 현저한 감소가 관찰되었고, 그 결과는 CLSM 관찰에서도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치과 임상에서 사용되는 치면착색제를 광감각제로 이용한 광역동 치료의 높은 항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세가지 색상차이를 보이는 착색제를 이용한 치아 우식 관련 균에 관한 연구 (Study of Bacteria Associated with Dental Caries Using a 3 Tone Disclosing Agent)

  • 이정은;박호원;이주현;서현우;이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2-40
    • /
    • 2018
  • 본 연구는 치태의 성숙도에 따라 치태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염색하는 GC Tri Plaque ID $Gel^{TM}$(GC corporation, Tokyo, Japan)을 이용하여 치아 우식 위험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치아 우식의 발생 및 진행과 연관된 균인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sobrinus, Lactobacillus spp.의 수를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로 측정하여 치아 우식 위험도를 보았다. 본 실험은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병원 임상시험 심사위원회의 심의를 받고 진행하였다.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전신질환이 없는 건강한 9 - 12세의 초등학생 15명의 치면을 착색제로 염색하였다. 치태의 성숙도에 따라 서로 다른 세가지 색상으로 염색되었으며 색상별로 3개의 실험군인 I군(pink/red), II군(blue/purple), III군(light blue)으로 나누었다. 3개의 실험군에서 각각 DNA를 추출한 후, qRT-PCR을 이용하여 S. mutans, S. sobrinus, Lactobacillus spp.의 수를 측정하였다. 3개의 실험군 사이에 S. mutans, S. sobrinus와 Lactobacillus spp. 균 수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3종류의 균 모두 III군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p < 0.05). GC Tri Plaque ID $Gel^{TM}$는 기존 착색제와는 달리 치태의 성숙도에 따라 서로 다른 세가지 색상으로 염색되며, 치태 염색 색상의 차이는 치아 우식 관련 균 수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GC Tri Plaque ID $Gel^{TM}$이 치아 우식 위험도를 평가하는 하나의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Qraycam을 이용한 치면세균막 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laque Score Using Qraycam)

  • 김미;이수영;조영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77-382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 64명을 대상으로 Qraycam을 이용한 이미지로 치면세균막 지수를 측정하여 착색 검사와의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측정 방법, 측정 부위, 지수유형별에 따른 치면세균막 지수의 각 측정값 사이에 높은 일치도가 나타났다. 측정 방법에 따른 전치부 순면의 Quigley-Hein index와 PCR의 평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측정 부위에 따른 Quigley-Hein index와 PCR의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Qraycam 검사와 착색 검사의 지수유형별 kappa계수를 확인한 결과 kappa값의 평균은 Quigley-Hein index 0.90, PCR 0.84로 전체적으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Qraycam과 착색 검사의 전치부 순면 및 전체 치아를 Quigley-Hein index와 PCR로 측정하였을 때, 변수 간 ICC는 1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측정방법, 측정 부위, 지수유형별에 따른 치면세균막 지수의 일치도 평가에서 모든 측정값의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Qraycam은 치면세균막 검사 시 screening 도구로서 충분한 신뢰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of Fluorescence in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Images according to the Maturation Level of Dental Plaque

  • Jung, Eun-Ha;Oh, Hye-Yo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19-226
    • /
    • 2021
  • Background: Proper detection and management of dental plaque are essential for individual oral health. We aimed to evaluate the maturation level of dental plaque using a two-tone disclosing agent and to compare it with the fluorescence of dental plaque on the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image to obtain prim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dental plaque scoring system. Methods: Twenty-eight subjects who consented to participate after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screened. The images of the anterior teeth were obtained using the QLF device. Subsequently, dental plaque was stained with a two-tone disclosing solution and a photograph was obtained with a digital single-lens reflex (DSLR) camera. The staining scores were assigned as follows: 0 for no staining, 1 for pink staining, and 2 for blue staining. The marked points on the DSLR images were selected for RGB color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plaque maturation and the red/green (R/G) ratio was evaluated using Spearman's rank correlation. Additionally, different red fluorescence values according to dental plaque accumulation were assess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followed by Scheffe's post-hoc test to identif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Results: A comparison of the intensity of red fluorescence according to the maturation of the two-tone stained dental plaque confirmed that R/G ratio was higher in the QLF images with dental plaque maturation (p<0.001).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tained dental plaque and the red fluorescence intensity in the QLF image confirmed an excellent positive correlation (p<0.001). Conclusion: A new plaque scoring system can b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 addition, these study results may also help in dental plaque management in the clinical setting.

Clinical assessment of various imaging systems for dental plaque scoring after the use of 3 different toothpastes

  • Simge Meseli;Sergen Ekenel;Bora Korkut;Burak Aksu;Dilek Tagtekin;Funda Yanikoglu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3권3호
    • /
    • pp.209-216
    • /
    • 202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dental plaque scores obtained through clinical examinations and various imaging techniques, as well 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herbal and conventional toothpastes for plaque removal.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volunteers were divided into 3 groups. Each group was given a different toothpaste (from 2 herbal toothpastes and a conventional toothpaste) with which to brush their teeth for 21 days. Both initially and after brushing, dental plaque samples were collected, and plaque on the buccal surfaces of anterior teeth was scored using several imaging systems after staining with a disclosing agent. Specifically, digital dental photography, intraoral digital scanning, and FluoreCam imaging were employed to capture intraoral images. The Turesky Modified Quigley-Hein Plaque Index was used for clinical examination and image analysis.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es and correlational assessments between clinical examination and imaging score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oothpaste use. The Shapiro-Wilk test and Pearson correlations were utilized. Results: The lowest mean value was observed in the clinical examination without staining, while the highest was obtained using the FluoreCam method. No significant change was found in the level of any microorganism assessed following toothpaste use (P<0.05), with the exception of a decrease in S. mutans levels after using conventional toothpaste (P<0.05). Conclusion: Herbal toothpaste demonstrated plaque-removal effectiveness comparable to that of conventional toothpaste. The use of imaging methods for measuring plaque index has been suggested as a means to educate patients about plaque control and promote ongoing oral care.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General and Pregnant Women's Dentifrices on the Removal of the Dental Plaque

  • Kim, Ye-Eun;Ko, Seong-Eun;Sa, Da-Eun;Lee, Ji-Eun;Jeon, Se-Yoon;Lim, Do-Seon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45-251
    • /
    • 2020
  • Background: This study trie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moval effect of dental plaque of general dentifrice and pregnant women's dentifrice and quantify the results to provide basic data so that consumers can make reasonable choices when purchasing dentifrice, and also increase interest in the dental plaque. Methods: After forming a dental plaque (carbohydrate porridge) on the labial surface of the bovine teeth, a disclosing agent was applied. Then the same experimenter brushed the surface of the bovine teeth using an electric toothbrush and took photographs using a DSLR camera. Thereafter, the residual amount of dental plaque was analyzed using the ImageJ program, and SPSS 26.0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Results: The average residual amount of dental plaque using the general dentifrice was 11.71% for Perio, 9.45% for Cliden, and 8.47% for 2080, and the average residual amount for the three types was approximately 9.88%. The average residual amount of dental plaque of pregnant women's dentifrice was 13.95% for Jeninmothers, 12.53% for Tntnmoms, and 12.63% for Mommiracle, and the average residual amount of the three types was approximately 13.04%. On comparing the average residual amount of dental plaque between general and pregnant women's dentifrices, it was observed to be 3.16% higher for the latter. However, th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moval effects of general dentifrice and pregnant women's dentifrice. In addition, when a pregnant woman uses the right toothbrushing method with pregnant women's dentifrice, it can prevent or inhibit the progression of the gestational periodontal disease. Therefore, we recommend pregnant women to use pregnant women's dentifrices.

치면세균막관리와 구강보건교육에 관한 국내문헌고찰 (Reviews of Literature on Dental Plaque Control and Oral Hygiene Education in Korea)

  • 최문실;김동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7-98
    • /
    • 2017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5년까지의 기간 동안 국내에서 PMPR과 구강위생교습을 시행한 문헌 22편을 대상으로 아동과 성인의 구강위생관리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연구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자료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PMPR을 하는 데 있어서 1~2주 간격으로 4~5번의 방문이 가장 효과적이고, 구두교육이나 모형교육보다는 치면착색제를 사용하고 OHE와 전문가 칫솔질, 치면세마, SRP 등을 병행하여 환자의 특성에 맞춰 반복적인 교육을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실제 임상적으로 치주와 부착수준의 개선됨을 확인함으로써 환자 구강의 특성에 맞는 규칙적인 프로그램과 정기적인 일정으로 반복적 PMPR이 필요하다. 분석에 포함된 PMPR, 칫솔질 교습의 중재효과에 대하여 구강위생관리 효과가 큰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구강건강을 증진하고 유지하는 데 가장 필수적인 요소로 OHE와 함께 시행되면 구강건강 증진과 향상에 도움이 된다. 최근 시행되는 성인대상 치석제거술의 건강보험 급여제도와 더불어 교육수행에 관련해서도 급여범위에 포함이 된다면 구강병 발생이 감소되고 건강보험 재정에도 도움이 되어 국민구강증진에 더욱 시너지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속적으로 복지정책에 필요한 근거중심의 체계적인 연구가 시행될 수 있도록 기초적인 자료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을 이용한 치면세균막 검사법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 평가 (Assessment of Clinical Applicability of a New Plaque Scoring System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 황혜림;조영식;김백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0-15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임상에서 염색제를 사용한 치면세균막검사와 periodental probe를 사용한 치은지수 평가방법대신 새로운 디지털 형광 장비인 QLF-D를 이용한 검사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염색제를 이용하여 치면세균막지수를 산출하여 연구 대상자를 위험군별로 구분하여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QLF-D score와 전체 및 전치부 치면세균막지수, 치은지수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정상치은과 치은염에 따른 QLF-D score를 비교하였고, 각 QLF-D score에 따른 치면세균막지수와 치은지수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연구대상자의 염색제를 이용한 평균 치면세균막지수는 $42.28{\pm}17.90$이었고, 6개의 선택치아의 치은지수는 $1.05{\pm}20.38$로 나타났으며, QLF-D score는 $1.26{\pm}1.50$이었다. 상하악전치부 QLF-D score와 치면세균막염색을 이용하여 평가한 전치부 치면세균막지수의 상관 분석 결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r=0.638, p<0.001). 또한 상하악 전치부 QLF-D score와 periodontal probe를 이용한 치은지수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두 가지 평가 지표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562, p<0.001). 치면세균막지수와 치은지수에 따른 QLF-D score의 차이를 저위험군과 고위험군으로 분류하여 비교한 결과, 치면세균막지수(p<0.0001)와 치은지수(p=0.007) 모두 저위험군에 비해 고위험군 집단에서 QLF-D score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QLF-D score에 따른 치면세균막지수 및 치은지수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 QLF-D score가 증가할수록 두 가지 지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p<0.0001).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QLF-D로 치면세균막을 평가함으로써 치은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임상 현장에서 QLF-D를 활용한다면, 비교적 간편하게 구강 이미지를 획득하고 구강 상태를 점수화하여 제시함으로써 술자의 진단 절차가 간편해지고 환자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QLF-D를 이용한 장애 아동 보호자의 구강위생관리 교육 : 증례보고 (PARENTS EDUCATION OF ORAL HYGIENE USING QLF-D IN PATIENTS FOR SPECIAL HEALTH CARE NEEDS)

  • 임소영;이고은;최병재;이제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9-103
    • /
    • 2017
  • 본 증례는 Pallister-Killian 증후군 및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이 있는 환자의 보호자에게 구강위생 관리 교육 및 동기부여를 시행하기 위한 방법 중 QLF-D를 사용한 경우이다. 치과치료에 대한 접근성이나 협조도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 아동에서 치아 우식의 조기탐지 및 회복에 대한 객관적인 진단 장비, 보호자 교육 및 동기부여에 대한 효과적인 시각적 교육 자료로서 QLF-D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구강 건강 증진을 통한 장애 아동의 삶을 질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