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Regulator

검색결과 454건 처리시간 0.103초

Peace 포플러(Populus koreana X P. trichocarpa)의 줄기형성에 미치는 Thidiazuron 효과 (Effect of TDZ (Thidiazuron) on Shoot Proliferation of Peace Poplar)

  • 강호덕;문흥규;박인선;이민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49-53
    • /
    • 2004
  • 기공이 잎의 앞뒤 양면에 존재하는 생리ㆍ형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외래 교잡종인 Peace (Populus koreana ${\times}$ P. trichocarpa)포플러의 효율적인 기내증식법을 개발하고자 액아와 엽육 절편을 이용하여 기내배양을 실시하였다. 몇 종류의 배지 시험을 통해 1/2MS배지를 적정배지로 선정할 수 있었고, 이 배지에 TDZ를 처리하여 multiple shoot 및 adventitious shoot유도 효과를 조사하였다. 절간액아 및 엽육을 절편으로 TDZ의 농도별 처리로 배양 2주 후부터 multiple shoot 및 adventitious shoot가 유도되었으며 절편 및 TDZ처리 농도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액아로부터는 TDZ 처리로 절편당 5-7개의 multiple shoot가 유도된 반면 엽육 절편에서는 2-5개의 adventitious shoot가 유도되었다. 한편 부정아로부터 정상적 인 줄기의 성장에 있어서도 절편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는 저농도의 TDZ의 처리로 peace포플러의 액아 혹은 엽육 절편의 기내배양을 통해 대량증식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Effects of Flavonoid-rich Plant Extracts on In vitro Ruminal Methanogenesis, Microbial Populatio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 Kim, Eun T.;Guan, Le Luo;Lee, Shin J.;Lee, Sang M.;Lee, Sang S.;Lee, Il D.;Lee, Su K.;Lee, Sung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4호
    • /
    • pp.530-537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 vitro effects of flavonoid-rich plant extracts (PE) on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emission by studying their effectiveness for methanogenesis in the rumen. A fistulated Holstein cow was used as a donor of rumen fluid. The PE (Punica granatum, Betula schmidtii, Ginkgo biloba, Camellia japonica, and Cudrania tricuspidata) known to have high concentrations of flavonoid were added to an in vitro fermentation incubated with rumen fluid. Total gas production and microbial growth with all P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at 24 h incubation, while the methane emission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decrease in methane accumulation relative to the control was 47.6%, 39.6%, 46.7%, 47.9%, and 48.8% for Punica, Betula, Ginkgo, Camellia, and Cudrania treatments, respectively. Ciliate populations were reduced by more than 60% in flavonoid-rich PE treatments. The Fibrobacter succinogenes diversity in all added flavonoid-rich PE was shown to increase, while the Ruminoccocus albus and R. flavefaciens populations in all PE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particular, the F. succinogenes community with the addition of Birch extract increased to a greater extent than that of other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lavonoid-rich PE decreased ruminal methane emission without adversely affecting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vitro in 24 h incubation time, suggesting that the flavonoid-rich PE have potential possibility as bio-active regulator for ruminants.

유럽낙엽송의 형성층조직 배양으로부터 줄기의 재분화 (Shoot Regeneration from Cambial Tissue Culture of European Larch (Larix decidua))

  • SHIN, Dong Ill;SUL, Ill-Whan;PARK, Young Goo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351-355
    • /
    • 1997
  • 3년생 유럽낙엽송의 실생묘로부터 형성층조직을 분리하여 부정아를 유기하였다. BLG배지에 4.5$\mu$M의 BA가 첨가된 배지에서 형성층 절편체 당 약 25개의 부정아가 형성되어 시험된 여러 가지 BA와 NAA농도 중 최고의 발생율을 보였다. 유기된 부정아는 1/2 GD배지와 LMG배지에서 10주 후 약 2.5cm의 신장을 보였다. GD배지에서는 이보다 낮은 약 1,8cm의 신장을 나타내었다. 발근은 NAA가 $0.54\;\mu\textrm{M}$ 함유된 1/2 GD배지에 2주간 배양하였을때 20% 정도 나타났다. 발근된 shoot들은 NAA가 함유되지 않은 1/2 GD 배지에서 뿌리를 신장시킨 후 온실로 옮겨져 순화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 그동안 낙엽송의 조직배양시료로 사용되지 않았던 형성층 조직의 뛰어난 형태형성능을 보여줌으로써 기내 급속대량증식 뿐 아니라 향후 낙엽송의 체세포 변이주선발이나 형질전환 및 그와 관련된 연구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식물생장조절제처리가 대두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TIBA, ABA, DGLP) Treatment on Growth and Seed Yield of Soybean (Glycine max L.))

  • 정일민;김기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6
    • /
    • 1989
  • 추대두형품종을 조파 또는 적파 재배하여 개체당 생육량을 증대시키면서 건실한 생육을 유동하기 위하여 생장조절제를 처리하였을 때 이들이 콩의 생육 및 수량형질에 영향하는 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파할 경우 적파에 비하여 주경절수, 분기수, 협수, 100립량 등의 형질들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a당 수량도 8% 증가했다. 2. TIBA 또는 ABA 처리는 경장단축, 경직경증대 및 도복경감 등 건실한 생육을 유도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결협률 주당입수를 증대시켜 종실수량이 6% 이상 증가하였다. 특히 TIBA 처리에 의해서는 12%의 수량이 증대되었다. 3. 생장조절제 처리횟수에 있어서는 6엽기에서부터 5일 간격으로 2∼3회 처리하는 것이 건실한 생육을 유도하여 수량이 증대되었으며 3회 처리구에서는 도복경감, 결협률 및 천립량 증대효과가 크게 나타나 16%의 수량이 증대되었다. 4. 본 실험에 사용한 생장조절제 중에서느 TIBA의 효과가 가장 좋아서 조파구나 적파구에서 모두 TIBA 3회 처리구에서 20% 이상의 수량이 증대되었다.

  • PDF

CND41, a DNA-binding protein in chloroplast nucleoid, and its function

  • Sato, Fumihiko;Murakami, Shinya;Chatani, Hiroshi;Nakano, Takeshi
    • 한국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학회 1999년도 제13회 식물생명공학심포지움 New Approaches to Understand Gene Function in Plants and Application to Plant Biotechnology
    • /
    • pp.51-56
    • /
    • 1999
  • Plastids, which are organelles unique to plant cells, bear their own genome that is organized into DNA-protein complexes (nucleoids).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in the plastid has been extensively investigated because this organelle plays an important role in photosynthesis. Few attempts, however, have been made to characterize the regulation of plastid gene expression at the chromosomal structure, using plastid nucleoids. In this report, we summarize the recent progress in the characterization of DNA-binding proteins in plastids, with special emphasis on CND41, a DNA binding protein, which we recently identified in the choloroplast nucleoids from photomixotrophically cultured tobacco cells. CND41 is a protein of 502 amino acids which consisted of a transit peptide of 120 amino acids and a mature protein of 382 amino acids. The N-terminal of the 'mature' protein has lysine-rich region which is essential for DNA-binding. CNA41 also showed significant identities to some aspartyl proteases. Protease activity of purified CND41 has been recently confirmed and characterized. On the other hand, characterization of accumulation of CND41 both in wild type and transgenic tobacco with reduced amount of CND41 suggests that CND41 is a negative regulator in chloroplast gene expression. Further investigation indicated that gene expression of CND41 is cell-specifically and developmentally regulated as well as sugar-induced expression. The reduction of CND41 expression in transgenic tobacco also brought the stunted plant growth due to the reduced cell length in stem. GA3 treatment on apical meristem reversed the dwarf phenotype in the transformants. Effects of CND41 expression on GA biosynthesis will be discussed.

  • PDF

인삼 (Panax ginseng C.A. Meyer)의 기내 화아형성 빈도와 cytokinin 구조와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in vitro Flowering Frequency and the Structure of Cytokinins i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 이행순;김윤성;권석윤;곽상수;유장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9-113
    • /
    • 1999
  • 인삼의 기내 화아형성과 cytokinin과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접합자배, 유식물체, 자엽마디 절편체를 cytokinin(BA, kinetin, 2-iP, zeatin) 5 $\mu$M 단독 혹은 GA$_3$ 5 $\mu$M와 함께 MS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화아형성은 재료에 관계없이 BA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kinetin, 2-iP, zeatin 순으로 나타났다. Cytokinin과 GA$_3$를 함께 첨가한 경우에는 특히 자엽마디 절편체 재료에서 화아형성 빈도가 현저히 증가하여 BA와 함께 처리하였을 때는 100% 화아형성을 나타내었다. 사용한 cytokinin은 adenine 기본골격과 다양한 측쇄구조 (-R)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측쇄구조의 분배계수 (logP)가 인삼의 기내 화아형성과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어 cytokinin류의 지용성이 화아형성에 중요하게 관여함이 시사되었다.

  • PDF

芍藥(Paeonia lactiflora Pall.)의 子葉組織으로부터 體細胞胚發생을 통한 식물체 獲得 (Plant Regeneration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from Cotyledon of Herbaceous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 신종희;손재근;김경민;박소득;김규원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91-294
    • /
    • 1997
  • 작약의 체세포 조직배양에 의한 기내증식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완숙종자의 접합자배를 배양하여 얻어진 유묘의 자엽으로부터 체세포 배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요인에 대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양부위에 관계없이 2,4-D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높은 캘러스 형성률을 나타내었지만 체세포배는 발생되지 않았다. 그러나 2,4-D를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 자엽을 배양했을 때는 경우는 27.2%의 체세포배발생률을 나타내었다. NH$_4$NO$_3$가 3.3g/L첨가된 배지에서 접합자배배양으로 얻은 자엽을 NH$_4$NO$_3$1.65 g/L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체세포배발생률이 80.0%로 가장 높았다. 탄소원의 경우, 30~40 g/L의 sucrose나 40 g/L의 fructose가 참가된 배지에서 체세포배발생률이 높았다. 자엽은 15~30일 간격으로 3~9회 새배지로 이식한 것이 39.6~41.4%의 높은 체세포배발생률을 나타내었으며, 자엽에서 얻어진 체세포배는 0.3 mg/L의 GA$_3$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할 경우 39%의 상배축신장율을 나타내었다. 체세포배에서 발아한 유묘의 상배축휴면 타파를 위해서는 4$^{\circ}C$에서 3주 이상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 PDF

Efficient Micropropagation of Pear Germplasm Using Soot Tips and Nodal Explants

  • Yi, JungYoon;Lee, GiAn;Chung, JongWook;Lee, YoungYi;Gwag, JaeGyun;Lee, Seok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90-696
    • /
    • 2015
  • We micropropagated pear (Pyrus species) using shoot tips and nodal explants from three pear genotypes. The ability to establish shoot tip cultures, proliferate shoots, induce rooting, and acclimatize the resulting plantlets are all elements of in vitro micropropagation. Shoots were induced from shoot tips on Murashige and Skoog medium (MS) with five different plant growth regulator combinations. The highest shoot formation rates were achieved for the three genotypes using MS supplemented with 1.0 mg/L N6-benzyladenine (BA) and 0.1 mg/L gibberellic acid (GA3). The maximum shoot number and shoot length for the three cultivars were recorded with 2.0 mg/L BA and 0.2 mg/L indole-3-butyric acid (IBA) in multiplication medium using nodal explants produced from microshoots. Nodal explants with one or two axillary buds cultured for three weeks initiated roots on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1-naphthaleneacetic acid (NAA) or/and IBA in half-strength MS medium for adventitious rooting. The highest rooting response was with the combination of 0.2 mg/L NAA and 0.2 mg/L IBA. A combination of NAA and IBA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ooting ratio over NAA or IBA alone. In this medium, the root formation rate according to ranged from 68.9% for the BaeYun No. 3 genotype to 51.8% for the Hwanggeum genotype. We also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concentration the polyamine phloroglucinol in rooting medium. For all three genotypes, the highest rooting ratio, longest root length, and greatest root number were observed in the treatments with 75-150 mg/L phloroglucinol. Most rooted plants were acclimatized successfully.

애기장대 AtPGR 단백질의 병 저항성에 관한 생리적 특성 분석 (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n AtPGR from Arabidopsis Involved in Pathogen Resistance)

  • 정문수;김철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295-1300
    • /
    • 2011
  • 식물체에서 당 조절 인자의 병 저항성 생리적 특성을 살펴보길 위하여, 원형질막에 존재하는 glucose 조절인자인 애기장대 AtPGR 유전자의 과발현 및 RNAi 형질전환체를 사용하였다[3]. AtPGR 유전자는 병원균 처리에 의하여 전사 발현양이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JA와 SA 처리 시에도 AtPGR 전사 발현양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과발현 형질전환체를 이용하여 병 저항성을 살펴본 결과, AtPGR 유전자는 병원균에 대해 저항성을 유도함을 알수 있었다. 또한 병원균 유도 증가 유전자로 알려진 PDF1.2 및 PR1 유전자 발현 양상을 qPCR을 통해 살펴본 결과, AtPGR 유전자는 PDF1.2 유전자를 SA 경로 하에서는 증가시키는 반면, JA 경로 하에서는 발현 증가량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내었고, PR1 유전자의 발현은 JA 경로를 통해 조절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AtPGR 유전자는 glucose 뿐만 아니라 병원균 반응에도 관련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옥수수 R-mb 유전자의 유전분석과 그의 구조 (Genetic and molecular analysis of the R-mb gene from maize)

  • 윤필용;유삼규;송원용;윤충효;임용표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61-165
    • /
    • 1997
  • 옥수수의 색소합성을 조절하는 pattern allele의 하나인 R-mb유전자의 구조와 유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R-mb 유전자의 유전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검토하여 볼 때 후대로 진행됨에 따라 색소 발현빈도_의 감소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R-mb 유전자가 몇 개의 R subcomplex로 존재하는가를 알기 위해서는 우선 R specific probe인 pR-nj:1를 이용하여 Southern blot hybridization을 실시한 결과 약 3.9kb 및 약 7.75kb영역에서 2개의 band가 관찰되었다. R-mb 유전자를 클로닝하기 위하여 λFIXIIvector를 이용하여 library를 만들고 이로부터 mb-II, III, V, Ⅵ, Ⅶ 등 5개의 clone을 3차의 screen을 거쳐 확보하고 이중 mb-II 및 mb-Ⅵ를 중심으로 제한효소지도를 작성하였으며, 이 유전자의 구조와 기타 R locus관련 유전자들과 비교하였으며, 이러한 두 개의 R 요소가 어떻게 색소발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에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