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ewood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1초

활성탄의 물리적 특성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착 특성 (Characteristics of Carbon Dioxide Adsorption with the Physical Property of Activated Carbon)

  • ;박정민;최신앙;이상섭
    • 청정기술
    • /
    • 제24권4호
    • /
    • pp.287-292
    • /
    • 2018
  • 효율적으로 이산화탄소를 처리할 수 있는 활성탄을 제조하기 위하여 활성탄의 물리적 특성이 이산화탄소 흡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소나무 톱밥과 석탄이 활성탄의 원료로 사용되었고, 제조된 활성탄의 비표면적, 미세기공 부피, 중기공 부피를 분석하였다. 제조된 활성탄은 열중량 분석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흡착량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이산화탄소 흡착량 결과를 활성탄의 비표면적, 미세기공 부피, 중기공 부피에 따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소나무 톱밥 활성탄과 석탄 활성탄의 비표면적과 미세기공 부피는 이산화탄소 흡착량과 높은 연관성을 보인 반면에 중기공 부피는 이산화탄소 흡착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활성탄의 비표면적과 미세기공 부피를 극대화하는 것이 효율적인 이산화탄소 처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선충포획성 Arthrobotrys속균에 의한 소나무재선충 포획 특성 (Characteristics of Pinewood Nematode Trapping by Nematophagous Arthrobotrys spp.)

  • 이각중;구창덕;성주한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3-162
    • /
    • 2008
  • Arthrobotrys속 균은 불완전균으로 토양선충을 포획하는 살선충 곰팡이다. 본 논문에서는 선충포획성 균종인 A. oligospora, A. dactyloides, A. conoides의 균사생장, 선충 포획기작의 특성, 그리고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감염능력을 이해하여 살선충 효과가 높은 균종을 알고자 하였다. 소나무재선충은 잿빛곰팡이(Botrytis cinera)에 접종해 증식시켰으며 여기에 Arthrobotrys속 3종 각각의 균사배양체 $1\;cm^2$씩 접종하고 배지, 온도, pH, 소나무재선충 접종밀도, 영양조건이 균사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A. conoides의 생장이 가장 빨랐으며(13.9 mm/day, PDA) A. dactyloides가 가장 느렸다(3 mm/day, PDA). 3가지 균의 생장은 PDA배지, $25^{\circ}C$, pH 4.5의 조건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A. conoides 균과 A. oligospora 균은 500마리의 재선충 접종으로 생장이 촉진됐으나, 10,000마리 접종으로는 느려졌다. A. dactyloides는 산성에서 생장하지 않았으며 재선충이 많을수록 더 느렸다. A. conoides와 A. oligospora의 선충포획기관은 균사보다 굵은 고리들의 망상 구조로서 선충 존재시만 형성되었으나, A. dactyloides의 포획기관은 단일한 원모양으로 선충이 없어도 형성되었다. A. conoides가 A. oligosora보다 포획기관 형성이 빨랐으며, 재선충 포획 후 균사가 재선충 내부로 침입하여 작고 많은 침입구(infection bulb)를 만들고 선충을 소화하였다. 그러나 A. dactyloides는 포획기관의 수가 적었고 포획도 하지 못하였다. A. conoides의 재선충 감염율은 95%였고, A. oligospora의 감염율은 80%였다. 그리고 위 두 균의 조합접종에 의한 선충감염율은 92%였다. 그러나 A. dactyloides는 오히려 재선충의 밀도를 증가시켰다. A. conoides 균은 빠른 생장률과 초기 포획으로, A. oligospora는 균밀도를 증가시켜서 재선충 감염율을 높였다. 결론적으로 A. conoides균은 균사생장률과 재선충감염율이 높으므로 소나무재선충의 생물학적 방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솔수염하늘소의 유충침입공과 성충탈출공의 측정과 소나무 내 분포 (Measurement and Within-tree Distribution of Larval Entrance and Adult Emergence Holes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Coleoptera: Cerambycidae))

  • 정영진;이상명;김동수;최광식;이상길;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15-321
    • /
    • 2003
  • 1999년부터 2002년까지 경남 진주의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피해임지 내에서 고사목을 대상으로 솔수염하늘소 유충침입공과 성충탈출공 및 번데기방의 크기와 갱도길이 등을 측정하고, 소나무 내 분포를 분석하였다. 소나무 내 솔수염하늘소의 유충 침입공수는 1$m^2$당 수관부가 56.2 개인데 비해 수간부는 27.7개로서 수관부가 훨씬 많았다. 직경이 8-l0 cm인 공시목에 침입공의 27.5%와 우화공의 22.4%가 분포하였고 이보다 굵거나 가는 공시목에는 적었다. 침입공의 형태는 타원형으로 입구의 표면적은 평균 65.8$\textrm{mm}^2$ 이었다. 성충탈출공은 원형으로서 직경은 평균 7.0mm 이었다. 공시목의 표면에서 번데기방까지의 깊이는 평균 24.8 mm이었고 번데기 방의 부피는 200-2,000 ㎣이었다 성충의 탈출공은 수관부가 수간부보다 많았으며, 공시목의 직경이 8-10cm에서 22.4%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유충 침입공과 성충 탈출공까지의 목질부 표면에서 직선거리는 평균 3.3 cm이었으며, 침입공에서 탈출공까지의 갱도 길이는 평균 46.2 nm이었다.

소나무 원목의 열처리에 관한 연구 (Study on Heat Treatment of Red Pine Log)

  • 엄창득;한연중;신상철;정영진;정찬식;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50-5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각종 병해충 감염목의 열처리 조건으로 목재 중심부 온도를 $56^{\circ}C$에서 30분 이상 처리해야 한다는 FAO 열처리 기준(International standards for phytosanitary measures (ISPM) No. 15)을 적용하여 소나무 재선충 감염의 확산을 막고 감염목을 용재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국산 소나무의 열처리특성을 분석하였다. 온도와 습도 및 함수율별 열처리속도 측정을 통하여 목표온도 도달시간을 분석하고 소비에너지를 평가하여, 열처리 공정 적용 기술개발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열처리 시 함수율이 높을수록, 직경이 클수록 열처리 소요시간과 소요에너지가 증가하였고, 고온 고습 조건이 열처리 소요시간을 단축시켰다. 열처리기 현장투입 시 적절한 열처리공정 제어를 위해서는 열악한 주위환경 조건, 처리기 가동성능의 변화, 고습적용이 불가능한 상황 등을 고려한 다양한 온도 습도 조건에서의 가열과 냉각 시 소비되는 에너지 평가와 소요시간 예측이 필요하다.

Effects of C10- and C12-chain length alkyl analogs of monochamol on attraction of longhorn pine sawyer Monochamus saltuarius (Coleoptera: Cerambycidae)

  • LEE, Sung-Min;HONG, Do Kyung;JANG, Sei-Heon;LEE, Kyeong-Yeoll;LEE, ChangWoo
    • Entomological Research
    • /
    • 제48권5호
    • /
    • pp.448-452
    • /
    • 2018
  • The aggregation pheromone of Monochamus (Coleoptera: Cerambycidae) beetles, 2-(undecyloxy) ethanol (hereafter referred to as monochamol), has gained considerable attention because of its usefulness in monitoring and population control of pine sawyer beetles. The hydroxyether structural motif is conserved in pheromones of the subfamily Lamiinae of the Cerambycida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10- and C12-chain length alkyl analogs of monochamol, 2-(decyloxy) ethanol and 2-(dodecyloxy) ethanol, on attracting M. saltuairus in Andong, Gyeongsangbuk-do, Korea. The C10 and C12 analogs attracted M. saltuarius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alpha}$-pinene and ethanol, but the responses of these alkyl chain analogs were lower than those of monochamol. Furthermore, the addition of either C10 or C12 analog to the use of monochamol with ${\alpha}$-pinene and ethanol had no effect on attraction of M. saltuarius, indicating high sensitivity of M. saltuarius to monochanol.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emical communication within a Monochamus species depends not only on monochamol, but also on other semiochemicals.

Ophiostomatoid Fungi in Pine Wilt Disease and Oak Wilt Disease in Korea

  • Kim, Seong Hwan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41-41
    • /
    • 2014
  • Pinewood nematode (PWN, Bursaphelenchus xylophilus) is a serious pathogenic worm that quickly dry pine trees to death. Recently, PWN has been devastating huge amounts of conifer trees in Korea. As a first step to explore the association and ecological roles of fungi in PWN life cycle in Korea, in this study we first isolated and indentified fungi from PWN-infested Korean pine and Japanese black pine wood sampled in Jinju, Sacheon, Pocheon, Chuncheon, Gwangju, and Hoengseong in Korea. A total of 144 fungal isolates were obtained from Japanese black pine wood and 264 fungal isolates from Korean pine wood. Their morphology and nucleotide sequences of the ITS rDNA and ♌-tubulin gene were examined for species identification. Ophiostoma ips, Botrytis anthophila, Penicillium sp., Hypocrea lixii, Trichoderma atroviride, O. galeiforme, Fusarium proliferatum were identified from Japanese black pine wood. Leptographium koreanum, L. pini-densiflorae, Ophiostoma ips, Penicillium raistrick, Trichoderma sp. were isolated from Korean pine wood. O. ips and L. koreanum were the major species on the two different PWN-infected pine tree. The cultivation of PWN on fungal mat of the identified species did some enhance PWN reproduction. The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 is a serious pest of oak trees in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filamentous fungi present in the body of the beetle. Fourteen genera of filamentous fungi belonging to Ascomycota and Basidiomycota were isolated. All the obtained genera were isolated in the mitosporic state. The identified fungi were classified in 11 distinct orders including the Ascomycota (Eurotiales, Hypocreales, Microascales, Ophiostomatales, Pleosporales, and Sordiales) and Basidiomycota (Agaricales, Corticiales, Polyporales, and Russulales Xylariales). Within Ascomycota, 13 species were found. Meanwhile five species were found within Basidiomycota. The results showed the presence of diverse fungi in P. koryoensis. Among the isolated fungi, some were able to produce wood degrading enzymes. Further fungal isolation was performed with P. koryoensis infested Quercus mongolica trees sampled at Kumdan mountain in Hanam-Si, Gyeonggi province from June of 2009 to June of 2010. Penicillin spp. and Trichoderma spp. were the major species of mold fungi group. Pichia guilliermondii was the major species of mold yeast group. Raffaelea quercus-mongolicae was also isolated, but its isolation frequency was not high. Other species identified were Ambrosiella xylebori, Fusarium solani, Cryphonectria nitschke, Chaetomium globosum, and Gliocladium viride, Candida kashinagacola, C. maritima, C. vanderkliftii, Saccharomycopsis crataegensis.

  • PDF

First Report of Cucumber mosaic virus Infecting Pinewood Coneflower (Rudbeckia bicolor) in Korea

  • Kim, Mi-Kyeong;Kwak, Hae-Ryun;Ko, Sug-Ju;Lee, Su-Heon;Kim, Jeong-Soo;Kim, Kook-Hyung;Cha, Byeong-Jin;Choi, Hong-S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1호
    • /
    • pp.93-98
    • /
    • 2010
  • A virus isolate causing symptoms of yellow mosaic, fern leaves, malformation and plant necrosis on Rudbeckia bicolor was prevalent around Pyeongchang area in Korea. The causal virus was identified as Cucumber mosaic virus (CMV) using characteristics from biological, ser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and named as CMV-Rb. CMV-Rb caused mosaic on Nicotiana benthamiana, N. tabacum, Capsicum annuum, and Lycopersicon esculentum. However, typical local lesions did not develop on inoculated Pisum sativum, Cucurbita moschata, Datura stramonium and Tetragonia expansa plants. Full-length genome sequences of CMV-Rb RNAs 1, 2 and 3 were obtained using 12 primer pairs by RT-PCR analysis. The genome of CMV-Rb RNA segments 1, 2, and 3 consists of 3363nt, 3049nt, and 2214nt in length, respectively. In order to ascertain their taxonomic identity, nucleotide and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analyses RNAs 1, 2 and 3 of CMV-Rb isolates were conducted with previously reported sequences of CMV strains and/or isolates. CMV-Rb RNAs showed about 90 to 99% sequence identity to those of subgroup I strains suggesting that CMV-Rb is more closely related to CMV isolates belong to subgroup I.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MV on Rudbeckia bicolor in Korea.

국내산 잣나무 열압밀화재의 경도와 치수안정성 (Hardness and Dimensional Stability of Thermally Compressed Domestic Korean Pine)

  • 황성욱;조범근;이원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1호
    • /
    • pp.68-75
    • /
    • 2015
  • 국내산 잣나무재의 바닥재로의 이용을 위해 열압밀화를 실시하였다. 재질평가로서 표면경도와 치수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압축률 50%로 열압밀화를 실시하여 비중 0.82~0.92의 고비중재를 얻을 수 있었다. 열압온도의 증가와 함께 표면경도는 증가하였으며, 온도 $160^{\circ}C$에서 30분간 열압밀화 한 시험편의 표면경도는 $23.6N/mm^2$로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180^{\circ}C$ 이상의 고온에서는 목재표면의 열분해에 의해 오히려 경도가 감소하였다. 열압온도의 증가는 치수회복률의 감소를 야기하였으며, 열압온도 $200^{\circ}C$에서는 14.9%로 가장 낮은 치수회복률을 나타내었다. 열압시간의 증가 또한 치수회복률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만 열압온도에 의한 영향이 더욱 지배적이었다.

Characteristics of Bio Pellets from Spent Coffee Grounds and Pinewood Charcoal Based on Composition and Grinding Method

  • Nopia CAHYANI;Andi Detti YUNIANTI;SUHASMAN;Kidung Tirtayasa Putra PANGESTU;Gustan PARI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1호
    • /
    • pp.23-37
    • /
    • 2023
  • One type of biomass that has promising potential for bio pellet production is spent coffee grounds (SCGs).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SCGs in bio pellets cause a lot of smoke. Therefore, they need to be mixed with a material that has a higher calorific value to produce better quality pellets. One material that can be used is pine wood because it has a natural resin content that can increase the calorific valu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quality of bio pellets produced with SCGs and pine wood charcoal at different particle sizes. The charcoal was ground using either a hammer mill (HM) or a ball mill (BM). Pine wood charcoal was mixed with SCGs at ratios of SCGs to pine wood charcoal of 4:6 and 6:4 by weight, respectively, and the adhesive used a tapioca with a composition ratio 5% of the raw material. The bio pellets were produced using a manual pellet press. The quality of the bio pellets was assessed based on Indonesian National Standard (SNI) 8021-2014, and the physical observations include flame length, burning rate, and compressive strength. The average water content, ash content, and calorific value of the bio pellets were in accordance with SNI 8021-2014, but the density and ash content values were below the standard values. The BM variation of bio pellets had a higher compressive strength than the HM variation, and the 4:6 BM variation had the longest burning time compared with 4:6 HM.

북방수염하늘소의 Ipsenol, Ipsdienol에 대한 유인효과 (Attractive Efficacy of Ipsenol and Ipsdienol against Monochamus saltuarius Gebler (Coleoptera: Cerambycidae))

  • 안희근;김민기;양정오;노두진;강신호;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91-396
    • /
    • 2008
  • 국내 전역에 분포되어 있는 잣나무(Pinus koraiensis)에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을 옮기는 새로운 매개충으로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에 의한 발병이 보고되면서 소나무재선충의 빠른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잣나무의 주요 성분이며 Monochamus속에 유인성분으로 보고된 $\alpha$-pinene과 에탄올, 나무종류의 유인성분으로 알려진 Ips 속 페로몬(ipsenol, ipsdienol)에 대하여 혼합 유인효과를 검토한 결과, ipsenol + ipsdienol에서 67.9%, 그리고 ipsenol과 ipsdienol을 $\alpha$-pinene + 에탄올과 혼합 처리 시 각각 67.7%, 79.3%의 유인력을 보였다. 특히 ipsenol에 비해 ipsdienol의 $\alpha$-pinene + 에탄올에 대한 혼합효과가 높았으며, 북방수염하늘소의 수컷에 비해 암컷이 높은 유인력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