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spp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8초

1주기 수확을 끝낸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 재래용 톱밥배지 분해의 현미경적 특징 (Microscopical Characteristics of Softwood Sawdusts Cultivated with Enokitake (Flammulina velutipes))

  • 이광호;김윤수;이성진;채정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2-107
    • /
    • 2001
  • 팽이버섯 1주기를 수확한 폐배지 톱밥을 버섯재배 용으로 재활용 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팽이버섯을 재배한 침엽수재 의 톱밥을 현미경적 관찰을 통해 그 분해정도와 분해양태를 파악하였다. 아울러 팽이버섯 재배에 사용된 톱밥의 수종 식별도 실시하였다. 팽이버섯 재배용으로 사용된 톱밥의 수종은 대부분 소나무속 경송류로 식별되었고 극히 일부만 미송 (Douglas-fir)톱밥이 존재하였다. 팽이버섯 1주기를 수확한 폐배지 소나무 톱밥에는 균사에 노출된 부분과 방사조직에서 균사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팽이버섯균의 공격을 받은 세 포벽은 박벽화현상과 침식현상을 보였으나, 이 같은 부후양태를 보인 세포벽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 이상의 현미경 관찰결과 팽이버섯을 1주기 수확한 소나무 톱밥은 버섯재배용으로 재활용하기에 충분한 세포벽 물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낙동정맥 삼척시 용소골 계곡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Yongso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Samcheok-si)

  • 조현서;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82-590
    • /
    • 2010
  • 백두대간에 대한 관심은 현황조사 및 분석, 관리 및 복원 방안 등 다양한 연구결과를 도출한 반면, 지맥인 정맥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현황연구는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향후 관리 및 복원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낙동정맥 중 용소골의 식생구조를 밝히고자 $10m{\times}10m(100m^2)$ 조사구 30개소를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상대우점치 및 평균상대우점치에 의한 군집분류 결과 소나무군집, 박달나무군집, 황철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굴참나무군집의 5개 유형이 용소골 계곡을 대표하는 군집이었다. 소나무군집은 능선부에 주로 분포하며 꼬리진달래가 출현하는 것이 특징이었고 박달나무군집은 참나무류와 경쟁을 피할 수 있는 능선부 급경사지와 완만한 전석지에 분포하였다. 단위면적당($400m^2$) 종다양도는 0.7914~0.9442이었으며 수령은 30~115년으로 층위구조가 형성된 보호가치가 있는 숲이었다.

대전지역 학교 교정의 조경수목 식재현황 (Analysis of Woody Landscape Plants Planted at School Garden in Daejon Metropolitan City)

  • 문정현;심재성;서병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5-96
    • /
    • 2002
  • This study showed the current plantation of woody landscape plants of 42 school garden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ratio between evergreen tree and deciduous tree was 67% to 33%. The ratio between evergreen shrub and deciduous shrub was 48% to 52%. Also, 161 kinds of woody species were found; evergreen tree was 21 species, deciduous tree was 67 species, evergreen shrub was 16 species, deciduous shrub was 44 species, and vine and the others were 13 species. The proportion of native woody species was 61% (98 out of 161 species). 110 species were planted at the front garden area. In the mid-garden, 77 kinds of woody species were found. In the side garden, 95 kinds of woody species were found. In the rear garden, 92 kinds of woody species were found. The surrounding of play ground and outer area were planted 82 species. The first ranked evergreen tree was Juniperus chinensis‘Kaizuka’. And Deciduous tree, evergreen shrub, deciduous shrub, and vine showed Gingko biloba,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Hibiscus syriacus, Wisteria floribunda, respectively. The school symbol of tree and flower was planted in 41 schools. The first rank plants of school symbol tree and flower were Pinus densiflora, Forsythia koreana and Rosa spp. Plant nameplate was found at 22 schools. The plant nameplate was used for 1∼10 species at 17 schools. In conclusion, plantation of landscape trees should be considered characteristic of each school area. In addition, school landscape should be planned distinction of a elementary school, a middle school, a high school, and a school for handicapped. School landscape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from functional, natural,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aintenance viewpoints as well as urban forest networking.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의 배양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ycnoporus coccineus and P. cinnabarinus)

  • 가강현;이정희;허태철;윤갑희;박원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4-88
    • /
    • 2003
  •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의 배양특성은 최적 온도범위 $30{\sim}40{\circ}C$, 최적 pH범위 pH $5{\sim}6$이었다. 6종의 배지 중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은 PDA, LBA, YMA 배지에서 생장이 양호하였고, 동일 배지상에서 간버섯보다는 주걱간버섯의 생장이 약간 양호하였다. 10종의 톱밥배지중,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은 참나무류(상수리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와 물오리나무에서 생장이 양호하였지만, 밤나무에서는 생장이 불량하였다. 침엽수 3종 중에서, 낙엽송이 소나무와 잣나무보다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의 생장이 양호하였다. 버섯발생양은 간버섯이 주걱간버섯보다 약 2배 많았다.

묘포장 및 산지에서 제초제를 이용한 효과적인 잡초방제에 대한 연구(I) -조림.조경용 수묘포장의의 제초관리- (A Study of the Effective Weed Control by Herbicides in a Nursery and Forests(I) -Weed Control in a Nursery for Silvicul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 서병수;김세천;박종민;이창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9-38
    • /
    • 1999
  • Three kinds of soil surface applied herbicides and three kinds of foliage applied herbicides were used to study weed control effect, appropriate concentration, phyto-toxicity against trees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weed control on trees, Pinus thunbergii, Picea abies, Chamaecyparis obtusa, Quercus accutissima, and Fraxinus rhynchopylla in a nursery.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The control effect of the soil surface applied herbicides showed that the three herbicides; Alachlor, Pendimenthalin and Simazine were alike in their holding effect of weed development, and the sensibility of weed spp. on the herbicides was different. The mean control effect was 58~89%. 2. The weed control effect of the foliage applied herbicides demonstrated that Paraquat dichloride was the best of 84~95% and followed by Glufosnate ammonium and Glyphosate. Especially when the half of its standard amount was treated, the effect of Paraquat dichloride was higher than the other herbicides. 3. Generally, the weed control effect became better as the concentration of the herbcide getting higher. As the concentration of the herbicide got higher, the restraining effect of weed development was continued for a long time in the soil surface applied herbicides, while the weed control effect appeared earlier in the foliage applied herbicides. 4. As the result of the soil surface treatments, 20% of short seedings of Fraxinus rhychopylla treated with twice amount of standard Alachlor died and the rest seeding showed low growth. In the other treatments, there was neither harmful effect of herbicides on the seedings nor growth decrease of them compared to those weeded by men. 5. When treated with foliage applied herbcides, leaves were partially of and discolorated in most treatments. About 0.4~6.2% of Fraxinus thynchopylla, which had short seedings die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growth with the other treatments. 6. The herbicides showed better economical efficiency over 68% than weed control by men. Especially, Alachlaor of the soil surface applied herbicides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77.6%), while Paraquat dichloride of the foliage applied herbicides was the best(70.3%)..

  • PDF

계룡산국립공원 동원계곡의 삼림군집구조 분석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in the Dongwol Valley at the Geyryongsan National Park)

  • 최송현;조현서;박은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7-246
    • /
    • 2001
  • 계룡산국립공원 동월계곡의 삼림군집구조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41개 조사구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 기법 중 하나인 TWINSPAN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서어나무군락(I), 때죽나무군락(II), 소나무A군락(III), 상수리나무군락(IV). 소나무-굴참나무군락(V), 소나무B군락(Ⅵ). 그리고 신갈나무군락(Ⅶ)의 7개 군락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각각의 군락은 상대우점치를 이용하여 군집구조를 밝혔다. 연륜분석결과 동월계곡의 주요 식생의 임령은 약 30~50년 안팎으로 밝혀졌다. 단위면적당(100$\textrm{cm}^2$) 평균 출현종수는 15.6$\pm$4.7종. 평균 출현개체수는 124.9$\pm$36.4주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계룡산국립공원 동월계곡의 식생천이는 소나무림에서 굴참나무 등 참나무류를 거쳐 서어나무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덕유산 국립공원의 삼림군집구조분석 -백련사-금포탄 지역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T$\v{o}$kyusan National Park- Case Study of Paekryunsa-Kumpotan -)

  • 이경재;최송현;조현서;이윤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5-154
    • /
    • 1994
  • 덕유산 국립공원 구천동계곡(금포탄-백련사)의 삼림군집구조 분석을 위하여 40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100$m^2$)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on분석과 ordination 기법의 일종인 DCA및 CCA를 적용하였다. 전체 조사구는 TWINSPAN에 의해 서어나무-까치박달 군집, 소나무-서어나무-졸참나무 군집, 서어나무 군집, 신갈나무-서어나무 군집, 2개의 참나무류 군집, 2개의 들메나무 군집 등 8개의 집단으로 분리되었다. 양 기법에 의해 추정되는 천이계열은 교목상층에서 소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 졸참나무$\longrightarrow$서어나무, 까치박달, 들메나무로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진달래, 철쭉, 개옻나무$\longrightarrow$당단풍, 조록싸리, 참회나무, 노린재$\longrightarrow$고추나무, 병꽃나무 순으로 예측되었다. Classification, ordination, 흉고직경 및 토양환경인자의 분석을 통해 들메나무 군집은 토지극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전라남도 남해안 도서식물상의 도서생물 지리학적 특성 (Island-Bio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Insular Flora in Southern Sea of Jeollanamdo, Korea)

  • 김현희;김다빈;원현규;김찬수;공우석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3-155
    • /
    • 2016
  • Present work aims to establish the countermeasure for the better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of insular floristic diversity at the South Sea of Jeollanamdo Province, ROK, where unique ecosystems are under threat due to climate change, anthropogenic disturbance and habitat destruction. Numerous flora reports from 15 inhabited islands and 60 uninhabited islands as well as field survey data are collated for the compilation of floristic data base and island biogeographical analysis. Out of the 1,940 vascular plant species from 180 families occurring in studies areas, 30.1 percentage or 584 plant species are physiognomically belonging to arboreal plants. Average number of species at individual island is numbered about 222 species, but it varies from about 591 species at the inhabited islands to 129 species at the uninhabited islands. Only 0.15 percentage of species with high proportion above 0.9 in its relative occurrence rate occurs at 68 islands and it includes three species, such as Pinus thunbergii, Eurya japonica and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However, about 68 percentage of plant species occurring in study area is confined their distribution to less than seven islands. Presence of high proportion of notable plants in small islands, i.e., 10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compared with 5.5 species in average, 9 endangered species (average 4.2 spp.) at Sonjookdo, and 7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8 endangered species at Sokomundo may due to existence of diverse geological and topographical environmental diversity as well as lower human population density and remoteness from the mainland. Since island is small in size and geographically isolated, minor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burdens can cause the critical damages to the diversity of flora and vegetation, urgent island biogeographical research is needed for the scientific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island biodiversity.

소양강댐 건설에 따른 주변 식생의 변화 (Change of the Vegetation Due to Soyanggang Dam Construction)

  • 최호;박필선;김재근;서심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13
    • /
    • 2010
  • 댐 건설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주로 기후와 농산물에 초점이 맞추어져 연구되어왔다. 본 연구는 댐 건설에 따른 주변 식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 장소를 준공 후 33년이 지났으며, 저수용량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소양강댐으로 선택하였다. 소양호의 범람지, 범람지보다 고도가 5m 높은 범람지 위쪽, 그리고 호수로부터 능선을 사이에 두고 3km이상 떨어져 있는 대조구에서 방형구법을 통한 식생과 토양함수량 조사가 이루어졌다. 관목층~교목층의 평균상대우점치는 범람지는 버드나무(87.9%)가, 범람지 위쪽과 대조구는 신갈나무(38.9%, 40.4%)가 가장 높았으며, 초본층의 상대우점치는 범람지에서는 사철쑥(34.2%)이, 범람지 위쪽과 대조구에서는 주름조개풀(19.4%, 24.6%)이 가장 높았다. Shannon-Wiener 종다양도 지수는 관목층~교목층에서 범람지(0.26)가 범람지 위쪽(2.34)과 대조구(2.23)보다 낮았으며(p<.01), 초본층에서는 3 모둠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S${\o}$rensen의 군집유사도 지수는 범람지와 범람지 위쪽, 범람지와 대조구에서 낮았으며, 범람지 위쪽과 대조구는 비교적 높았다. 교목과 아교목의 흉고직경별 개체수는 범람지에서 5~10cm인 버드나무(240/ha)가, 범람지 위쪽과 대조구는 모두 15~20cm인 참나무속 식물(400/ha, 466/ha)이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다. 치수는 범람지에서 소나무(7,040/ha)가, 범람지 위쪽과 대조구는 모두 참나무속 식물(720/ha, 400/ha)이 가장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토양함수량은 범람지(6.28%)가 범람지 위쪽(11.13%)과 대조구(10.14%)에 비하여 낮았다(p<.01). 조사 결과, 소양강 댐 건설로 인해 범람지는 식생이 변하였지만, 그 바로 위쪽에서는 식생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과정기반 모형을 활용한 산림의 순일차생산성 평가: 남북한 소나무 및 참나무 임분을 중심으로 (Assessing forest net primary productivity based on a process-based model: Focusing on pine and oak forest stands in South and North Korea)

  • 송철호;최현아;손지원;고영진;;이우균
    • 환경생물
    • /
    • 제41권4호
    • /
    • pp.400-41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과정기반 생지화학모형 중 하나인 BGC-MAN (Biogeochemistry Management) 모형을 남북한에 적용하여 산림생태계의 생산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순일차생산성(Net Primary Productivity, NPP)을 평가하였다. 기상자료의 경우에는 우리나라 기상청 기후정보포털의 실측 및 동아시아 시나리오 자료를 병행하여 활용하였다. 식생정보로는 소나무(Pinus densiflora) 및 참나무(Quercus spp.) 임분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광릉 및 설마천 유역과 북한 내 양묘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사리원, 서흥, 해주, 정주, 원산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생물리적 정보 중경위도, 고도, 사면 방향 등의 지형정보는 SRTM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의 수치표고모델을 활용하였으며, 토양정보 등의 경우에는 HWSD (Harmonized World Soil Database)의 정보를 활용하였다. 관리 요인의 경우에는 1950년의 한국전쟁으로 인한 남북한 산림파괴와 이후 산림의 재조림 과정을 고려하였다. 1991년부터 2100년까지 모의된 NPP의 전체 평균 값은 5.17 Mg C ha-1이었으며, 범위는 3.30~8.19Mg C ha-1로 도출되었다. 또한 기후 시나리오의 변동성이 커짐에 따라서 산림 생산성의 교란이 커졌으며, 소나무 임분의 생장 둔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기후변화에 따라 생태계 과정기반 모형의 중요성이 커지는 시점에서 BGC-MAN 모형의 한반도 적용성이 검토되었다. 본 연구의 제한된 자료를 통해서 기후변화에 대한 교란이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여러 요인들이 분석된 만큼, 향후 모델링 방법의 보완을 통해 보다 한반도 전역의 정밀한 생태계 변화를 과정기반 모형을 통해 모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