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phthora nicotianae var. nicotiana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3초

딸기 역병균 Phytophthora nicotianae var. nicotianae의 균학적 특성 및 딸기 품종간 저항성 (My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ytophthora nicotianae var. nicotianae Causing Phytophthora Rot of Strawberry and Resistance of Strawberry Cultivars to the Pathogen)

  • 송주희;노성환;박현철;문병주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46-650
    • /
    • 1998
  • My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ytophthora nicotianae var. nicotianae SPC10 (A1 type) causing Phytophthora rot of strawberry and the resistances of 11 strawberry cultivars against the pathogen were examined. Optimum temperature for the mycelial growth of the pathogen was obtained in the range of 30~35$^{\circ}C$, and the growth was completely stopped under 13$^{\circ}C$ or over 42$^{\circ}C$. Aerial mycelia were abundant on oatmeal agar (OMA), V-8 juice agar (V8A) and lima bean agar (LBA) medium, although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however, on cornmeal agar (CMA) medium, it was a shape of stellate without aerial mycelia. The colony shape on potato dextrose agar (PDA) medium was rough and irregular whereas the mycelial growth was slow, and some aerial mycelia were only produced in the middle of PDA medium. Optimum temperature for sporangial formation was 3$0^{\circ}C$, and zoospores were mostly released at $25^{\circ}C$ from the sporangia. Sporangia were more produced in C/Z solution with pH 5. 0~6.$0^{\circ}C$ than sterilized distilled water (DSW) and distilled water (DW), and zoospores were also released much more than other solutions. Eleven strawberry cultivars such as Reiko, Hokowase, Eyeberry, Akaneko, Sistakara, Toyonoka, Nyoho, Sulhong, Suhong, Myhong and Wonkyo #3104 revealed the disease incidence up to 88.9~100% by the leaf inoculation with mycelial disk. However, Nyoho and Suhong showed higher level of resistance against the pathogen by root inoculation.

  • PDF

Phytophthora nicotianae var. nocotianae에 의한 딸기 역병의 발생 (Occurrence of Phytophthora Rot of Strawberry Caused by Phytophthora nicotianae var. nicotianae)

  • 송주희;노성환;하주희;정연화;문병주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45-451
    • /
    • 1998
  • A severe Phytophthora rot of strawberry caused by a species of Phytophthora has been widely occurred at major cultivation areas of Kimhae on August in 1997. Incidence of the disease was obtained in the range of 69.2~83.6% in surveyed 4 fields and showed an average of 75.2%. A species of Phytophthora was mostly isolated from the crown of infected strawberry plants and all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P. nicotianae var. nicotianae (=P. parasitica). The fungus showed strong pathogenicity on strawberry by inoculation test. As a result of the leaf inoculation using mycelial disks of the fungus, both leaves and petioles were darkly browned, and were finally blighted. As a result of the root inoculation of zoospore suspension, both roots and crowns were rotten with dark brown. Although the fungus produced sporangia either on V-8 juice agar medium or liquid medium, the sporangia observed on the liquid medium appeared to be broadly turbinate and noncaducous. Moreover the fungus cultured on the liquid medium often produced sporangia having two papilla. The number of zoospores in sporangia was found to be ranged from 3 or 4 to as many as 20 or 25. In addition, the released zoospore from the sporangium became the cystospore during the prolonged culture of the fungus. The sporangia were measured as av. 49$\times$35 ${\mu}{\textrm}{m}$ with l/b ratio of 1.43. All isolates from crowns were heterothallic and A1 mating type since oospores were abundantly formed on clarified V-8 juice agar by dual culture with P. capsici A2 mating type. Aplerotic oospores were sized 24-26 ${\mu}{\textrm}{m}$. Antheridia were always amphigynous and recoreded an average of 12$\times$10 ${\mu}{\textrm}{m}$. Hyphal swlling were easily observed, and terminal or intercalary chlamydospores were abundantly formed on V-8 juice agar as well as in C/Z solution and sized av. 28.2 ${\mu}{\textrm}{m}$.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hytophthora rot of strawberry in Korea.

  • PDF

Streptomyces sp. 에 의한 참깨 시들음병 (Fusarium oxysporum f. sp. vasinfectum) 및 역병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의 생물학적(生物學的) 방제(防除) (Biological Control with Streptomyces sp. on Fusarium oxysporum f. sp. vasinfectum and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 Causing Sesame Wilt and Blight)

  • 정봉구;홍기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1-237
    • /
    • 1991
  • 참깨 시들음병과 역병에 대한 괄항균(括抗菌) Streptomyces spp.의 길항현상과 생물학적 방제 효과를 구명코져 참깨 시들음병(F. oxysporum f. sp. vasinfectum)과 역병(P. nicotianae var. parasitica)이 발생한 포장에 이병주로 부터 병원균을 순수분리(純粹分離)하였고 괄항균(括抗菌)은 충북일원의 고추, 참깨포장의 72점의 흙으로 부터 공시 병원균에 효과있는 괄항균(括抗菌)을 대치배양법(對峙培養法)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괄항균(括抗菌) St-11 과 St-20 을 공시하여 병원균에 대한 균사저지원, 괄항균(括抗菌) 배양 여액에서의 병원균의 생육저지, 발아억제 빛 lysis 를 관찰 조사하였고 괄항균(括抗菌) 현독액(縣獨液 )(St-11) 을 종자에 처리할 경우 참깨생육에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온실에서 괄항균(括抗菌)의 토양접종에 의한 참깨시들음병과 역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병원균 단독 접종구에 비하여 40-78% 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 PDF

In Vitro Sensitivity to Metalaxyl of Phytophthora parasitica var. nicotianae Isolates from Burley Tobacco in Korea

  • Kang, Yue-Gy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222-226
    • /
    • 2000
  • In disease surveys from 1986 ti 1998, disease incidence of tobacco black shank was gradually increased in burley tobacco from 1996. To study the causes of the disease occurrence, one hundred and fourteen isolates of Phytophthora parasitica var. nicotianae (Ppn) were collected from burley tobacco-growing area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during 1996-1997, and tested in vitro for meatlaxyl sensitivity which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mycelial growth on corn meal agar (CMA) amended with metalaxyl. Of the tested isolates, 78.1% showed sensitive to metalaxyl, having $\textrm{ED}_{50}$ values less than 1.0 $\mu\textrm{g}/$\textrm{ml}, while 1.7% was resistant weth $\textrm{ED}_{50}$ greater than 100 $\mu\textrm{g}/$\textrm{ml}. Ppn isolates from three provinces, Chungnam, Chonbuk and Chonnam showed similar distributions of metalaxyl sensitivity. Metalaxyl-resistant isol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metalaxyl-sensitive ones in mycelial growth rate, chlamydospore formation capacity and size of the spore, and pathogenicity on tobacco plant (cv. Burley 21).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talaxyl-resistant Ppn in burley tobacco may be one of the major factors to cause the higher occurrence of the tobacco black shank in the burley tobacco-growing area.

  • PDF

세균용(細菌用) 항생제(抗生劑)의 참깨역병균(疫病菌)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에 대(對)한 항균효과(抗菌效果) (Antifungal Effects of Some Antibacterial Antibiotics against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 in Vitro)

  • 김홍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76-81
    • /
    • 1988
  • 세균용(細菌用) 항생제(抗生劑)인 chlorampenicol과 streptomycin sulfate의 참깨역병균(疫病菌)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ositica)에 대(對)한 항균효과(抗菌效果)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한 실험결과(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DA배지(培地)에서 chlorampenicol은 10ppm, streptomycin sulfate는 25ppm의 낮은 농도(濃度)에서 참깨역병균(疫病菌)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을 매우 강력(强力)하게 억제(抑制)하였고 유주자낭(遊走子囊) 형성(形成)을 완전(完全)히 조지(阻止)하였으며 각각 5ppm, 10ppm에서도 균사생장(菌絲生長)과 유주자낭(遊走子囊) 형성억제(形成柳制) 효과(效果)가 있었고 다른 방제약제(防除藥劑)와의 혼용시(混用時) 더 강력(强力)한 억제효과(抑制效果)가 나타났다. 2. 각(各) 처리(處理) 모두 균체내(菌體內)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이 감소(減少)하였으며 균사(菌絲)의 이상신장(異常伸長)이 관찰(觀察)되었다. 3. 유묘(幼苗)에 살포시(撒布時) 두 약제(藥齊) 모두 참깨에 약해(藥害)는 없었다.

  • PDF

참깨 역병(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 및 시들음병(Fusarium oxysporum f. sg. vasinfectum)에 길항적인 Streptomyces spp.의 분류 동정 (Identification of Antagonistic Streptomyces Species on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 and Fusarium oxysporum sporum f. sg. vasinfectum Causing Sesame Wilt and Blight)

  • 정봉구;서상오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5-71
    • /
    • 1992
  • 참깨 역병(疫病) 및 시들음병에 길항효과(拮抗效果)가 우수(優秀)한 2균주(菌株)에 대하여 형태적(形態的), 배양적(培養的) 및 생리적(生理的) 특징(特徵)에 근거하여 동정하였다. 형태적(形態的)특정으로서 포자(胞子)사슬모양이 공시균(供試菌) St-11은 꾸불꾸불한 모양(Rectus-flexibilis)인 반면(反面) 분리균주(分離菌株) St-20은 고리모양(Rectinaculum-apertum)이었다. 포자(胞子)의 세포벽표면(細胞壁表面)의 모양은 St-11이 매끄러운 모양(Smooth form)이었으나 St-20은 바늘모양(Spiny form)이었다. 배양적(培養的) 특징(特徵)으로서 기중(氣中) 균사체(菌絲體)의 색깔은 뒷면과 함께 모두 회색계통(灰色系統)이었으며 대체로 공시배지(供試培地)에서 균(菌)의 생장(生長)은 양호(良好)하였다. Soluble pigment 는 공시균주(供試菌株) St-11과 St-20 모두에서 형성(形成)되지 않았다. 공시균(供試菌) St-11은 의 분해능(分解能)과 Gelatin 액화능(液化能)은 음성 반응을 보인 반면 St-20은 전분(澱粉)의 분해능(分解能)은 양성반응, Gelatin 액화능(液化能)은 음성이었다. 이상의 여러 시험결과에 따라 공시균주 St-11은 Streptomyces bikiniensis로 St-20 은 Streptomyces echinoruber로 동정하였다.

  • PDF

참깨발병 품종저항성 검정방법 연구 (An Evaluation Method for Sesame (Sesamum indicum L.) Resistance to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

  • Seong Ho, Choi;Eui Kyoo, Cho;Young Am, Cha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3-180
    • /
    • 1987
  • 본 시험은 참깨 발병(병원균 :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에 대한 품종저항성 검정방법 확립을 위해 실시하였다. 공식작물의 묘령, 접종방법, 토양수분상태 및 접종원의 농도는 공시한 중도저항성계통 B-67, IS 103과 나병성계통 수원9호, 수원 2006 모두의 병진전속도와 발병심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파종후 20일된 유묘에 1 $m\ell$당 200개 포자상의 접종원을 폿트(8$\times$16.7$\times$7.2cm)당 10$m\ell$씩 토양표면에 접종한 후 저면관수로 토양수분을 포화상태로 유지하였을 때 계통간 저항성의 차이를 갈 볼 수 있었다. 묘령 70일의 성묘를 사용하였을 때는 토양접종을 하였을 때나 분무접종을 하였을 때 모두 계통간 저항성 차이를 잘 볼 수 있었다. 전술한 유묘검정방법에 의해 이병성계통인 수원2006는 이병주율로는 100%, 발병심도로는 최대치인 9.0을 보였다. 반면에 중도저항성계통인 B- 67은 이병수율로는 20%, 발병심도로는 1.7을 보였다. 발병심도는 0에서 9까지 지수화하여 나타내었다. 예를 들면, 발병심도 0은 병징이 없는 상태, 5는 지면부 줄기가 변색된 경우, 9는 잎마름증상과 함께 줄기변색이 지면부로 부터 10cm 이상인 경우이다. 품종간 저항성의 차이는 병총면적률로도 조사를 하였으며, 이 결과는 발병심도로 조사한 검정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 PDF

Phytophthora nicotianae와 P. palmivora var. palmivora에 의한 아주까리 역병 (Leaf Blight of Castor Bean Caused by Phytophthora nicotianae and P. palmivora var palmivora)

  • 김병수;임양숙;김정훈
    • 식물병연구
    • /
    • 제10권2호
    • /
    • pp.100-104
    • /
    • 2004
  • 대구시 황금동 주택가에 자라는 아주까리에 발생한 역병(잎마름병)에서 2종의 Phytophthora 균이 분리되었다. 그 하나는 유두돌기가 뚜렷하고, 비탈락성이며, 난형 내지 서양 배 모양의 유주자낭을 형성하고, 그 크기는 31.2-58.5${\times}$25.4-44.1 $\mu\textrm{m}$의 범위에 평균 46.4$\pm$6.5${\times}$35.9$\pm$4.7 $\mu\textrm{m}$, 이주성(Heterothallic)으로서 장란기는 둥글고, 직경 22.5-35.0$\mu\textrm{m}$ 범위에 평균 30$\pm$3.3$\mu\textrm{m}$,그 안의 난포자는 충만형이었으며, 직경 18.8-30.0$\mu\textrm{m}$ 범위에 평균 25.4$\pm$2.8$\mu\textrm{m}$ 이었다. 장정기는 장란기에 저착하였다. 이 종은 Phytophthora nicotianae로 동정되었다. 다른 하나의 종은 유두돌기가 뚜렷하고, 탈락성이며, 난형 내지 타원형, 기부에 자루가 붙어있는 유주자낭을 형성하였으며, 그 크기는 21.5-54.6${\times}$l7.6-34.3$\mu\textrm{m}$ 범위에 41.7$\pm$7.1${\times}$28.4$\pm$4.0$\mu\textrm{m}$, 이주성이었으며, 장란기는 구형, 직경 21.3-26.8$\mu\textrm{m}$ 범위에 평균 23.0$\pm$1.6$\mu\textrm{m}$, 난포자는 충만형, 직경 17.5-23.8$\mu\textrm{m}$ 범위에 평균 20.2$\pm$1.8$\mu\textrm{m}$, 장정기는 저착하였다. 이 종은 P. palmivora (Butler) Butler로 동정되었다. 2종 모두 후막포자를 형성하였다. 이들 2종 Phytophthora 균은 아주까리 유묘의 잎에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2종에 의한 아주까리 역병의 발생은 외국에서는 이미 보고되어 있으나 국내에서는 처음이다.

방선균 GT103 균주가 생산하는 Actinomycin C\ulcorner의 동정 및 연초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Identification of Actinomycin C\ulcorner Produced by Actinomycetes Isolate GT103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obacco Pathogens)

  • 여운형;김영호;김상석;박은경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0-84
    • /
    • 1996
  • 토양에서 분리한 방선균류(actinomycetes) GT103 균주의 배양여액 및 균체추출물은 담배의 주요 병원균인 담배 줄기속마름병균(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담배 탄저병균(Colletotrichum tabacum), 담배역병균(Phytophthora nicotianae var. nicotianae)등에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항균활성물질은 용매 추출, silica gel chromatography, HPLC 등을 실시하여 분리.정제하였으며 UV, IR, FAB-MS, \ulcornerH-NMR, \ulcornerC-NMR 분석결과 actinomycin group의 펩타이드계 항생 물질인 actinomycin C\ulcorner로 동정되었다. 이 활성물질의 담배 탄저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50$\mu\textrm{g}$/ml 농도에서 100%, 10$\mu\textrm{g}$/ml 농도에서 90%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 PDF

참깨 병해연구 I. 참깨 역병의 발생에 대하여 (Studies on Sesame Diseases in Korea I. Incidences of Phytophthora Blight)

  • 조의규;허노열;최성호;이승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11-215
    • /
    • 1982
  • 1981년 전북고창, 전남영광, 경북달성, 경남진양 지역에서 참깨병해의 발생과 피해를 조사한 결과 참깨역병의 피해가 가장 심하였다. 참깨역병의 발생은 포장에 따라 차이가 컸으며 발병이 심한 포장에서는 발병주율이 $61\%$나 되었다. 참깨역병을 일으키는 병원균 Phytophthora spp.는 유주자낭의 형태적특성과 참깨에 대한 특이적인 병원성에 의하여 Phytophthora nocitianae var. parasitica (Dastur) Waterhouse로 동정되었다. 참깨역병의 병징은 줄기가 암갈색으로 변색, 부패되어 식물체가 도태고사하는 특징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