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kerton Serie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러시아 문화 산업의 기원 - 핑커톤 시리즈 : 문화적 배경과 의미 (Pinkerton Series - The Origin of Russian Culture Industry: It's Cultural Background and Semantics)

  • 김홍중
    •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
    • 제61호
    • /
    • pp.169-196
    • /
    • 2018
  • После «Кровавого воскресенья» 1905 года в русском обществе возникла новая масса, умеющая элементарно писать и читать. В отличии от интеллигентов и разночинцев 19-ого века она появилась на фоне индустриализации. Она состоит из рабочего класса и школьников в общественных учреждениях. Их увлекал небывалый импортный из Америки детектив, который критики и литераторы презрительно называли Пинкертоновщиной. Она первая массовая литература для новой русской массы. Определенная халтурой критиками дешевая уличная литература отличалась от лубочной литературы бывших лет в своей роли и функции в обществе и литературной жизни. Больше всего эта массовая литература является первым продуктом культуриндустрии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и важна для понимания русского общества и культуры того времени. В данной статье с точки зрения теории культуриндустрии анализируются феномены «пинкертоновщины».

국제테러리즘데이터베이스 구축: 미국의 START 센터의 모범사례의 소개 (Introducing Best Model of Global Terrorism Database: The Case of START Center in the U.S.)

  • 김은영;박선영
    • 시큐리티연구
    • /
    • 제35호
    • /
    • pp.7-36
    • /
    • 2013
  • 국제테러리즘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은 일반범죄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비해서 형사사법기관 및 관련업무자들과 범죄학자들에게도 어려운 도전이 되는 일이다. 그러나 국제적인 단위의 테러리즘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 및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의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구축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점점 더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이 연구는 미국의 메릴랜드대학 내의 START 센터에서 구축하여온 GTD 데이터베이스의 시작과 발달과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GTD는 START 센터가 핑커단의 세계정보서비스데이터(PGIS)를 기반으로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공개출처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형식으로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오고 있는 세계 테러리즘 데이터베이스이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GTD 데이터의 발전과정과 이 GTD 데이터의 수집된 내용(변수 및 데이터의 수집규모 등), 그리고 데이터의 수집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노력들에 대해서 소개 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서 GTD 데이터를 사용하여 지역 및 나라별 테러현황 및 분포 등에 대한 내용을 기술적 및 시계열적으로 분석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GTD의 소개를 통해서 국내의 국제테러리즘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의 필요성과 방향 및 구체적인 수행을 위한 구체적인 사례를 소개하여 국내에서의 세계테러리즘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이연구의 공헌점, 정책적 함의 그리고 제한점 등이 논의에 거론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