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themera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A New Species of the Genus Pithemera (Oligochaeta: Megascolecidae) from Namat NBCA, Laos

  • Hong, Yong;James, Samuel W.;Inkhavilay, Khamla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4권2호
    • /
    • pp.161-164
    • /
    • 2008
  • As a result of a taxonomic study on the earthworm material collected from Namat National Biodiversity Conservation Area (NBCA), Hoaphane Province, Laos, a new species, Pithemera viengthongensis sp. novo is described from near Namchong river, Viengthong district. The new species bearing two pairs of spermathecal pores in 7/8, 8/9 is not assignable to any other species of Pithemera as defined by Sims and Easton (1972). In the new species, the male pore region has kidney-shaped pads extending between XVII-19/20, the male pores and spermathecal pores are 0.31 circumference apart, and genital papillae are lacking. The ventral view of anterior body region and the spermathecae are illustrated.

Ribosomal DNA ITS 유전자를 이용한 왕지렁이(빈모강: 지렁이과) 그룹의 계통분류 (Molecular Phylogeny of the Amynthas-complex (Oligochaeta: Megascolecidae) Inferred from ITS Nucleotide Sequences)

  • 홍용;;황의욱;이보은;박순철;김태흥
    • 환경생물
    • /
    • 제25권4호
    • /
    • pp.349-355
    • /
    • 2007
  • 지렁이과 (family Megascolecidae) 왕지렁이속 (genus Amynthas) 그룹을 rDNA ITS 유전자를 이용하여 계통 유연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과 10속에서 26종의 D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종간 계통적 유연관계를 MP (Maximum Parsimony), NJ (Neighbor Joining), QP (Quartet Puzzling)로 계통도를 작성하였다. 염기서열이 확보된 Megascolecidae (지렁이과)의 국내외 26종에 대한 계통 분석은 위 3개의 알고리즘 모두 동일한 5개의 그룹으로 나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mynthas 속은 크게 한국산 그룹과 필리핀산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 그룹, Amynthas jirensis, A. agrestis, A. gucheonensis, A. sopaikensis, A. bubonis, A. multimaculatus, A. koreanus, A. dageletensis, A. heteropodus, A. odaesanensis, Pontoscolex sp., Pheretima sp. 1와 다른 그룹, Dendropheretima banahawensis. Amynthas halconensis, A. isarogensis, A. mindrooensis, Pithemera sp. 2, Pithmera sp. 1, and Pleionogaster sp.이다. 이는 ITS 유전자가 속간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보다 동일한 속이라 하더라도 지리적 차이에 따른 환경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즉 형태적 분화가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유전적으로는 동질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형태적 특징에 의한 명백한 차이는 구분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