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Koraiensis

검색결과 689건 처리시간 0.03초

북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분포 및 관리 (Distribution of Actual Vegetation and Management of Bukhansan National Park)

  • 오구균;김도균;김철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3-97
    • /
    • 2008
  • 북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 및 녹지자연도와 외래식물 분포실태를 2007년에 조사하였다. 북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은 총 8개의 식물군락과 기타 지역으로 구분 되었으며, 자연림은 신갈나무군락, 신갈나무소나무군락, 낙엽활엽수림 등 5개 식물군락으로, 조림지는 잣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 아까시나무림 등 3개 산림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북한산국립공원의 녹지자연도에서 가장 넓게 분포한 것은 8등급 지역이 약 92.8%였다. 북한산국립공원안에 식재된 수목류는 총 71과 212종류이었고 이 중 자생종은 37과 67종류(31.6%), 외래종은 58과 145종류(68.4%)이었다. 북한산국립공원의 자연환경 회복, 자생식물의 다양성 유지와 자연경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외래수종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설악산국립공원 오색-대청봉-신흥사지역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Slope Aspect and Altitude in Osaek-Taech'ongbong-Shinhungsa Area at Soraksan National Park)

  • 박인협;류석봉;최영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86-492
    • /
    • 1998
  • 설악산국립공원의 주봉인 대청봉(해발 1,708m)을 중심으로 남향사면인 오색-대청봉지역과 북향사면인 신흥사-대청봉지역을 대상으로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교목층의 산림군집구조를 조사분석하였다. 특수한 지형인 주능선부에 위치하는 북향사면의 상부를 제외하면, 동일 해발고일 경우 남향사면은 북향사면에 비햐여 교목상층 개체목의 크기가 작고 밀도가 높으며 교목층의 종다양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해발고간 지형조건이 유사한 남향사면의 경우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교목상, 하층의 흉고단면적이 증가하였다. 남향사면의 해발고가 증가함에 따라 교목층에서 중요치가 감소하는 수종은 신갈나무, 쪽동백나무, 생각나무 등이었으며, 증가하는 수종은 잣나무, 사스래나무, 시닥나무, 철쭉꽃 등이었다. Cluster와 ordination분석에 의하여 산림군집을 교목상층에 의하여 구분한 결과 남향사면의 상, 중, 하부와 북향사면의 중, 하부에 위치하는 신갈나무군집, 북향사면 상부의 사스래나무군집, 정상부의 구상나무군집 등 3개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 PDF

뿌리의 공간분포를 고려한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효과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Tree Roots on Soil Reinforcement Considering Its Spatial Distribution)

  • 김동엽;이상호;임상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1-54
    • /
    • 2011
  • Tree roots can enhance soil shear strength and slope stability. However, there has been a limited study about root reinforcement of major tree species in Korea because of some experimental difficulties.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and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which are two common plantation species in Korea. Profile wall method was used to measur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oot system and its diameter within 15 soil walls of Japanese larch stand and 13 soil walls of Korean pine stand in Taehwa University Forest,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Root tensile properties of each species were assessed in the laboratory, and root reinforcements were estimated by Wu model. The study observed that the number and cross-sectional area (CSA) of root in both species could tend to decrease with soil depth. Especially, CSA were well-fitted to exponential functions of soil depth. Mean root area ratios (RAR) were 0.03% and 0.10% for Japanese larch and Korean pine, respectively. Estimated root reinforcement from Wu model were, on the average, 4.04 kPa for Japanese larch and 12.26 kPa for Korean pine. Overall, it was concluded that root reinforcement increased the factor of safety (Fs) of slope for small-scale landslide as the result of two-dimensional (2-D) infinite slope stability analysis considering vegetation effects.

PEG처리재의 초기 흡·탈습과정에서 중량, 함수율 및 치수 변화 (Change in Weight, Moisture Content, and Dimension at the Early Stage of Adsorption-desorption of Polyethylene Glycol-treated Woods)

  • 권구중;김남훈;전근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6호
    • /
    • pp.497-50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산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신갈나무 및 산벚나무 Polyethylene glycol (PEG) 처리재의 초기 흡, 탈착과정에서 중량, 함수율 및 치수변화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각 수종의 무처리재와 PEG 1000, 2000, 4000 처리재는 상대습도 20%, 65% 및 98% 조건에서 1주일 동안 조습시켰다. 그 결과, 초기 흡, 탈착과정에서 PEG 1000과 2000으로 처리한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및 산벚나무재의 중량은 크게 증감하였지만, 신갈나무재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PEG처리에 의한 함수율은 신갈나무재를 제외한 3 수종에서 상대습도의 변화에 의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모든 수종에서 PEG처리에 의해 치수변화를 예방할 수 있었다.

목탄시비 수목의 재질 (Wood Quality of Trees Fertilized by Charcoals)

  • 김병로;신창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3호
    • /
    • pp.55-60
    • /
    • 2008
  • 본 연구는 목재의 재질에 대한 목탄 시용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묘목의 연륜폭은 대조구보다 목탄시용구에서 더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탄시용에 있어서, 낙엽송탄이 가장 큰 연륜폭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잣나무탄, 파티클보오드탄, 상수리탄 순으로 나타났다. 만재율과 비중은 목탄시용구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낙엽송탄에서 가장 낮았다. 가도관장은 대조구보다 분말탄 시용구에서 길게 나타났지만 입상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도관폭은 목탄시용구와 무처리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벽두께도 조재부의 경우 목탄시용구와 무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만재부의 경우는 목탄시용구가 무처리구 보다 큰 것으로 나타냈다. 마이크로피부릴 경각은 입상탄 시용구에서 대조구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분말탄 시용구와 입상탄 시용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처리구에서 분말탄과 입상탄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성인 여성의 음주 인식과 형태 및 천연 소재를 활용한 항산화 맥주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ception of Alcoholic Beverage among Women and Development of Anti-Oxidant Beer Natural Ingredients)

  • 신복희;유선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924-937
    • /
    • 2017
  • 2016년 4월부터 5월까지 20대부터 60대까지의 국내 성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366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천연 소재를 활용하여 항산화 맥주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고, 항산화 수제 맥주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자는 음주 인식에 대해 긍정적으로 확인되었으며, 국내 성인 여성들은 맥주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체력, 기분, 상황, 장소, 동행자 유형에 따라 음주 형태는 달라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주정으로 추출된 천연 소재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 효과를 확인하였고, 수제 맥주 선호도 조사에서는 아로니아 열매를 첨가한 군이 전체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국내 성인 여성 음주 및 항산화 맥주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The Pattern of Seed Rain in the Broadleaved-Korean Pine Mixed Forest of Xiaoxing'an Mountains, China

  • Jin, Guangze;Xie, Xingci;Tian, Yueying;Kim, Ji H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5호
    • /
    • pp.621-627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seed rain in the broadleaved-Korean pine mixed forest. We established 287 $0.5m^2$ circular seed traps and collected and identified fallen seeds in the traps every two weeks in $150m{\times}150m$ sample plot of the permanent nine hectare of experimental plot in 2005. The overall average density of seed rain was $864.2/m^2$. The seeds of Betula costata Betula costata had the highest number of fallen seeds as $676.0/m^2$ (78.2%), followed by Abies nephrolepis as $57.5/m^2$, B. platyphylla as $37.9/m^2$, Tilia amurensis as $32.2/m^2$, Acer ukurunduense as $17.0/m^2$, A. tegmentosum $14.8/m^2$, and so on. Pinus koraiensis was recorded only $2.5/m^2$ of fallen seeds mainly owing of Korean pine had low rate of purity due to the animal and microbiological predation. Most of seed dispersal have started from the middle to late August and come to an end on the middle of November. The peak time of seed dispersal varied depending on the species. The rate of pure seed by dispersal time varied according to the species, thereupon the aspect of predation and the rate of blasted seed which had influence on the rate of purity also varied according to the species. The density of Korean pine seed rain in the forest ga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t $P{\leq}0.05$ from in the closed canopy. But the other species had no difference among canopy coverage.

도시형(都市型) 삼림욕장(森林浴場) 목초본식물(木草本植物)의 내음성(耐陰性)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hade Tolerance of the Woody and Herbaceous Plants for Urban Forest Aromatic Bath)

  • 홍성각;김종진;임형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585-590
    • /
    • 2000
  • 본 연구는 도시형 온실 삼림욕장 개발을 목표로 하여 이 삼림욕장 조성에 이용될 후보식물들의 내음성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후보식물로 소나무, 장백소나무, 눈측백나무, 백리향, 인동덩굴 및 생강이 선정되어 각각 자연 전광의 50%, 30%, 10% 및 2% 로 조절된 피음포지에서 생육하였으며, 뱀고사리의 경우에는 시험용 삼림욕장내 상대광도가 자연 전광의 10~15%와 25~30%가 되는 장소에서 생육하였다. 소나무, 장백소나무, 백리향은 광도가 낮아짐에 따라 수고 및 근원경 생장과 건물질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눈측백나무와 생강은 50%에서의 생장이 오히려 대조구보다 좋았으며, 뱀고사리의 경우에는 상대광도가 낮을수록 생장이 양호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 볼 때 소나무, 장백소나무 및 백리향은 눈측백나무와 생강에 비하여 온실 삼림욕장내에서 상대적으로 광도가 높은 장소에 적합하고, 뱀고사리는 앞으로 이러한 실내 공간에 매우 적합한 식물로 사료된다.

  • PDF

나무 아래 빗방울(雨滴)의 물리적 특성변화 분석 (Evaluation of Changesi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Raindrops Under a Canopy in Central Korea)

  • 김진관;김민석;양동윤;임영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05-122
    • /
    • 2016
  • To evaluate the changes i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open rainfall related to canopy effects and rainfall intensity in Korea, the terminal velocity of raindrops and drop size distributions(DSD) were continuously measured by an optical-laser disdrometer in an open site(Op) and in two forest stands(Th1: Larix leptolepis, Th2: Pinus koraiensis) during five rainfall events in 2008. The terminal velocity, DSD and two forms of kinetic energy(KE, $Jm^{-2}$ $mm^{-1}$; KER, $Jm^{-2}$ $h^{-1}$) of open rainfall drops were determined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roughfall drops under two different canopy heights. The effects of the canopy and rainfall intensity, together with wind speed, on the changes in drop size and kinetic energy of throughfall were evaluated. Throughfall drops were larger than open rainfall drops. The distribution of terminal velocities for the drop sizes measured at Th2 was lower than that at Op; however, at Th1 the distribution was similar to that at Op. The total kinetic energy of throughfall at Th1 and Th2 was higher than the total kinetic energy of open rainfall, and the kinetic energy distribution for the drop sizes wassimilar to the drop size distribution. The observed throughfall-KER at Th1 was lower than an estimate previously produced using a model. The overestimation from the modeled value at Th1 was likely to be due to overestimated values of a square root transformation of fall height and its coefficient in the model because the distributions of terminal velocity for the drop size measured at Th1 were similar to those of open rainfall.

Effects of Density, Temperature, Size, Grain Angle of Wood Materials on Nondestructive Moisture Meters

  • Pang, Sung-Jun;Jeong, Gi Yo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40-50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nsity, temperature, size, and grain direction on measurement of moisture contents (MC) of wood materials non-destructively. The MC of different sizes of solid wood, glulam, and CLT from larch (larix kaempferi, $560kg/m^3$) and pine (pinus koraiensis, $430kg/m^3$) were measured using the dielectric type and resistance type meters. The specimens were conditioned in the environmental chamber to b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EMC) of 12 % and 19 %. When density setting in dielectric type meter was increased from $400kg/m^3$ to $600kg/m^3$, the MCs of specimen (S-L-100-E) were decreased from 13.4 % to 11.3 %. However, when wood group (WG) setting in resistance type meter was changed from WG1 to WG4, the measured MCs were increased from 9.2 % to 12.3 %. When temperature setting in resistance type meters was changed from 0 to $35^{\circ}C$, the MC was decreased from 17.0 % to 13.0 %. The MCs measured by dielectric type meter for larger specimens (S-L-100-E_11.3 %, G-L-240-E_11.7 % and C-L-120-E_12.8 %) were higher than those of small size specimens (S-L-30-E_8.7 %, G-L-150-E_10.3 %, and C-L-90-E_9.7 %). The MCs measured by resistance type meter for larger specimens (G-L-240-E_11.6 % and C-L-120-E_13.3 %) were also higher than those of small size specimens (G-L-150-E_10.4 %, and C-L-90-E_11.8 %). The resistance type meter was not affected by the grain direction but the dielectric type meter were affected by the grain direction. The MC measured by resistance type meter for G-L-120-E perpendicular to grain direction was 11.5 % and the measured MC parallel to grain direction was 11.3 %. The MC measured by dielectric type meter parallel to grain direction (12.1 %) was higher than that measured perpendicular to grain direction (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