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protein source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34초

솔장다리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Salsola collina Ethanol Extract)

  • 진경숙;이수현;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888-895
    • /
    • 2017
  • 솔장다리(S. collina)는 건조한 대지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한해살이 식물로 한방에서는 고혈압의 치료에 사용되어왔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솔장다리가 보유한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밝힌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솔장다리 에탄올 추출물(SCEE)의 항비만 활성을 췌장 lipase 효소 활성 억제능과 세포실험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SCEE는 농도 의존적으로 lipase 효소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켰으며, 3T3-L1 preadipocyte를 이용하여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 생성된 지방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방세포 분화, 세포 내 지방 축적, TG 함량 등을 독성 없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을 유의적으로 분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솔장다리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은 핵심 작용 인자인 $C/EBP{\alpha}$, $C/EBP{\beta}$, 그리고 $PPAR{\gamma}$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조절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솔장다리가 보유한 췌장 lipase 활성 저해능,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 지방세포 내 지방 분해능, 지방분화관련 인자 신호전달기전 조절을 통한 항비만 활성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성 물질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포도씨 지방질의 분획정량과 이화학적 특성 (Quantific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ape Seed Lipids)

  • 이선화;김종범;강한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3호
    • /
    • pp.173-178
    • /
    • 2001
  • 본 연구는 포도씨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식용유지 자원 등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우수자원을 발굴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포도씨의 전체 영양 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은 10.1%, 조단백질 11.7%, 조지방질 29.7%, 조회분 2.53%, 및 총 당 4.38 ${\mu}g/mg$, 환원당 3.96 ${\mu}g/mg$ 등의 평균함량을 나타내었다. 지방산 조성은 리놀렌산이 가장 많아 평균 66.15%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을레인산>팔미트산>스테아르산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고 리놀레닉산은 아주 적은 량을 함유하고 있었다. 중성지방질의 평균 함량은 85.4%, 당지방질은 6.50%, 그리고 인지방질은 8.06%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포도씨 지방질은 중성지방질의 주성분에 인지방질과 당지방질이 소량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포도씨 조지방질의 평균 검화가는 187.5을 나타내 들깨 기름 보다는 낮고 참깨 기름 보다는 높은 검화가를 나타내었다. 포도씨 기름의 항산화력이 참깨 또는 들깨씨 기름보다 우수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DPH) 환원 능력에 있어서 각각 12 및 50% 높은 항산화 능력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물질과 페놀 함량에 있어서 참깨유 또는 들깨유보다도 많은 량을 함유하고 있다. 암흑 또는 햇빛 보관 조건에 관계없이 포도씨 기름이 참깨나 들깨 보다 낮은 산패도를 나타내고 있어 상당히 높은 산화 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150^{\circ}C$ 열처리를 가한 다음 산패도를 측정하였을 때도 포도씨 기름은 이들보다도 낮은 산패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우수한 산화 안정성은 포도씨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물질과 관계가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토종 갓끈동부의 ITS1, 5.8S 및 ITS2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 분석 (Phylogenetic Analysis of Native Vigna sinensis in Korea Using DNA Sequence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 서필수;이숙영;신용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51-354
    • /
    • 2017
  • 본 연구에서 밝혀진 갓끈동부의 ITS1, 5.8S 및 ITS2의 염기서열은 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의 GenBank에 Vigna sinensis AY195581로 등록하였다. ITS1, 5.8S 및 ITS2의 총 염기서열 507 염기서열을 이용한 Vigna sinensis (AY195581)의 분자계통분석에서 Vigna unguiculata 및 그 아종들과 98~100% 범위의 염기서열 상동성을 보였다. Vigna unguiculata는 계통분석에 이용된 다른 종들로부터 독립된 하나의 cluster로 그룹핑(grouping)이 됨을 확인하였다. 본 계통분석은 Vigna unguiculata가 Vigna 속의 다른 종에 비해 비교적 최근에 분화되었으며, 현재 유전적인 변화가 많이 일어나고 있음 보이고 있다. 또한, Vigna 속, Vigna longifolia, Vigna vexillata, Vigna membranacea, Vigna friesiorum, Vigna monophylla, Vigna schimperi, Vigna nigritia, Vigna lasiocarpa, Vigna trichocarpa, Vigna diffusa의 다른 종들과 비교하여 유전적으로 독립적인 종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Vigna sinensis의 ITS1, 5.8S 및 ITS2를 이용한 계통분석은 Vigna sinensis를 Vigna unguiculata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보여진다. 본 종은 국내에서 멸종된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토착 식물로써 발견되었고 이 갓끈동부의 관련 식물 종들과의 분자계통학적 위치를 명확히 밝힘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케나프 신육성 및 수집 품종의 생육과 사료적 특성 조사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Kenaf (Hibiscus cannabinus L.) Varieties as a Potential Forage Crop)

  • 이지연;벨루사미 비제야난드;구자룡;하보근;김동섭;김진백;김상훈;강시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32-13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섬유작물인 케나프의 가축 사료용으로 이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개발한 신품종 장대와 다른 품종들(옥수, C12, C14-DRS)에서 생육특성과 유용물질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돌연변이 신품종 장대가 다른 대조품종들보다는 생육이 좋았는데 특히 생체중, 건물중, 줄기직경, 마디 수에서 대조품종들보다 1.6~3.1배 가량 높은 생육 특성을 보였다.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장대의 줄기에서 가장 높았으며, 잎에서는 가장 적게 나타났다. 줄기의 조섬유와 조회분 함량은 계통들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잎의 조섬유 함량은 C14-DRS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장대가 높았다. ADF함량은 옥수의 줄기와 잎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NDF는 장대의 줄기와 잎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폴리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옥수, C12, 장대, C14-DRS순으로 나타났다.

하늘타리(Trichoxanthes Kirilowii)의 자원화(資源化)에 관한 기초(基礎) 연구(硏究)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Trichoxanthes Kirilowii Root Starch)

  • 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1호
    • /
    • pp.59-66
    • /
    • 1981
  • 전분함량이 높은 야생식물(하늘타리)의 자원화를 위한 기초적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종자파종시 생육기간이 길수록 뿌리무게와 전분함량의 증가가 급격하였으며, 시기별 전분함량은 $36.5{\sim}48.0%$(건물량)으로 타 전분원료에 비하여 변화가 적었으며 3년후부터 연중 채취 가능하며 유휴지를 활용 장기적 원료공급을 할 수 있다. 2. 자생지(自生地自) 토양(土壤)은 감귤원 토양에 비해 유기물 및 전질소함량이 많으나 유효인산, K, Ca, Mg등 무기물함량이 적었다. 3. 전분제조시 원심분리법(3,000 rpm, 20 min)이 가장 수율이 높았고, pH조절 및 제단백처리한 전분의 품질이 우수하였으며 tank침전법에 의한 고구마전분 분리와 동일한 공업적 제조방법으로도 양질(良質)의 전분을 얻을 수 있었다. 4. 전분입자의 외형은 비교적 둥근 모양으로 직경이 대부분 $5{\sim}16{\mu}$범위였으며 입자의 비중은 1.535였으며 X-선 회절법에 의한 결정구조는 B형 이었다. 5. Amylose함량은 26.7%, blue value는 0.46, 인은 34mg%를 함유하고 있었다. 6. Ostwald점도계법에 의한 호화온도는 $60{\sim}61^{\circ}C$였으며, 호화온도는 $63.5^{\circ}C$로 다른 전분에 비하여 낮았고 점도는 높았다. 7. 요오드정색도는 $570m{\mu}$에서 극대 파장을 나타내었고 전분풀의 저온저장시에 매우 안정성을 가지고 있었다.

  • PDF

구절초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 (Antiobesity Activity of Chrysanthemum zawadskii Methanol Extract)

  • 박정애;진경숙;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9-306
    • /
    • 2015
  •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항산 화, 항염증, 항균 등의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으나 항비만 활성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구절초 메탄올 추출물(CZME)의 항비만 활성을 췌장 lipase 효소 활성 억제능과 지방세포분화 및 지방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CZME는 농도 의존적으로 lipase 효소 활성을 억제시켰으며, insulin, dexamethasone, 3-isobutyl-1-methylxanthine (MDI)로 분화를 유도한 3T3-L1 preadipocyte를 이용하여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방세포 분화, 세포 내 지방 축적, TG 함량 등을 독성 없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 하였다. 이러한 구절초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은 핵심 작용 인자인 C/EBPα, C/EBPβ, 그리고 PPARγ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조절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MDI로 분화를 유도한 3T3-L1 preadipocyte에서 생성된 지방의 분해능을 분석한 결과 지방세포 분화 억제뿐만 아니라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또한 유의적으로 분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절초가 보유한 췌장 lipase 활성 저해능,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 지방세포내 지방 분해능을 통한 항비만 활성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성 물질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콩 삶은 물을 첨가한 청국장 제조시 항산화활성 및 관련 성분들의 변화 (Changes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Related Compounds on the Chungkukjang Preparation by Adding Drained Boiling Water)

  • 이경희;류승희;이영순;김영만;문갑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3-170
    • /
    • 2005
  • Soybean is an important plant as the source of protein and oil, as well as phytochemicals such as genistien, daidzein, phenolic acids, phytic acid, tocopherol, and saponin. Chungkukjang, a fermented soybean paste, is common in Korean meals and bacillus is usually used in the fermentation of steamed soybean. For its processing, whole soybeans are boiled in water until the beans are soft, and then the drained beans are wrapped with rice straw or starter and set in a warm place at $65^{\circ}C\;for\;3\;\~\;4\;days$. Normally, the remaining cooked water which was drained from the steamed beans is discarded. We supposed that this water possesses hish amounts of useful components, and we therefore developed a modified method using the cooked water. After fermentation, we added the remaining cooked water which had been drained from the beans to the fermented soy beans and boiled them together. To investigate the bio-functionality of the modified Chungkukjang, the total antioxidative activity, isoflavones contents, phenolic acids, and 3-deoxyglucosone (3-DG) were measured at each stage of the preparation of chungkukjang. The original and modified chungkukjang possessed a high antioxidative activity compared with the other samples, as did the drained water after steaming of the soybean. The contents of genistein, daidzein, and phenolic acids, which contained antioxidative activity, were also increased in the original chungkukjang and their contents were similar in the modified chungkukjang. The content of 3-DG was increased in the modified chungkukjang compare with the original. It is suggested that the active soybean components delivered to the drained water during the steaming process were useful for increasing the bio-functionality of the modified chungkukjang.

익모초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Leonurus japonicus Houtt. on LPS-induced RAW 264.7 Cells)

  • 최유나;최유경;난리;추병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59-677
    • /
    • 2020
  • 본 실험에서는 익모초 지상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여 건강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 환원력,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통해 익모초의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400 ㎍/mL, 1500 ㎍/mL의 농도에서 57.8%, 62.3%의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고 환원력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 mg/mL의 농도에서 각각 51.40 ± 0.47 mg of gallic acid equivalents/g, 73.28 ± 0.10 mg of rutin equivalents/g로 나타났으며, 익모초 추출물은 세포 내 ROS의 생성 억제에 있어서 유의적인 효과를 보였다. 익모초의 항염증 효과를 측정한 결과, LPS로 자극해 활성화된 RAW 264.7 cell에서 익모초 추출물(0~400 ㎍/mL)의 세포 독성은 없었으며 LPS 처리로 유도된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도 농도의존적으로 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NO 발생량은 LPS 처리군과 비교해 익모초 추출물 처리 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400 ㎍/mL에서는 90.3%로 NO의 생성이 억제되었다. 염증성 cytokine (TNF-α, IL1-β)의 생성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NO를 생성하는 염증성 단백질 iNOS의 발현 또한 억제되었으며 이와 같은 염증성 단백질의 전사를 조절하는 NF-κB (NF-κB, IκB-α) 및 MAPK (ERK, p38)의 인산화 및 활성화 또한 익모초 추출물 처리로 인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익모초 추출물은 NF-κB signaling pathway 및 ERK/p38 MAPK cascade pathway의 조절을 통해 염증성 단백질 및 염증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킨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익모초 지상부 에탄올 추출물은 천연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될 가능성이 있으며, 본 연구 결과는 익모초의 고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성서에 언급된 채소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getables Mentioned in the Bible)

  • 우자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
    • /
    • 2007
  • This paper is intended to study what kinds of the vegetables are mentioned in the Bible and how they were used in those days. While one hundred and twenty-eight different plants are mentioned in the Bible, there are today 2,384 plant species in modem Israel, most of which have been introduced in recent centuries. These plants obviously did not exist there in biblical times and were only recently introduced from Australia and South America, respectively. This article will study only the vegetables mentioned in the Bible and known to have existed in the old and new testament times. Since the first book devoted exclusively to biblical botany was that of Levinus Lemmens in 1566, the modem systematic study of biblical plants, began with F. Hasselquist, a student of Linnaeus, the founder of modem botany. In 1928, Immanuel Loew approached the subject differently, reviewing all known data pertaining to biblical plants. His work not only discussed biblical plants, but also plants in later Jewish literature, particularly the Talmud. The British scholar G. E. Post provided a broad field study of modem plants in Palestine, Syria, Lebanon, and Jordan. More recent major treatments of the subject include those of A. and H. Moldenke (1952), M. Zohary (1982), N. Hareuveni (1984), and Y. J. Choi(1996). Today, articles on specific biblical plants listed in the Bible can be found in any number of encyclopedias.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 synthesis of the work of a number of scholars who studied the vegetables and plants mentioned in the Bible. As a preliminary study on the culture of food in the biblical period,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identity and features of the vegetables of the Bible. In only a limited number of instances, because of the paucity of the informations and the broad and generic descriptions of the plants, we can't be certain about the identification of the vegetables named in the Bible. In many instances the traditions established by the Greek, Aramaic, and English translations are helpful, although sometimes they are misleading. This paper subdivides the vegetables into broad areas, the general vegetables and the flavoring herbs. Vegetables formed very important part of the diet in the biblical times. Two main types were used: those whose nutritious seeds could be easily stored and those which were eaten freshly gathered from gardens. Pulse seeds provided a useful source of vegetable protein, while fresh green vegetables were vitamin rich. Pulses could be eaten boiled, or their dried seeds could be ground up into flour and then made into nutritious soups. Fresh vegetables were eaten either raw or lightly cooked, usually by boiling in water. The general vegetables in the Bible are herbs(garden rocket), cucumber(snake cucumber), watermelon, leeks, chicory, and onions. Also the flavoring herbs in the Bible are rue, dill, cummin, black cummin, frankincense, cinnamon, cassia, myrrh, black mustard, coriander, mint, saffron, ginger grass, syrian hyssop, aloes(eagle wood), manna which have the flavor, aroma, and medical values.

인공지능 기반 콩 생장분석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oybean Growth Analysis Method)

  • 전문석;김영태;정유석;배효준;이채원;김송림;최인찬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1-14
    • /
    • 2023
  • 콩은 세계 5대 식량작물 중 하나로 식물성 단백질의 주요 공급원이다. 작물 특성상 기후변화에 따라 곡물 생산량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국립농업과학원에서는 콩 품종별 생장 분석을 통해 작물표현형 연구를 진행중이다. 콩 품종별 생장 분석을 위한 생장 과정 사진 촬영은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이루어지지만 생장 상태를 확인, 기록, 분석하는 과정은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자동화 할 수 있도록 콩 작물의 영상 데이터에서 콩잎 객체를 검출하는 YOLOv5s 모델과 검출된 콩잎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는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모델을 설계, 학습하였다. 두 모델을 결합하고 검출된 콩잎의 좌표데이터로 층을 구분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콩 작물의 시계열 데이터를 입력하여 생장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그 결과 콩 작물의 제2~3복엽까지 생장 시기를 판단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