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es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63초

Natural Scenery and Caves of Huanren in Northeastern China

  • Soh, Dea-Wha
    • 동굴
    • /
    • 제69호
    • /
    • pp.1-7
    • /
    • 2005
  • The mountains and rivers in Guilin are famous for their beauty; the pines and rocks on Huangshan Mountains are well known for their magnificence. And now, another famous scenic zone that shall be one of the wonders of the world located in remote area of Northeast of China appears quietly, and it attracts lots of tourists and makes them reluctant to leave. That is Huanren, a Manchu county, which is famous as miraculous place.

首都圈地域에서 리기다소나무 生長 減少와 잔뿌리의 非正常 垂直分布 (Growth Decline and Abnormal Vertical Distribution of Fine Roots of Pitch Pine in Seoul Metropolitan Area)

  • Rhyu, Tae-Cheol;Kee-Dae Kim;Joon-Ho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3호
    • /
    • pp.261-275
    • /
    • 1994
  • 수도권과 그 주변의 33장소의 리기다소나무 숲에서 연륜생장과 잔뿌리의 수직분포를 조사하였다. 생리적 연령이 16년과 20년 사이의 연륜의 생장은 전원지보다 도심지에서 불량하였다. 그리고 최근 5년간 (1985~1989)의 연륜생장은 연령 11년~20년, 연령 21년~30년 및 연령 31년~40년 그룹 모두에서 도심지에서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양호하였다. 리기다소나무 잔뿌리의 양은 도심지, 주변지 및 전원지 모두에서 토양의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였고, 그 양은 전원지에 비해 도심지에서 매우 적었다. 그리고 전원지의 잔뿌리의 수직분포와 비교해 볼 때, 도심지에서 잔뿌리는 토양층보다 낙엽층에 많이 분포하였다. 그리고 낙엽층 속의 잔뿌리 양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이 있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도심지에서 리기다소나무 생장감소는 잔뿌리 생장감소와 잔뿌리의 비정상적인 수직분포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안산 공단지역에 식재된 소나무류 2종의 생장과 생리학적 반응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Two Pine Species Grown under Polluted Ansan Industrial Region)

  • 진현오;최동수;이충화;정용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5호
    • /
    • pp.321-326
    • /
    • 2005
  • 안산 공단지대에 식재되어 있는 잣나무와 리기다소나무의 생장 저하의 실태와 그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생장 및 생리학적 반응을 중심으로 대조구와 비교 고찰하였다. 피해구에 식재 되어 있는 두 수종의 침엽 내 Mn, F 그리고 Cl의 농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2년생 3년생으로 갈수록 급격히 그 농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필수 영양 원소인 P와 클로로필 함량은 피해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또한 침엽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피해구에 식재되어 있는 두 수종의 최대 광합성률, 양자수율$(\Phi)$, 카르복실레이션효율(CE)등의 광합성 능은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과 같이 독성 원소의 축적 및 필수 영양 원소의 부족 등 환경 스트레스에 의한 수목 생리활동의 저하가 수목 생장 저하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판단된다.

소나무 침엽(針葉)의 Monoterpene 조성(組成)과 솔잎혹파리에 대한 저항성(抵抗性)에 관(關)하여 (Monoterpene Composition in Needles of Pines in relation to the Resistance to Pine Gall Midges)

  • 김종수;박노동;박창규;이석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3권3호
    • /
    • pp.189-197
    • /
    • 1980
  • 소나무의 monoterpene조성(組成)가 솔잎혹파리에 대(對)한 저항성(抵抗性)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솔잎혹파리 저항성(抵抗性) 소나무 5개(5個) 수종(樹種)가 감수성(感受性)소나무 2개(2個) 수종(樹種), 그리고 감수성(感受性) 해송(海松)가운데 피해목(被害木)과 선발목(選拔木)의 침엽(針葉)을 GLC로 분석(分析)하여 monoterpenes의 조성(組成)을 근거(根據)로 저항성(抵抗性) 또는 감수성(感受性) 수종(樹種)을 구별(區別)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적송수종내(赤松樹種內)의 피해목(被害木)과 선발목간(選拔木間)에는 limonene, ${\alpha}-pinene$, myrcene 및 ${\beta}-phellandrene$의 농도(濃度)아 조성비(組成比)에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였다. 적송(赤松)의 선발목(選拔木)에서 limonene의 농도(濃度)는 솔잎혹파리 산란이후(産卵以後)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였으나 피해목(被害木)에서는 증가(增加)하지 않았다. 적송(赤松)의 선발목(選拔木)에서 솔잎혹파리에 대(對)한 내충성분은limonene으로 보였다.

  • PDF

강원도산(江原道産) 소나무천연림생태계(天然林生態系)의 Biomass 및 Net Primary Production에 관(關)한 연구(硏究)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vity of Pinus densiflora Natural Ecosystem in Kangwondo, Korea)

  • 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1권1호
    • /
    • pp.74-81
    • /
    • 1985
  • 강원도산(江原道産) 소나무천연림(天然林)의 생산성(生産性)을 파악(把握)하기 위하여 10본(本)의 표본목(標本木)을 벌도(伐倒)하고 각(各) 부위별(部位別) 및 총(總) biomass와 biomass 추정방정식(推定方程式) 모형으로는 $Wt=aD^bH^c$가 가장 적합(適合)하였다. 2) 임분(林分) biomass 추정량(推定量)은 지상부(地上部) 총량(總量)이 198.82 t/ha였으며 부위별(部位別)로는 수간목부(樹幹木部)가 136.82 t/ha, 생지부(生枝部)가 32.81 t/ha, 수피부(樹皮部)가 10.72 t/ha 엽량(葉量)이 9.07 t/ha 죽은가지가 7.30 t/ha 였다. 3) 순생산량(純生産量)은 지상부총량(地上部總量)이 15.87 t/ha/yr였으며 부위별(部位別)로는 수간목부(樹幹木部)가 7.04 t/ha/yr., 생지부(生枝部)가 4.91 t/ha/yr., 엽량(葉量)이 2.21 t/ha/yr., 소지(小枝)가 1.13 t/ha/yr., 수피(樹皮)가 0.52 t/ha/yr 였다. 4) Leaf efficiency는 1.876으로서 연간지상부(年間地上部) 총생산량(總生産量) 15.87 t/ha/yr와 비교적 잘 연관되어 있다.

  • PDF

Variations in the Seed Production of Pinus densiflora Trees

  • Kang, Hye-Soo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3권1호
    • /
    • pp.29-39
    • /
    • 1999
  • Current data on reproductive characters of endemic and native species are essential to provide a strategy for the conservation of these species. Red pine (Pinus densiflora Sieb. & Zucc.) is one of the dominant, native tree species in Korea, but its reproductive ecology is not well-known. In 1997, the pattern of variation in cone and seed yields contributing to the conservation of declining populations of red pines was examined. Plant height and dbh were measured, and several new cones were collected from each tagged tree after counting the number of cones on each tree. For a subset of cones sampled, the number of fertile scales, the number of seeds at three development stages (early/late aborted, and filled seed), seed wing size, wing color, and individual filled seed mass were measured. The three sites which differed significantly in mean plant size also differed in mean cone and seed production per plant. However further analyses showed that most variation in characters examined occurred among plants within sites, but not among sites. An average of 90% of the potential seeds on the cones aborted at an early developmental stage, demonstrating that early abortion is a major factor affecting the number of filled seeds per cone. Individual seed mass was the only character which exhibited significant variations among sites as well as among trees within sites. Individual seed mass was overall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th the percentage of late abortion and the number of old cones per plant, suggesting that both the past and current years' reproductive activities have caused variations in seed mass. The potential dispersal distance of red pine seeds is quite large. However, wing loading was correlated with seed mass and number in a complex pattern across the sites. Distribution of seeds with varied colored wings differed among sites and among trees within si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d pines at different sites might possess different strategies to cope with selection pressures acting during the final phase of reproduction, from seed dispersal to establishment. Then the ‘fitted’ red pine trees at each site should be identified and managed to conserve or restore populations.

  • PDF

Detection of The Pine Trees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and Airborne Optical Imagery

  • Lee, Seung-Ho;Cho, Hyun-Kook;Lee, Woo-Kyu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09-420
    • /
    • 2007
  • Since 1988, pine wilt disease has spread over rapidly in Korea. It is not easy to detect the damaged pine trees by pine wilt disease from conventional remote sensing skills. Thus, many possibilities were investigated to detect the damaged pines using various kinds of remote sensing data including high spatial resolution satellite image of 2000/2003 IKONOS and 2005 QuickBird, aerial photos, and digital airborne data, too. Time series of B&W aerial photos at the scale of 1:6,000 were used to validate the results. A local maximum filtering was adapted to determine whether the damaged pines could be detected or not at the tree level from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to locate the damaged trees. Several enhancement methods such as NDVI and image transformations were examined to find out the optimal detection method. Considering the mean crown radius of pine trees, local maximum filter with 3 pixels in radius was adapted to detect the damaged trees on IKONOS image. CIR images of 50 cm resolution were taken by PKNU-3(REDLAKE MS4000) sensor. The simulated CIR images with resolutions of 1 m, 2 m, and 4 m were generated to test the possibility of tree detection both in a stereo and a single mode. In conclusion, in order to detect the pine tree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at a tree level from satellite image, a spatial resolution might be less than 1 m in a single mode and/or 1 m in a stereo mode.

문경 조령 주흘관(제 1관문) 목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of the Wooden Elements Used in Juheulgwan of Joryeong (Gate No.1), Mungyeong, Korea)

  • LEE, Kwang Hee;PARK, Chang Hyun;KIM, Soo Chul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550-56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문경 조령 주흘관(제 1관문) 목부재에 대해 수종과 연륜연대분석을 진행하여 재질과 건축역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주흘관 목부재(84점)의 수종은 소나무류 76점, 잣나무류 5점, 전나무속 3점으로 확인되었다. 연륜연대분석은 코어링법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TSAP프로그램으로 크로스데이팅을 하였다. 연륜연대분석 결과, 소나무류 목부재 59점에 대한 최외각 연도는 1708년 여름-1709년 늦가을, 1792년 여름-1794년 초봄, 1838년 늦가을-1840년 초봄, 1867년과 1872년 초봄-늦가을로 총 4개의 벌채시기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벌채시기들은 조선왕족실록, 주흘관중수기, 주흘관 성벽 각기의 수리기록과 일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일부 부재들은 수리기록과 벌채시기간의 약 10년 정도 차이가 나타나 당시 벌채한 목재를 저장하여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침엽수(針葉樹) 우량교잡종(優良交雜種)의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rincip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Hybrid Pine)

  • 안건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2-114
    • /
    • 1976
  • 소나무속(屬) Diploxylon아속(亞屬)의 종간잡종(種間雜種)인 일대잡종(一代雜種) ${\times}$ P. rigitaeda와 여교잡종(戾交雜種)인 ${\times}$ P. rigida rigitaeda와 ${\times}$ P. rigitaeda rigida, ${\times}$ P. rigitaeda의 $F_2$ 및 자연잡종(自然雜種)인 ${\times}$ P. rigitaeda Wind등(等)의 임성종자확득율(稔性種子穫得率)을 기준(基準)으로 한 교배친화력(交配親和力)과 분류학상(分類學上)의 유연관계(類緣關係)를 검토(檢討)하는 동시(同時)에 조림지(造林地)에 있어서의 생장비교(生長比較), 침엽(針葉)의 해부형태비교(解剖形態比較), phenol성(性) 물질(物質)에 의(依)한 특성비교(特性比較) 및 isoperoxidase의 변이비교등(變異比較等)을 구명(究明)하여 금후계획적조림(今後計劃的造林)에 공헌(貢獻)할 잡종채종림조성(雜種採種林造成) 여부(與否)와 우량잡종간(優良雜種間) 및 기량친종간(其兩親種間)의 차이점(差異點)을 분별(分別) 관찰(觀察)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성적(成績)을 얻었다. 1. 각공시수종(各供試樹種)을 Shaw, Pilger 및 Duffield등(等)의 분류식(分類式)에 준(準)하여 각조합별(各組合別) 임성종자확득율(稔性種子穫得率)을 기준(基準)으로 교배친화력(交配親和力)과 유연관계(類緣關係)를 검토(檢討)한바 각조합(各組合)의 양친종간(兩親種間)에는 상당(相當)한 교배친화력(交配親和力)이 있었고, 근연간(近緣間)임을 알 수 있었으며, 각조합별(各組合別) 최고임성종자확득율(最高稔性種子穫得率)은 67~87%이었다. 2. 각조림지(各造林地)에서의 수고(樹高) 및 근시경(根元徑) 생장비교(生長比較)에서 수종간(樹種間)에 1~5% 수준(水準)으로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있었으므로 재적비(材積比)에서도 P. rigida 보다 28~80%의 보다 월등(越等)한 생장(生長)을 보여 조림상(造林上) 유용성(有用性) 가치(價値)가 있는 우수잡종(優秀雜種)으로 기대(期待)되며, ${\times}$ P. rigitaeda를 제외(除外)한 잡종송(雜種松)은 내한성(耐寒性)에 있어서 P. rigida의 형질(形質)을 받어 전연(全然) 동해(凍害)를 받지 않았으므로 내한력(耐寒力)이 강(强)함을 알 수 있었다. 3. 침엽(針葉)의 해부형태(解剖形態)에 있어서 제형질중(諸形質中) 일부(一部) 예외(例外)도 있었으나 각잡종송(各雜種松)은 대부분(大部分)이 hypoderm에서 biform이었고, resin canal에서는 중위(中位)를 나타냈으며, fibrovascular bundle에서는 대부분(大部分)이 양친종(兩親種)의 중간형질(中問形質)을 나타냈으므로 각잡종(各雜種)과 그 양친종간(兩親種間)의 식별(識別)은 어느정도(程度) 가능(可能)함을 보았다. 4. Phenol성물질(性物賢)에 의(依)한 특성비교(特性比較)에서 각공시잡종(各供試雜種)이 P. rigida와 공(共)히 Rf値 0.66인 phenol물질(物質) 7번(番)이 담황색(淡黃色)으로 반응(反應)되었으나 P. taeda에는 반응(反應)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양친종간(兩親種間)에는 현저(願著)한 식별(識別)을 할 수 있었다. 5. 과산화(過酸化) 동위효소형(同位酵素型)의 변이(變異)는 각공시수종(各供試樹種)에 출현(出現)된 band의 수(數)와 위치(位置) 및 활성도(活性度)의 차이(差異)가 상이(相異)하므로 어느정도(程度) 식별(識別)이 가능(可能)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소나무좀 방제(防除)에 관한 연구(硏究)(제1보(第1報)) -한국산(韓國産) 중요(重要)소나무류(類) 잎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Carotenoid 분석(分析)- (Studies on the Control of the Pine Bark Beetle (Myelophilus pinipedera LINNE) (I) -Analysis of the carotenoids in important pine species in Korea-)

  • 김영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21
    • /
    • 1975
  • 소나무좀에 감수성(感受性)인 소나무류(類) 잎에는 carotenoid의 함량(含量)이 많고 저항성(抵抗性)인 소나무류(類) 잎에는 그 함량(含量)이 적다는 흑목등(黑木等)의 보고(報告)에 따라 소나무 곰슬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리기테-다소나무 태-다소나무의 소나무좀에 대한 저항성정도(抵抗性程度)를 밝히기 위하여 이들 소나무류(類)의 일년생(一年生) 묘목(苗木)의 침엽(針葉)으로부터 Carotenoid를 추출분석(抽出分析)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다. 이들 소나무류(類)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carotenoid의 가시부(可視部) 흡수(吸收)spectrum은 매우 비슷하였다. 이들 일정침엽량(一定針葉量)에 함유(含有)된 carotenoid의 량(量)은 잣나무>리기다소나무>곰솔>리기테-다소나무>테-다소나무의 순(順)이였다. Carotenoid는 아가시아 밤나무 편백 희마라야시-다 잎에도 함유(含有)되어 있었고 이들 9수종(樹種)의 carotenoid의 총함량비교(總含量比較)는 아가시아>리기다소나무>곰솔>밤나무>리기테-다소나무>테-다소나무>편백>희마라야시-다 순(順)으로 나타나 이것은 carotenoid의 함량(含量)과 소나무좀에 대한 저항성정도(抵抗性程度)를 직결(直結)시켜서 설명(說明)하는데에는 난점(難點)이 있다고 생각되었다. carotenoid의 thin layer chromatography에 의하면 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에서는 13개(個)의 spot기외(其外)의 소나무류(類)에서는 12개(個)의 spot가 자외선형광등(紫外線螢光燈) $3,600{\AA}$$2,537{\AA}$하(下)에서 나타났다. 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의 8번째 spot는 다른소나무류(類)와 소나무류외(類外)의 수종(樹種)(밤나무 아가시아 편백 희마라야시-다)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특(特)히 소나무의 8번째 spot는 자외선형광등(紫外線螢光燈) $2,537{\AA}$하(下)에서 cobalt blue의 강(强)한 형광(螢光)을 발(發)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