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반송(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의 몇 가지 동위효소(同位酵素)의 유전변이(遺傳變異) (Genetic Variation of Several Isoenzymes in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 황재우;이석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409-415
    • /
    • 1996
  • 반송의 유전변이를 조사하기 위해 전국에서 선발한 31개체에 대한 배유조직을 이용하여 4개 동위효소에 대한 전기영동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소나무와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최소 7개의 유전자좌(GDH-A, GOT-B, GOT-C, IDH-A, LAP-A, LAP-B)가 다형성을 나타냈으며, 이들 유전자좌에서 관측된 대립유전자 수는 2-4개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유전자좌에서는 소나무와 반송을 구별할 수 있는 표식인자(標識因子)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각 유전자좌별 대립유전자 빈도 분포 역시 소나무와 반송이 거의 동일하였다. 반송의 99% 수준에서의 다형적 유전자좌의 비율, 유전자좌당 대립유전자수, 이형접합율의 관측치와 기대치는 각각 85.7, 2.3개, 0.165와 0.186%로 소나무에 비해서 유전변이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f Cone and Seed Characteristics from Different Mating Design Strategies of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 Lee, Kyungmi;Lee, Hyunseok;Kang, Jun-W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4호
    • /
    • pp.309-314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enhance seed productivity and secure genetic resources for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one and seed generated by control pollination between Pinus densiflora (PD) and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PDM). The highest number of cone scales (63.0) was obtained from the self-pollinated (sp) PDM clone B (PDM-sp-B), whereas the lowest number of cone scales (44.7) was obtained from two combinations designated as PDM-A×PD-075 and PDM-A×PD-0111. Both female parents of the hybrids were PDM-A. The highest seed production capacity (80.8) was obtained from the open-pollinated (op) PDM clone B (PDM-op-B). The seed potentials of PDM-B×PD-0111, PDM-op-A, and PDM-sp-B were 67.4, 66.5, and 63.1, respectively. The highest number of fertile scales (41.5) was obtained from PDM-op-B, and the lowest number of fertile scales (28.8) was obtained from PDM-A×PD-075. The total number of aborted ovules and 1st aborted ovul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mating design. The cross combination of PDM-B×PD-0111 had the highest number (34.8) of filled seeds and the lowest number of 2nd aborted ovules (5.2) and empty seeds (9). PDM-op-B had the highest number of developed seeds (47.6), although the number of empty seeds was the highest (41.2).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mating design of PDM-B×PD-0111 is useful for future breeding programs to improve seed yield of PDM. Our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following two parameter pairs: number of scales and number of fertile scales, and the number of fertility scales and seeds potential (r=0.89 and r=0.84, respectively; both p<0.01).

가로변 반송 염해정도에 따른 토양 및 식물체 내 염류이온의 계절별 변화 (Seasonal Variations of De-icing Salt Ions Harvested from Soils and Plants according to the Salt Damage of Pinus densiflora f. multicaulis on Roadsides)

  • 이재만;박선영;윤용한;주진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95-402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seasonal variations of de-icing salt ions harvested from soils and plants according to salt damage of Pinus densiflora f. multicaulis, a evergreen conifer, on roadsides. Pinus densiflora f. multicaulis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referred to SD, ND, and WD (serious salt damage (SD) = 71-100%, normal salt damage (ND) = 31-70%, and weak salt damage (WD) = 0-30%) based on the degree of visible foliage damage, and measured acidity (pH), electrical conductivity(EC), and de-icing salt ions (K+, Ca2+, Na+, and Mg2+) harvested from soils and pla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cidity, electrical conductivity, and de-icing salt ions of soils and plan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seasonal variation and salt damage. In addition, a strong positive liner relationship was observed in plants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de-icing salts and salt damage in spring, while the relationship among seasonal variation and salt damage in soil were not significa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conifer species in relation to salinity and roadsides maintenance.

Juniperus chinensis 7재배종(栽培種)과 Pinus densiflora 1재배종(栽培種)에 대(對)한 핵형분석(核型分析) (Karyotype Analysis in Seven Cultivated Juniperus chinensis and a Cultivated Pinus densiflora)

  • 김정석;김영두;정우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5권1호
    • /
    • pp.38-45
    • /
    • 1986
  • 본 연구는 Juniperus chinensis 의 7 varieties와 Pinus densiflora의 한 변종에 대한 karyotype analysis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J. chinensis v. kaizuka, J. chinensis v. aureo-variegata와 J. chinensis v. procumbens 는 tetraploid 이다. 2) 각 수종의 염색체에 있어 긴 평균장과 긴 염색체를 많이 가지고 있는 수종은 J. chinensis와 J. chinensis v. aureo-globosa 이고 그 반대로 짧은 평균장과, 짧은 염색체를 가진 수종은 J. chinensis v. horizontalis 와 J. chinensis v. globosa 이다. 3) 각 염색체의 short arm에 대한 long arm의 평균비치가 큰 수종은 J. chinensis v. globosa 와 J. chinensis v. kaizuka 이고, 작은 수종은 J. chinensis v. aureo-globosa이다. 4) 염색체를 긴 순서로 배열할 때의 배열순서가 J. chinensis 의 배열상과 가장 근사한 수종은 J. chinensis v. sargentii, J. chinensis v. horizontalis, J. chinensis v. globosa 와 J. chinensis v. aureo-globosa이며, J. chinensis v. procumbens 는 배열상이 가장 다르다. 5)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는 염색체 평균장이 짧고, arm ratio 는 크다. 6) 염색체를 긴 순서로 배열할 시의 longarm 과 short arm의 배열순서가 6본의 염색체에서 같이 나타난다. 7) P. densiflora for. multicaulis는 secondary constriction이 많은 염색체에서 나타난다.

  • PDF

Phylogenetic Analysis of Pines Based on Chloroplast trnT-trnL Intergenic Spacer DNA Sequences

  • Um, Yurry;Park, Won-Kyu;Jo, Nam-Su;Han, Sim-Hee;Lee, Y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3호
    • /
    • pp.307-313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tinguish the pines that are too similar to differentiate using conventional methods. Pinus densiflora and Pinus sylvestris have similar anatomical structure. They both have window-like pits and dentate ray tracheids, so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the plants. We tried to find molecular markers by comparing chloroplast DNA sequences to differentiate the pines growing in Korea. We used P. densiflora, P. densiflora for. multicaulis, P. sylvestris, P. rigida, P. rigitaeda, P. koraiensis, and P. bungeana for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non-coding intergenic region of trnT(UGU) and trnL(UAA) genes have differences among the species. We designed a primer set to amplify the region efficiently and compared the PCR product sequences using CLC Workbench programs to find the polymorphism. We could distinguish the species using the sequences of the amplified region and the sequences were reproducible from the pines collected in Korea.

광주광역시의 보호수와 기후변화 취약성 및 대응 (The Legally Protected Trees and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d Confrontation in Gwangju City)

  • 임동옥;제갈은기;이희천
    • 환경생물
    • /
    • 제29권3호
    • /
    • pp.171-179
    • /
    • 2011
  • 광주광역시에 분포하는 보호수는 9분류군 68개체다. 환경백서에 기록된 보호수 가운데 광산구 운남동 신가마을의 떡갈나무는 갈참나무로, 서구 벽진동 벽진마을의 양버들은 왕버들로, 남구 석정동의 소나무는 반송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IPCC는 21세기말에 평균기온은 최고 $6.4^{\circ}C$ 및 해수면은 59 cm 상승하므로 북극빙하는 완전히 녹아 없어지고 지구상의 생물종 95%가 멸종위기에 빠질 것으로 경고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보호수를 통해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하고자 IPCC 예측 결과를 적용해 보면 21세기말 광주광역시 최한월 1월 최저기온은 현재 제주도 최한월 평균최저기온인 $3^{\circ}C$보다 높을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21세기 말 광주광역시 지역은 제주도에 분포하는 보호수인 곰솔, 팽나무, 푸조나무 그리고 상록성활엽수가 잘 자랄 것으로 판단되지만 서울과 광주에서 함께 나타나는 보호수인 반송과 느티나무는 취약성을 드러낼 것으로 판단된다.

1990년대 이후 공동주택의 조경수 변화 추이 분석 (Analysis of the Transition of Landscape Plants on an Apartment Complexes since 1990's)

  • 김현준;이태영;박정임;권영휴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41-55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and analyze the transition of landscape plants on an apartment complexes in the 1990's and 2000'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atio of landscape area was increased from 30.0% to 34.7%. The number of trees per 100 square meter decreased from 22.5 to 15.7. The number of shrub per 10 square meter increased from 19.3 to 38.7. Species of Evergreen tree were increased 21 to 39. The species that a lot of use continuously were Pinus densiflora, Pinus strobus and Taxus cuspidata. The species that increase use were Abies holophylla and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The species that decrease use exceedingly, were Pinus parviflora, Juniperus chinensis, Pinus koraiensis and Thuja orientalis. The species that do not use were Cedrus deodara. Species of deciduous tree were increased 42 to 68. The species that a lot of use continuously were Zelkova serrata, Acer palmatum, Diospyros kaki, Prunus armeniaca and Prunus yedoensis. The species that increase use were Lagerstroemia indica, Chionanthus retusa, Cornus officinalis, Styrax japonica, Sorbus alnifolia, Prunus mume, Cercidiphyllum japonicum, Acer triflorum, Prunus sargentii, Chaenomeles sinensis and Cornus kousa. The species that decrease use exceedingly, were Acer buergerianum, Sophora japonica, Malus spp., Ginkgo biloba, Zizyphus jujuba var. inermis, Platanus orientalis and Albizzia julibrissin. The species that do not use were Liriodendron tulipifera, Acer saccharinum, Ailanthus altissima and Paulownia coreana. Species of shrub were incresed 39 to 65. The species that a lot of use continuously were Buxus korean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for. albiflorum,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Syringa dilatata and Euonymus japonica. The species that increase use were Rhododendron indicum, Ilex serrata,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Taxus cuspidata var. nana, Kerria japonica,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Euonymus alatus,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Nandina domestica, Cornus alba,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Prunus tomentosa, Deutzia parviflora and Pyracantha angustifolia. The species that decrease use exceedingly, were Hibiscus syriacus, Rosa multiflora var. platyphylla, Chaenomeles lagenaria and Rosa spp. The species that do not use were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Jasminum nudiflorum and Sasa borealis.

고무밴드 결속재가 조경수목 이식 후 뿌리발달에 미치는 영향 - 소나무류를 대상으로 - (The Effect of Rubber Banding Material on Root Development after Transplanting of Landscape Trees - For Pine Trees -)

  • 박현;박용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52-62
    • /
    • 2015
  • 본 연구는 조경 수목 이식 과정 중 뿌리분 결속재로 사용되는 고무밴드가 지상부 생장과 근계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07년 4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4년간이며, 시험은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방동리 398-2번지에 소재하는 시험포지에서 노지시험과 포트시험을 실시하였다. 노지시험을 위한 공시수목인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는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제비리 소재 임야에서 생육상태가 양호한 15년생 20주를 굴취 이식하였으며 시험구는 고무밴드 미제거구와 고무밴드 제거구를 각각 10주씩 완전임의배치법으로 배치하였다. 그리고 포트시험의 공시수종은 반송(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Uyeki)이며, 근계발달을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해 투명 포트에 식재하였고, 시험구 배치는 고무밴드 미제거구와 고무밴드 제거구를 각각 3 반복, 완전임의배치법으로 하였다. 뿌리분 결속재로 사용되는 고무밴드 제거구와 고무밴드 미제거구 간의 지상부 생장과 근계발달에 미치는 영향의 시험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노지시험에서의 수고 생장률은 고무밴드 미제거구가 고무밴드 제거구에 비해 4.1% 낮게 나타났으며, 근원직경은 고무밴드 미제거구가 4.2% 높았고, 엽록소는 고무밴드 미제거구가 5.4 높게 나타났으나 수고 생장률, 근원직경, 엽록소 측정에서 처리간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둘째, 노지시험의 뿌리 생장량 비교를 위한 뿌리생체중 비교에서 고무밴드 미제거구가 1,740.0kg, 고무밴드 제거구가 1,433.3kg이었으며 건물중은 고무밴드 미제거구가 522.3g, 고무밴드 제거구가 450.0g으로 조사되었으나 처리간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셋째, 고무밴드 미제거구의 고무밴드 비접촉면과 접촉면에서의 뿌리 수 비교에서 고무밴드 접촉면에서의 발근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넷째, 포트시험에서 신초생장률은 고무밴드 제거구가 고무밴드 미제거구에 비해 1.1% 높게 나타났고, 엽록소는 고무밴드 미제거구가 0.02 높게 나타났으나 처리간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다섯째, 포트시험에서 고무밴드 미제거구와 고무밴드 제거구 간의 뿌리수와 뿌리건물중 비교에서 모두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시험 결과로부터 결속재인 고무밴드가 소나무와 반송 이식 후 수목의 지상부 생육 및 지하부의 근계발달에 유의할 만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무밴드 미제거구의 고무밴드 비접촉면과 접촉면에서의 뿌리 수 비교에서는 고무밴드 접촉면에서의 발근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추가적인 관련 연구가 활발히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경북지역의 천연기념물 노거수 생육현황 분석 (Analysis of Growth Environment on Old Tree, a Natural Monument in Gyeongsangbuk-do)

  • 김태식;조선희;강희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1호
    • /
    • pp.190-211
    • /
    • 2010
  • 본 조사연구는 경상북도지역의 천연기념물 노거수 34개소의, 생육상태와 입지환경 및 주변환경 실태, 보호관리실태 등을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관리방안 및 보호사업 수립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지의 수형 수관 주간 건강 엽량 상태를 조사분석한 결과, 안동 송사동 소태나무와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의 생육상태가 아주 불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울진 수산리 굴참나무, 울진 후정리 향나무, 울진 쌍전리 산돌배나무, 청도 덕촌리 털왕버들, 문경 화산리 반송, 문경 대하리 소나무 등 6개소의 노거수도 생육상태가 불량하여 지속적인 보호사업과 관찰이 요구되는 대상지로 분류되었다. 입지별 생육현황을 분석한 결과 사람의 내왕이 잦고 뿌리생육공간이 협소한 인문 입지환경에서 자라는 노거수가 생육상태가 불량 것으로 조사 되었다. 따라서 사람의 내왕이 잦은 입지환경의 노거수는 생육공간 확보와 토양 환경개선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종별 생육현황을 조사한 결과 종합적인 생육상태는 느티나무, 참나무, 소나무 수종이 생육상태가 양호하였으며, 버드나무와 대상지가 1개소인 기타수종은 불량하였다. 향후 개체수가 적은 기타수종은 보호관리에 있어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주간의 생부비율을 조사한 결과 소나무, 은행나무, 느티나무가 양호하였으며, 향나무, 굴참나무, 버드나무, 기타수종은 불량하였다. 보호관리사업에 있어서는 외과수술은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로서 대부분 유지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파손된 곳이 많았으며, 지주관리나 쇠당김시설도 시급한 보수가 요구되는 곳이 여러군데 조사되었다. 향후 지자체 등 관리단체는 마을주민의 일상적인 보호관리방법이 아닌 전문가에 의한 체계적인 관리와 보호계획을 수립한 후 실시하는 세심한 보호사업이 필요하다. 생육공간 확보를 위한 토지매입이 필요한 곳이 11개소로 조사되었는데, 대체로 토지매입이 가능한 지역이므로 예산확보와 해당 주민 설득을 통한 토지 매입 추진이 요구된다.

제설제 피해지에서 토양개량제 처리에 따른 구절초의 생육특성 비교 (Growth of Dendranthema zawadskii in Chloride-containing De-icing Salt Areas Upon Treatment With Soil Amendments)

  • 주진희;양지;박선영;윤용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5-243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of Dendranthema zawadskii in damaged soils when they are treated with improvement agents. The treatments consisted of a control (unamended field soil) and the application of a loess ball of 1 cm to the field soil.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mage the de-icing agent had caused, the soils were divided into 3 areas (based on the yellowing of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in soil surveys): H (high saline), M (medium saline), and L (low saline). A total of six treatments were performed: D. zawadskiia plant without soil amendment (H; high saline soil, M; medium saline soil, L; low saline soil), and a D. zawadskiia plant with loess ball on the soil surface (H.L; high saline soil with loess ball, M.L; medium saline soil with loess ball, L.L; low saline soil with loess ball). The results showed that D. zawadskiia growth went from highest to lowest in the order: M.L > L.L > M > L > H.L > H. Plant growth results showed that soils treated with soil amendments (loess ball) were better for D. zawadskii growth than untreated so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