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ologic tooth movement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7초

투명 장치의 열가소성 재료의 올바른 이해 (Physical properties of thermoplastic material for clear aligners)

  • 차정열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7호
    • /
    • pp.542-550
    • /
    • 2016
  • Recent technological advance have greatly expanded the application of invisible orthodontic treatment using clear thermoplastic materials. However, the final outcomes using clear aligner system do not achieve the level of final goal frequently, which results in case refinement, midcourse correction, or fixed orthodontic treatment. Therefor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rmoplastic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outcomes. The purposes of this special article were to evaluate the force and stress depending on the materials, deflection and thickness of thermoplastic materials and to evalu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rmoplastic materials after repeated loading. Thickness and amount of deflection rather than products and materials showed the largest effect on force and stress. In all products, at least 159 gf of force was required for more than 1.0 mm deflection or when materials with 1.0 mm thickness were deflected. Orthodontic forces delivered by thermoplastic materials depend on the materials, thickness, amount of activation, and intra-oral condition. Proper thickness of thermoplastic materials and deflection level of tooth movement should be decided for the efficient and physiologic tooth movement.

  • PDF

Conservative enucleation for physiologic space closure in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 Kezia Rachellea Mustakim;Mi Young Eo;Hye-Jung Yoon;Soung Min Ki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50권3호
    • /
    • pp.170-174
    • /
    • 2024
  •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AOT) is a rare, asymptomatic, slow-growing benign tumor that can be divided into three variants: follicular, extrafollicular, and peripheral. By treating AOT using an enucleation and curettage approach, recurrence can be avoided. We report a case of a 24-year-old female who presented with a lump in the right mandibular premolar area along with diastema between displaced teeth #43 and #44 and was diagnosed with extrafollicular AOT. The patient was managed with enucleation-curettage surgery without additional bone graft procedure along with routine follow-up. A successful outcome without recurrence was achieved, and diastema closure with repositioning of the displaced teeth did not require orthodontic treatment. AOT should be managed via enucleation and curettage to obtain successful outcomes without recurrence. Spontaneous bone regeneration following enucleation can be achieved without guided bone regeneration. Also, diastema closure and repositioning of displaced teeth can occur without orthodontic interventions through physiologic drift.

고정원 강화를 위해 치면에 부착한 fiber-reinforced composite과 스테인리스강 와이어의 피로한도 비교 (Comparison of the fatigue limit of fiber-reinforced composites and stainless steel wires when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for anchorage reinforcement)

  • 김문정;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02-311
    • /
    • 2005
  • 본 연구는 고정원을 강화하는데 사용되는 fiber-reinforced composite (FRC)과 스테인리스강 와이어의 피로 한도를 치아의 생리적 동요도가 허용되는 조건에서 비교하여 FRC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스테인리스강 와이어군은 각형과 원형 와이어군으로 나누고 FRC군은 uni-directional군과 woven군, 그리고 각각의 군에 있어서 치간 부위에 레진을 코팅한 군과 코팅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간의 피로한도를 일반적인 교정치료기간을 재현한 $5{\times}10^5cycle$의 피로한도 내에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스테인리스강 와이어에서는 각형 와이어가 원형 와이어보다 피로한도가 더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p>0.05) 치간부위를 레진으로 코팅한 FRC와 코팅하지 않은 FRC 모두 uni-directional군이 woven군보다 피로한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p<0.05) 그 값은 치간 부위를 레진으로 코팅한 FRC가 코팅하지 않은 FRC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0.05). 스테인리스강 와이어와 FRC 모두 임상적으로 유용한 $5{\times}10^5cycle$의 피로한도 내에서는 파절되지 않았기 때문에 둘 다 고정원 강화를 위해 사용하여도 충분하며 또한 심미성이 요구되거나 부가적인 장치의 부착이 필요한 곳에서는 FRC를 사용하여도 충분하리라 생각된다.

Mandibular Kinesiograph를 이용한 측두하악장애환자의 하악운동 분석 (Analysis on Mandibular Mov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using Mandibular Kinesiograph)

  • Woo-Cheon Kee;Byung Gook Kim;You-Kyung Le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0권1호
    • /
    • pp.185-194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primary diagnosis, prediction of prognosis and recognition fo treatment progress for treatment of TMD patients through measuring the various ranges of mandibular movement in normal and TMDs patients using Mandibular Kinesiograph K-6 Diagnostic system. In normal groups, 20 adults were selected, who have normal or class I molar relationship, and have no symptoms on TMJ and masticatory muscles, and have restorations less than 3 surfaces on each tooth, and have no other prosthetic restoration. In Patients group, we selected 31 outpatients who were confirmed to TMDs with clinical examination and radiographic finding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maximal opening, patient group was showed the limitation of vertical movement range (P<0.01) and lager lateral deviation than in normal group (P<0.05). And actual dimensional displacement of opening was calculated larger in normal group (P<0.05). 2. In protrusive movement, patients group was showed the limitation of anteroposterior movement range (P<0.001) and larger deviation than in normal group (P<0.01). And actual 3 dimensional displacement of protrusion was calculated larger in normal group (P<0.001). 3. In lateral maximum excursion, compared with normal group patient group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affected side, but was showed the limitation of lateral movement to unaffected side (P<0.001).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vement velocity of opening and closing in both groups. 5. Mandibular movement from physiologic rest position to centric occlusion was moved more anteroposteriorly in patient group. 6. Mandibular movement from centric relation to centric occlusion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groups.

  • PDF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the patient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a case report

  • Song, Mi-Young;Park, Ji-Man;Park, Eun-Ji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2권3호
    • /
    • pp.106-110
    • /
    • 2010
  • The severe wear of anterior teeth facilitates the loss of anterior guidance, which protects the posterior teeth from wear during excursive movement. The collapse of posterior teeth also results in the loss of normal occlusal plane and the reduction of the vertical dimension. This case report describes 77-year-old female, who had the loss of anterior guidance, the severe wear of dentition, and the reduction of the vertical dimension. Occlusal overlay splint was used after the decision of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by anatomical landmark, facial and physiologic measurement. Once the compatibility of the new vertical dimension had been confirmed, interim fixed restoration and the permanent reconstruction was initiated. This case reports that a satisfactory clinical result was achieved by restoring the vertical dimension with an improvement in esthetics and function.

구순구개열 환아에서의 치조골이식 (TOOTH MOVEMENTS TO THE SITE OF ALVEOLAR BONE GRAFT)

  • 조해성;박재홍;김광철;최성철;이긍호;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40-149
    • /
    • 2007
  • 치조파열 및 구개열과 같은 선천성 기형은 이환된 환자에게 기능적, 심미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므로 정상으로 회복시켜 주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장기간 방치될 경우 영양장애, 구강위생 불량, 호흡기 감염, 언어 장애, 악안면 변형, 그리고 정신적인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구순구개열 환자의 치료는 여러 전문 치료 분야의 복합적 인 접근이 필요하다. 골이식은 구순구개열 환자에 있어 중요한 치과치료 단계이다. 치아의 맹출과 치열의 안정화를 위해 치열궁은 골결손이 없이 완전해져야 한다. 또한 치열궁의 파열이 있는 부위로는 정상적인 교정적 치아이동이 곤란하다. 따라서 구순구개열 환자에 있어 골이식은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외과적 술식이다. 치조골을 이식함으로써 치조열은 안정화되고, 견치 또는 절치가 이식부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골 이식 후, 교정을 통해 치조열 부위의 공간을 폐쇄함으로써 보철치료 없이 치열을 재형성 할 수 있다. 골이식술에는 다양한 이식재료가 사용되었다. 자가골을 이식할 경우 장골이 가장 선호되며, 그밖에 경골, 늑골, 두개골, 하악골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골이식은 골이식 시기에 따라 일차골이식, 조기 이차골이식, 이차골이식, 만기 이차골이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차골이식은 혼합치열기 말경에 시행되는 것을 말하며 가장 좋은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영구 견치가 맹출되기 전에 이차골이식을 시행하면 인접치아의 맹출과 보존에 도움이 된다. 본 증례에서는 치조구개파열 환자의 장골에서 골을 채취하여 골 이식을 시행한 후, 골이 채워진 이식 부위에 인접 치아가 성공적으로 이동하거나 치축이 개선되고 교정치료를 통해 치열궁 배열의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Cyclic tensile stress inhibits Wnt/${\beta}$-catenin signaling i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 Kim, Ji-Young;Yang, Daum;Kim, Ha-Neui;Jung, Kyoung-Suk;Chang, Young-Il;Lee, Za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4권2호
    • /
    • pp.53-59
    • /
    • 2009
  • Periodontal ligament (PDL) tissue is a connective tissue that is interposed between the roots of the teeth and the inner wall of the alveolar bone socket. PDL is always exposed to physiologic mechanical force such as masticatory force and PDL cells play important roles during orthodontic tooth movement by synthesizing and secreting different mediators involved in bone remodeling. The Wnt/${\beta}$-catenin signaling pathway was recently shown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control of bone form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applied cyclic tensile stress of 20% elongation to cultured human PDL cells and assessed its impact after six days upon components of the Wnt/${\beta}$-catenin signaling pathway. RTPCR analysis showed that Wnt1a, Wnt3a, Wnt10b and the Wnt receptor LRP5 were down-regulated, whereas the Wnt inhibitor DKK1 was up-regulated in response to these stress conditions. In contrast, little change was detected in the mRNA expression of Wnt5a, Wnt7b, Fz1, and LRP6. By western blotting we found decreased expression of the ${\beta}$-catenin and p-GSK-3${\beta}$ proteins. Our results thus show that mechanical stress suppresses the canonical Wnt/${\beta}$-catenin signaling pathway in PDL cells.

상악 치열의 치군 후방이동에 관한 3 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PHENOMENON DURING DISTAL EN MASSE MOVEMENT OF THE MAXILLARY DENTITION)

  • 신수정;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63-580
    • /
    • 1998
  • 치열의 치군 후방이동을 유발하는 교정력에 의해 발생되는 개개 치아의 초기 변위와 응력분포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상악 치아와 치근막, 그리고 치조골의 해부학적 형태와 생체적 특성을 컴퓨터로 재현하고 모형화된 브라켓을 부착한 3 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형성하였다. 치열의 치군 후방이동에 사용되는 구외력과 II급 악간고무, ideal arch wire와 MEAW(Multiloop Edgewise Arch Wire), 그리고 호선에 부여된 tip back bend 에 의해 야기되는 치아 변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치료방법을 상악 제 2 대구치를 발거한 경우와 발거하지 않은 경우에 각각 적용하여 상악 제 2대구치 존재유무에 따른 치아이동 양상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치부 헤드기어에 의해 발생되는 치아변위는 후방 치체변위와 후방 경사변위, 그리고 수직변위 모두 치열 전방부에 집중되어 있었다. 2. Ideal arch wire에 II급 악간고무를 적용한 경우, 치아변위가 치열 전방부에 집중되었으나 ideal arch wire에 tip back bend를 부여하면 악간고무에 의한 견인력이 후방으로 전달되었다. 부여하는 tip back bend의 양이 증가할수록 전치부의 후방 치체변위와 설측 경사변위는 감소하였고 구치부의 후방 치체변위와 경사변위는 증가하였으며 II급 악간고무에 의한 전치부 정출이 감소하였다. 3. MEAW와 II급 악간고무를 적용한 결과, 치아변위 경향은 ideal arch wire와 II급 악간고무를 사용한 경우와 유사하였으나 작은 양의 치아변위와 함께 치열내 개개치아의 비교적 균등한 이동양상을 보였다. 4. 상악 제 2 대구치가 존재하는 유한요소 모델에 상악 제 1 대구치까지만 교정장치를 장착하고 후방이동을 시도한 결과 상악 제 1 대구치 치아이동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교정용 열가소성 재료의 두께와 변형량이 재료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ickness and deflection of orthodontic thermoplastic materials on its mechanical properties)

  • 민샘;황충주;유형석;이상배;차정열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6-26
    • /
    • 2010
  • 다양한 열가소성 교정 재료를 이용한 성공적인 임상 결과가 보고되었지만, 재료의 물리적 성질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열가소성 재료의 종류, 두께, 변형량과 반복변형에 따른 변형 시 필요한 하중과, 변형되었던 재료가 원래의 상태(resting position)로 돌아갈 때 재료의 복원력을 평가하였다. 실험적인 모델의 조건에서 투명교정장치의 재료로 쓰이는 4가지 종류의 열가소성 재료(0.5 mm, 0.75 mm, 1.0 mm 두께)를 최종 변형량이 2.0 mm가 될 때까지의 하중(gf)을 측정하였다. 변형 후 탄성력에 의해 원점으로 회복될 때, 재료의 복원력(gf/$mm^2$)을 측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5회 반복변형 동안의 하중과 복원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열가소성 재료의 두께와 변형량에 대해 상호 교호작용이 관찰되었으며 (p < 0.05), 열가소성 재료의 두께 및 변형량이 하중과 복원력에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었고 재료 간 혹은 제품 간의 하중과 복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께가 1.0 mm이거나 또는 1.0 mm 이상 변형인 경우 최소 159 gf의 하중이 필요하였고, 최소 16 gf/$mm^2$의 복원력이 발생하였다. 각 실험군에 대한 반복하중 시 하중과 복원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고 (p < 0.01), 평균 10 - 17%의 하중 감소와 4 - 7%의 복원력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 하중과 복원력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요소는 재료의 두께와 치아의 이동량 이었다. 제품에 상관없이 두께가 1.0 mm 이상인 재료를 사용하거나 치아를 1.0 mm 이상 이동 시에는 과도한 힘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투명교정장치를 이용하여 생리적으로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초기 치아배열을 위해 사용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두께와 셋업 시 치아 이동량을 고려하여 과도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반복하중 후에 열가소성 재료의 피로도에 의한 힘의 상쇄를 고려하여 임상에 적용해야 한다.

수종의 고정성 보정장치에 따른 유성견의 치주조직 반응 (Periodontal Tissue Response Following Different Types of Fixed Retainers in Young Adult Dogs)

  • 조명훈;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5-95
    • /
    • 2001
  • 교정력을 가한 후 각기 다른 재료로 제작된 고정성 보정장치를 적용한 경우에 발생하는 치주조직의 재형성과 치유과정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건강한 치주상태를 가진 네 마리의 유성견을 대상으로 최초 교정력이 200gm이 되도록 견인 스프링 (sentalloy closed coil $spring^{\circledR}$, Tomy Co., Japan)을 대상 치아에 결찰하여 1주일 간 교정력 을 가한 후 각각의 실험동물에 3가닥 호선인 0.018인치 $Dentaflex^{\circledR}$(Dentarum Co., Germany), 3가닥 호선인 0.020인치 $Dentaflex^{\circledR}$(Dentarum Co. Germany), 5가닥 호선인 0.0195인치 $Respond^{\circledR}$(G&H Co., U.S.A.)를, 그리고 자가중합형 레진 접착제인 Superbond $C&B^{\circledR}$를 고정성 보정장치의 재료를 이용하여 보정장치를 접착한 군과 보정장치를 접착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3주간 적용 후 희생하여 H-E 염색군, M-T 염색군으로 나누어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0.0195인치 $Respond^{\circledR}$를 접착시킨 군은 0.018인치 $Dentaflex^{\circledR}$, 0.020인치 $Dentaflex^{\circledR}$, Superbond $C&B^{\circledR}$를 접착시킨 군에 비교할 때 압박측에서의 거대세포 침윤 감소와 긴장측에서의 신생골 형성 증가가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치주인대는 형태와 배열에서 대부분 정상적인 소견을 보였다. 2. 실험 1군의 모든 실험대상에서 압박측 치조골 내부의 괴사골이 관찰되었고, 압박측과 긴장측 모두에서 치조골 표면의 골양조직 및 sharpey 섬유의 형성과 치주인대의 재형성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관찰되었다. 3. 실험 2군은 실험 1군에 비교하여 압박측에서 거대세포 침윤이 현저히 감소되었고 치주인대는 거의 정상적인 소견을 보였다. 긴장측에서는 수층의 골침착을 보이며 치주인대 측으로 골양조직과 골아세포가 구상으로 나타나는 활성화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더 여러 가닥이 꼬인 6가닥 호선인 0.0195인치 $Respond^{\circledR}$(G&H Co., U.S.A.)를 보정장치로 적용한 경우가 다른 재료의 고정성 보정장치보다 더 활발한 신생골주 형성의 활성화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대조군과 유사한 배열과 형태를 보이는 정상적인 치주인대 섬유의 배열양상이 관찰되어 다른 재료들에 비교하여 치주조직의 초기 재형성 과정을 더 신속하게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