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ktonic larva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4초

보성 연안해역에서 꼬막과 새꼬막 부유유생 출현의 변화 (Changes in planktonic bivalve larvae of Tegillarca granosa and Anadara kagoshimensis in the Boseong coastal waters of South Korea)

  • 김현정;강준수;정승원;박용주
    • 환경생물
    • /
    • 제37권3호
    • /
    • pp.351-361
    • /
    • 2019
  • 이매패류의 부유유생은 성패(양식자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부유유생의 출현시기 및 출현량에 관한 연구는 자연 채묘량의 증대와 인공종묘의 생산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보성 연안에서 총 21종의 이매패류 부유유생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구마모토굴(M. sikamea), 왜홍합(X. atratus), 종밋(M. senhousia), 참굴(M. gigas), 가리맛 조개(S. constricta), 새꼬막(A. kagoshimensis), Kurtiella aff. bidentata 그리고 꼬막(T. granosa)이 중요 부유유생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보성 연안해역의 주요 수산자원인 새꼬막(A. kagoshimensis)과 꼬막(T. granosa)은 각각 이매패류의 0.51~12.50% (평균 4.00%), 0.01~12.50% (평균 1.92%)의 구성비율을 차지하며 다른 이매패류보다 낮은 출현량을 보였다. 꼬막(T. granosa)과 새꼬막(A. kagoshimensis)의 부유유생은 6월부터 9월까지 관찰되었으나, 각각 8월 초와 8월말에 가장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물렁가시붉은새우(Pandalopsis japonica) 부화유생 사육을 위한 영양강화 알테미아, 바지락살 및 배합사료의 공급 효과 (Effects of Three Diets on the Larval Growth of Pandalid Shrimp Pandalopsis japonica)

  • 권오남;임매순;박기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562-566
    • /
    • 2014
  • Larvae of pandalid shrimp Pandalopsis japonica are benthic, and may prefer bottom to planktonic food items. Three diets, enriched Artemia meta-nauplii (AR), clam meat (CM), and crumbled shrimp (CD), were evaluated as food for early larvae in terms of biometric growth R:D ratios. Larvae fed AR and CM had significantly greater total length and dry weight than did larvae fed CD (P<0.05). Survival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larvae fed CM than in those fed AR and CD (P<0.05). R:D ratios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larvae fed AR and CM than in those fed CD (P<0.05). Planktonic Artemia meta-nauplii containing high levels of fatty acids and amino acids were not suitable for either normal somatic growth or survival at early benthic larval stag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optimal feeding duration to increase digestibility of AD. Thus, we propose that clam meat is the best diet for pandalid shrimp larvae.

Venezuela국 Cocineta호산 Mangrove oyster의 채묘시기 (On the Seedling Time of the Mangrove Oyster, Crassostrea rhizophorae, in the Lagoon of Cocineta in Venezuela)

  • 류성규;조창환;유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81-285
    • /
    • 1976
  • 1976년 2월부터 5월까지 사이에 Venezuela국 서북부에 있는 Cocineta호산 굴의 채묘시간에 대하여 조사했다. 수분 함량 중 개체간의 수분 함량 범위는 2월에서 부터 5월로 되면서 차차 넓어졌고, 월별 수분 함량의 평균 값은 그 범위가 $80.67\~82.25\%$로서 큰 차가 없었다. 성숙 부유 유생 및 출현수로부터 채묘 시기로서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시기는 4월 하순에서 5월 상순 사이이고 채묘 장소로서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곳은 station 3이었으며 그 다음이 station 4였다.

  • PDF

Incubation Time Required for Hatching,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 of Life Related with Total Numbers of the Suckers on Each Short Arm of the Hatched Juvenile Larvae of Octopus ocellatus (Cephallopoda: Octopodidae), in Western Korea

  • Kim, Sung Han;Jun, Je-Cheo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3-139
    • /
    • 2016
  • The incubation time required for hatching of O. ocellatu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processes of egg and embryonic developments by the dissecting microscopic and visual observations. And differences i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lankton mode of life or the benthic mode of life according to total numbers of the suckers on each short arm of the hatched juvenile larvae of O. ocellatus were studied by comparisons with other octopodidae species. Compared with the recent a few results reported by other researchers associated with the incubation time required for hatching by female adult mother of O. minor (73-90 days after spawning at $20.9-21.5^{\circ}C$ ranges), in this study, the incubation time required for hatching by female adult mother of O. ocellatus was 56-57 days after spawning at $11.0-20.4^{\circ}C$. Therefore, the incubation time required for hatching by female adult mother varied with Octopodidae species. In this studies, each ovarian egg laid by a female was connected to an egg string attaching to the surface of the wall or bottom of vacunt shell of Rapana venosa. Egg and embryonic developments of this species were studied in the indoor aquaria, in the specific gravity ranging 1.024-1.025. the hatched juvenile of O. ocellatus is 10.3 mm in the mean total length and 4.5 mm in mantle length, and each of its short arms has 18-20 suckers. The just hatched juvenile larvae of O. ocellatus enter the benthic mode of life (benthic larval stage) after hatching. In particular, regarding differences i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 of life according to total numbers of the suckers, O. vulgaris may not need to have many suckers because they enter the planktonic mode of life after hatching, however O. ocellatus may need to have many suckers, because they should adapt to the benthic mode of life. And also the just hatched juvenile larvae of O. minor (bearing many suckers more than O. ocellatus) enter the benthic mode of life (benthic larval stage) after hatching. Therefore, the total number of the suckers on each short arm of the hatched juvenile larvae can be used for determining whether an octopus species has planktonic larval stages or benthic larval stage (benthic mode of life). In particular, The intracohort cannibalism phenomena appeared at the hatched juvenile larval stage because the larval stage of O. ocellatus and O. minor enter into the benthic larval stage in the early stage, unlike entering into the plaktonic larval stage in other Octopus species such as O. vulgaris: at this time, the early hatched larvae fed the late hatched larvae (they are the same species and almost same ages). Therefore, the intracohort cannibalism pheneomena occur in the just hatched juvenile stage of only O. ocellatus and O. minor.

피조개의 양식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 I.부유유생의 분포 (Biological Studies On Arkshell Culture I. Distribution Of Drifting Larvae Of Te Arkshell, Anadara broughtonii Schrenck)

  • 유성규;박경양;유명숙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5-81
    • /
    • 1977
  • 피조개는 우리나라의 내만이나 내해의 비교적 수심이 깊은 곳에 사는 대형종으로 조개류 중에서 가장 값비싼 중요양식종이다. 이 종의 양식을 위한 관심이 컸고, 많은 노력도 해 왔으나 양식의 기본이 되는 종묘생산이 제대로 되지않아 그 양식은 언제나 형식에 지나지 않았다.

  • PDF

납작벌레류(Stylochus ijimai, Pseudostylochus obscurus)의 산란 및 유생발생에 관하여 (SPAWNING AND LARVAL DEVELOPMENTS OF TWO SPECIES OF POLYCLAD WORMS, STYLOCHUS IJIMAI & KABURAKI AND PSEUDOSTYLOCHUS OBSCURUS (STIMPSON))

  • 양한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14
    • /
    • 1974
  • 1. S. ijimai의 산난기는 5월하순에서 10월하순까지로서 주산난기는 7월중순에서 9월하순 사이였고 P. obscurus 는 6월하순에서 10월상순까지로 주산난기는 7월하순에서 9월중순 사이였다. 2. S. ijimai의 1회 산난량은 약 $96,000\~132,000$립이였고 체장이 큰 것의 산난량이 대체로 많았다. 3. 산난직후의 난의 크기는 S. ijimai는 $102\mu$이고 P. obscurus는 $108\mu$이었다. 4. 난이 성숙분열을 시작하여 양배형성기까지의 발생과정은 S. ijimai와 P. obscurus가 유사하였다. 5. S. ijimai나 P. obscurus 두 종류가 모두 다 단일난이고 S. ijimai는 Gotte유생으로 변태발생을 하며 P. obscurus는 직접발생을 한다. 6. 산난후의 발생경과시은 S. ijimai는 48시간 후에 Mesentoblast가 형성되고 7일만에 부화하였다. P. obscurus 는 72시간 후에 Mesentoblast가 형성되고 14일만에 부화하였다. 7. S. ijimai지 부화유생은 14일 간의 부유기를 가지며 이 기간 중 강한 주광성이 있었으나 P. obscurus는 70의 부유기를 가지면서 전연 주광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8. S. ijimai의 부화직후 유생의 크기는 $138\mu$이고 저서초기에는 $152\mu$이며, P. obscurus는 각각 $170\mu$$185\mu$이었다. 9. 저서생활로 들어갈 때의 현저한 특미으로서 S. ijimai는 돌기가 소실되고 몸이 편평하게 되면서 성체형으로 변태하였고, P. obscurus는 이 시기에 뇌역의 4안점 중에서 양측 바깥쪽의 2안점이 퇴화되었다. 10. 저서초기유생은 S. ijimai가 P. obscurus 두 종류 모두 저질이 이토인 곳에서만 발견되었다.

  • PDF

진해만에서 진주담치 Mytilus edulis 의 부유유생의 출현, 부착 및 초기성장에 관한 연구 (On the Occurrence of The Larvae, Spatfall and Early Growth of Mussel Mytilus edulis in Chinhae Bay)

  • 유성규;임현식;장영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0
    • /
    • 1990
  • The occurrence of the larvae, the size of the spats daily attached to the collectors, the difference of the spat size with temperature, and the darly growth of a mussel, Mytilus edulis, were investigated at the off Songpo, Chinhae Bay, the southern part of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 to August 30 in 1986. The water timperature and specific gravity ranged from 7.0 $^{\circ}C$ to 27.4$^{\circ}C$ (mean 17,24$\pm$5.9$0^{\circ}C$), and from 1.0126 to 1.0126(mean, 1.0242$\pm$0.0023), respectively. D-shaped larvae had two peak occurrences in March 8, April 19, Umbo-shaped larvad three peaks in March 8, April 21 and June 17, and full grown larvae two peaks in May 13 and June 23,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mussel had two mass spawning time in early March and mid April and two mass settling time in mid May and alte June. The maximum size of the planktonic mussel larvae ranged from 375-400${\mu}{\textrm}{m}$ and most larvae sizing below 300${\mu}{\textrm}{m}$ long settled in adquate substrate. Spats just after settlement had the range from 26.5 to 547.3${\mu}{\textrm}{m}$ with the minimum of 225.0 ${\mu}{\textrm}{m}$ in mean shell length. The spats settled in summer season, when the water temperature raised above $25^{\circ}C$, were smaller than those settled in spring season in mean shell length. The early growth of the mussel spat had been assumed considerably fast.

  • PDF

군산연안 동죽, Mactra veneriformis의 침강과 가입 (Settlement and recruitment of Mactra veneriformis R. around the inshore of Kunsan, Korea)

  • 류동기;정상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67-676
    • /
    • 1995
  • 군산 연안 조간대에 있어서 1993년 6월에서 1994년 5원까지 조사한 동죽(M. veneriformis)의 침강과 가입 및 성장, 생산량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동죽의 부유유생의 높은 밀도는 1993년 6월 19일에서 7월 3일에 관찰되었으며, 침강된 치패의 크기는 250um에서 350um였고, 평균밀도는 약 $601\;inds\cdot\;m^{-3}$이었다. 유생의 침강에 의한 가입은 주로 1993년 6월 중순에서 7월 중순에 이루어 졌으며, 유생의 침강시 저질에 따른 선택성은 없었다 그러나 침강한 치패는 환경(저질, 노출시간, 성패의 밀도)에 의하여 사망율이 결정되었다. 평균 각장에 의하여 추정한 동죽의 성장은 가입 초기에 있어서 과소평가 되었으며, 성장기는 11월 중순까지이고, 겨울철에는 정지하였다. 0세군의 연간생산은 2,900 g\cdot\;m^{-2}\;\cdot\;yr^{-1}$으로 나타났으며, 회전율은 약 4.94 (Crisp, 1984)와 4.91 (Ricker, 1978)로 추정 되었다.

  • PDF

Interannual Variations of Limn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Acidic Lake Katanuma

  • Kikuchi, Eisuke;Takagi, Shigeto;Doi, Hideyuki;Shuichi, Shikano
    • 생태와환경
    • /
    • 제38권4호통권114호
    • /
    • pp.435-438
    • /
    • 2005
  • We observed the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 acidic lake, Lake Katanuma, from 1998 to 2002 at weekly or biweekly intervals, except during the winter. This volcanic lake has a dimictic thermal pattern. In summer, the volcanic heat supply at the lake bottom results in weak thermal stratification. In 1998, 1999, and 2002, short-term holomixis was observed during the stratification period, when the anoxic, hydrogen sulfide-rich water from the hypolimnion spread across the entire lake. In contrast, distinct short-term holomixis did not occur during the stratificatlon period in 2000 and 2001. However, the early onset of the autumn turnover in August 2000 and 2001 caused anoxic conditions to persist throughout the entire water column for more than 2 weeks. The anoxic and hydrogen sulfide-rich conditions affected population densities of chironomid larvae (Chironomus acerbiphilus) and planktonic algae (Chlamydomonas acidophila), both dominant species in Lake Katanuma. Thus, the interannual variations of limnological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e seasonal population changes of these species.

소라 Turbo cornutus SOLANDER의 증식에 관한 연구-I 소라의 산란과 초기발생 (STUDIES ON THE PROPAGATION OF TOP SHELL-I Spawning and early development of the top shell, Turbo cornutus SOLANDER)

  • 노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3-55
    • /
    • 1976
  • $1972\~1974$$5\~7$월에 여수근해산 소라 Turbo cornutus를 재료로 하여 산란유발자극, 수정율, 난발생 유생의 성장 생존율 및 발생초기유생이 적염분 농도등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란유발 방법로 간출자극, 가온자극, 정자액첨가등의 방법을 매일번갈아 17회 실시한 결과 간출자극에서 2회 가온자극에서 1회의 방란 방정이 일어났고 이때의 수정율은 $83.8\~96.4\%$ 였다. 2. 수정난의 난경은 $0.182{\pm}0.0028mm$ 였고 난막경은 $0.245{\pm}0.0093mm$ 있다. 3. 초기유생의 발생과점은 수온 $20.6\~25.4^{\circ}C$ 범위에서 $11.05\~11.15$ 시간후에 부화하였고 $3.0\~3.5$일 후에 부착이 시작되어 5일후에 완료되었다. 4. 부착된 유생의 성장은 부화 10일후 각경 0.31mm, 59일후 1.15mm, 12일후 1.97mm, 90일후에는 $2.66\~3.15mm$, 150일후에는 각고 $5.24\~6.49mm$로 각각 성장 하였다. 5. 부착치패의 부화구 150시간의 사육에서 경과일수 (D)에 따른 각경(S) 및 각구경(A)의 성장관계식은 1972년 $S=0.33\varrho^{0.02070D}$ $$A=0.19\varrho^{0.02073}$$ 1973년 $S=0.32\varrho^{0.02282D}$ $A=0.16\varrho^{0.02596D}$의 지수곡선식으로 각각 표시되었다. 6. 부화후 150일까지의 직경(S)과 각구경(A)과의 상대성장식은 1972년 A=0.6478S-0.1575 1973년 A=0.5897S-0.0515의 회귀직선식으로 표시되었다. 7. veliger 유생의 부화 11일후의 착생율은 $0.020\~0.181\%$ 였으며 부착이후 150일 동안의 생잔율은 $7.4\~21.6\%$ 였다. 8. 수온 $21.0\~22.7^{\circ}C$에서 알과 부유유생의 발생 및 생잔에 적당한 염분농도의 범위는 $30\~35\%_{\circ}$ 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