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o-chemical condition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6초

Nitrogen Isotope Labeled Tetraheme Cytochrome c3 on a Defined Medium

  • Kim, Andre;Park, Jang-Su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2호
    • /
    • pp.278-280
    • /
    • 2005
  • To obtain cytochrome $c_3$ labeled with a stable isotope, the conditions of cultivation and the composition of medium for DvMF were examined. The growth of DvMF was steady and reproducible under purging with $N_2$ and under pH control. DvMF was able to go on a defined medium without natural products. The composition of medium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NH_4C$l as sole nitrogen source was established. Then, uniformly $^{15}N$labeled cytochrome $c_3$ was obtained during the culture of DvMF in a defined medium with $^{15}NH_4$Cl; it was confirmed by $^1H-^{15}N$ HMQC.

금호강의 수질오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Water Pollution in Gum Ho River)

  • 강회양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1
    • /
    • 1982
  • A study on the water pollution of Gumho river by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o-chemical conditions and water quality level by phytoplankton was examined at 6 sampling positions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21 to August 11, 1982. Examination of physio-chemical water analysis such as temperature, pH, DO, BOD and biological analysis has shown 1. The average for Gumho river was 6.2 - 7.2 of pH, 2.6 - 9.4 mg/l of DO, 28.8 - 122.4 mg/l of BOD. 2. The phytoplankton identification in this survey period showed, Cyanophyceae is 7 genera 13 species, Bacillariophyceae 11 genera 32 species and Chlorophyceae 17 genera 27 species. 3. The results of biological water analysis were as follows: Banyawol was from oligosaprobic to $\beta$-mesosaprobic. Dongchon and Gumdan was from $\alpha$-mesosaprobic to $\beta$-mesosaprobic, 3rd gongdan was from oemesosaprobic to $\beta$-polysaprobic, Paldal was $\beta$-polysaprobic and Gangchang was repolysaprobic. 4. To appear dominant algae there were Microcycstis, Oscillatoria, Anabaena, Melosira, Nitzschia and Synedra.

  • PDF

금호강의 이화학적 조건과 식물성 Plankton에 따른 수질오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ater pollution of the physio-chemical conditions and phytoplankton of the Gumho River.)

  • 강회양;차상은;박선섭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1
    • /
    • 1982
  • A study on the water pollution of Gumho river by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o-chemical conditions and water quality level by phytoplankton was examined at 7 sampling positions during the period from Aug. 1 to Nov. 30, 1981. Examination of physio-chemicat water analysis such as temperature, pH, DO, BOD, and biological analysis are as follows: 1. pH was in the range of 6.6-7.3. 2. At all positions DO was0.5-11.9 mg/l. But at Shinchun bridge and Gangchang was 0.5-3.9 mg/l. 3. BOD was in the range of 3.4-29.2 mg/l. Banyawol, Dongchon and Gumdan was shown good condition. But at Shinchun bridge was 21.1-29.2 mg/l. 4. The plankton identification in this study period showed, Cyanophyceae is 7 genera 13 species, Bacillariophyceae is 11 genera 32 species, and Chlorophceae is 17 genera 27 species: total 35 genera 72 species. 5. In the point of phytoplankton classification, upper stream of Banyawol, Dongchon and Gumdan which BOD was 3.4-8.7 mg/l, dominant phytoplanktons were Synedra ulna, Ulothrix sp., Oscillatoria sp. and Frusturia rhomboides. At Shinchun bridge which BOD was 21.1-29.2 mg/l, Microcystis aeruginosa, Closterium acerosum and Oscillatoria sp were found a small. At 3rd gongdan which BOD was 9.2-12.5 mg/l, dominant species were Synedra ulna, Hormidium sp and Actinastrum hantzschii. At Paldal which BOD was 7.8-9.2 mg/l, dominant species were Nitzschia palea, Synedra ulna and Scenedesmus bijuga. At Gangchang of down stream which BOD was 6.9-9.2 mg/l, dominant phytoplanktons were Closterium acerosum, Microcystis aeruginosa and Actnastrum hantzschii. 6. The results of biological water analysis by saprobic system were as follows: Banyawol was from oligosaprobic to $\beta$-mesosaprobic, Dongchon and Gumdan was from $\beta$-mesosaprobic to $\beta$-mesosaprobic, Shinchun bridge was polysaprobic, 3rd gongdan was from $\alpha$-mesosaprobic to $\beta$-polysaprobic, Paldal was $\beta$-polysaprobic and Gangchang was $\alpha$-polysaprobic.

  • PDF

구룡광산 광미층의 심도변화에 따른 물리.화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 (Physio-chem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e Tailings in the Guryoung Mining Area)

  • 문용희;김정연;송윤구;문희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2호
    • /
    • pp.183-19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구룡광산에 적치된 광미층으로 부터 채취된 대표 비교란 코어시료를 대상으로 체계적인 물리 화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을 심도별로 정량적으로 파악, 중금속 거동 핵심 영향요소를 기준으로 광미층 수직분대를 시도하고, 이를 기초로 광미층 비포화대-포화대에 걸친 원소 거동과 지화학적 조건과의 상관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룡광산의 대상 광미층은 화학적으로 지하수면을 경계로 상부층 구간에서의 낮은 pH(4)와 20wt.% 이상의 높은 $Fe_2O_3$$SO_3$ 함량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물리 화학적 및 광물학적 분석 자료를 고려하여 구룡광산 광미층을 심도증가에 따라 복토층, jarosite zone, Fe-sulfate zone, Fe-oxyhydroxide zone, gypsum-bearing pyrite zone, calcite-bearing pyrite zone, soil zone(광미층 집적 이전 토양층), weathered zone 등 7개분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새로 생성된 이차광물상의 특성을 고려할 때 지하수면을 기준으로 상부층을 산화대(oxidation zone)로, 하부층을 비산화대(unoxidation zone), 혹은 carbonate-rich primary zone으로 크게 대분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구룡광산 광미층의 물리 화학적 및 광물학적 변화를 지하수면 상부층에서의 황화광물, 특히 황철석의 산화반응이 핵심요소가 되어, 이로 인한 pH 값의 감소, 일차광물의 용해반응 및 원소 용출, 이차광물상 생성, 그리고 생성된 산의 탄산염 및 규산염광물에 의한 산-중화반응 등 일련의 지화학적 반응으로 설명할 수 있다.

Leverag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ssess explosive spalling in fire-exposed RC columns

  • Seitllari, A.;Naser, M.Z.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24권3호
    • /
    • pp.271-282
    • /
    • 2019
  • Concrete undergoes a series of thermo-based physio-chemical changes once exposed to elevated temperatures. Such changes adversely alter the composition of concrete and oftentimes lead to fire-induced explosive spalling. Spalling is a multidimensional, complex and most of all sophisticated phenomenon with the potential to cause significant damage to fire-exposed concrete structures. Despite past and recent research efforts, we continue to be short of a systematic methodology that is able of accurately assessing the tendency of concrete to spall under fire conditions. In order to bridge this knowledge gap, this study explores integrating novel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iques; namely,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daptive neuro-fuzzy inference system (ANFIS) and genetic algorithm (GA), together with traditional statistical analysis (multilinear regression (MLR)), to arrive at state-of-the-art procedures to predict occurrence of fire-induced spalling. Through a comprehensive datadriven examination of actual fire test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I techniques provide attractive tools capable of predicting fire-induced spalling phenomenon with high precision.

합성배지(合成培地)를 이용(利用)한 고온성(高溫性) 느타리버섯의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에 관한 연구(硏究) (Fruit-body Formation of Pleurotus florida on the Synthetic Medium)

  • 홍재식;강귀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1-128
    • /
    • 1983
  • 합성배지(合成培地)에서 고온성(高溫性) 느타리 버섯균(菌)의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에 관한 영양적(營養的) 특성(特性)과 생리화학적(生理化學的) 성질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이 우수한 당류(糖類)는 mannitol과 sucrose이었고 arabinose, lactose, inulin은 균사생육(菌絲生育)이 빈약할 뿐만 아니라 자실체(子實體)가 형성(形成)되지 않았으며 mannitol의 최적 온도(溫度)는 2%였다. 2. 질소원(窒素源)중에서 peptone이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이 빠르고 자실체(子實體)의 수량(收量)이 많았으며 아질산태(亞窒酸態) 질소(窒素)는 저해적이었다. peptone의 최적 농도(濃度)는 0.2%이었다. 3.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이 우수한 Vitamin은 thiamine과 folic acid이었고 $KH_2PO_4$$MgSO_4{\cdot}7H_2O$의 최적 농도(濃度)는 각각 0.2%와 0.02%이었으며 그 밖의 무기염류(無機鹽類)는 효과가 없었다. 4. 광조도(光照度)는 $100{\sim}500\;lux$, 균사생육(菌絲生育) 온도(溫度)는 $25^{\circ}C$,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 온도(溫度)는 $20^{\circ}C$, pH는 6.0에서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이 우수하였다.

  • PDF

녹숙(綠熟)고추의 저온저장(低溫貯藏)에 따른 종자갈변(種子褐變)에 관(關)한 생리화학적연구(種字化學的硏究) -제 3 보(第 3 報) CA 조건(條件)이 종자갈변(種子褐變)에 미치는 영향(影響)- (Physio-chemical studies on the seed-browning in mature green peppers stored at low-temperature (Part 3) -The effect of various CA condition on the seed-browning-)

  • 이성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4-47
    • /
    • 1971
  • (1) CA 조건(條件)을 달리하여 저온처리(低溫處理)한 Zairaisisi를 종자(種子) 갈변도(褐變度)를 관찰(觀察)하였드니 $CO_2$ 3%의 조건(條件)에서 갈변억제(褐變抑制)의 효과(效果)가 있음을 알았다. (2) 저온저장(低溫貯藏)에 따른 total polyphenol 함량(含量)의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하니 $CO_2$ 3%의 조건(條件)에서 peak의 발현(發現)이 control구(區) 보다 늦어져서 외관(外觀)의 변화(變化)와 부합(附合)하였다. (3) CA 조건(條件)을 달리한 고추 종자(種子)의 polyphenol 추출액(抽出液)에 대(對)한 효소액(酵素液)의 갈변능(褐變能)은 polyphenol oridase 활성도(活性度)의 변화(變化)와 대체(大體)로 같은 경향(傾向)을 보여 주었다. (4) CA 조건이 고추 종자(種子)의 peroxidase 활성도(活性度)에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의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 PDF

금산 지역 토양 차이에 의한 인삼 중 무기 원소의 함량 변화 (Characteristics of the Inorganic Element Contents or the Korean Ginsengs from Various Soils of Keumsan)

  • 송석환;민일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1호
    • /
    • pp.13-25
    • /
    • 2009
  •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풍화토양에서 혈암 및 화강암지역이 높은 원소가, 화강암지역이 낮은 원소가 많았다. 이는 토양내의 이들 원소를 함유할 수 있는 광물의 존재와, 함량으로 설명이 될 수 있다. 밭 토양에서 천매암 지역이 높은 원소가, 화강암 지역은 낮은 원소가 많았다. 즉 이 관계는 토양 내 함유되어 있는 광물내 원소의 특성과, 풍화작용, 인삼의 생육기간 동안 발생하는 토양내의 물리, 화학적 작용 탓으로 설명할 수 있다. 모암에서 혈암이 높은 원소가, 화강암이 낮은 원소가 많았다. 각 암석별 원소 함량 차이는 암석 중 존재하는 광물의 특성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인삼은 각 지역별 함량 비교에서 높은 값이 혈암 지역의 T1, 천매암 지역의 Cs, B, 화강암 지역의 Be, Cd에서 나타났다. 이 들 관계는 토양 중 이들 원소들을 함유하고 있는 광물의 종류 및 함량 차이에 의한 영향과 토양 중에서 원소의 거동에 영향을 주는 물리, 화학적 특성 차이 탓이다. 동일 지역 연생 차이별 성분 비교에서 높은 원소가 혈암 지역은 2 년생, 천매암 및 화강암 지역은 4 년생에서, 타 지역 동일 연생별 평균 비교에서 높은 원소가 2 년생은 혈암지역이, 3, 4년생은 화강암 지역에서 나타났다. 이는 토양 중 광물의 특성, pH, 온도 등의 물리, 화학적 변수들이 특정연령 및 토양 지역에 더 잘 반영되었음을 암시한다. 풍화토와 밭토양의 관계에서 혈암 지역이 대부분 원소에서 풍화토가 높고, 천매암 및 화강암 지역은 밭토양이 높았다. 이는 풍화토는 개방된 상황에서 풍화를 받는 지역인데 반해, 밭토양은 인위적인 영향을 받았고, 해가림 밑에서 인삼이 다년생으로 자라면서 원소들이 인삼 내에서 흡수되고, 해가림 밑에서 풍화에 의한 영향을 받았을 것을 암시한다. 토양과 인삼의 성분과의 관계에 토양이 인삼에 비해 Cs, T1, Be에서 높고, 커다란 차이가 나타났다. 3 토양 중 화강암 지역의 인삼이 다른 두 지역보다 원소 함량에서 토양의 조성에 가까움을 암시한다.

환경 변동에 따른 경ㆍ연질 소맥의 등숙 및 품질의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Grain Filling and Quality Changes of Hard and Soft Wheat Grown under the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 함영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7권
    • /
    • pp.1-44
    • /
    • 1974
  • 본연구는 1972년에 수원에서 그리고 1973년에는 다시 수원, 매리 및 이리 광주의 3개 지역에서 경질 소맥인 NB 68513, Caprock와 중간질 소맥인 영광, 연질 소맥인 수계 169호를 공시하여 시비량 및 재배시기를 각각 3수준의 처리를 두어 등숙 및 품질의 변화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한편 1973년 및 1974년에는 수원에서 중간질 소맥인 영광과 경질 소맥인 NB 68513을 공시하고 온실에서 온도, 습도 및 일사량을 달리하여 이들이 소맥의 등숙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추구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맥립의 등숙: 1) 1립중의 변이폭은 대립종이 소립종에 비하여 크고, 립중별 소맥립의 분포는 대립종이 평균치에 가까이 분포된 율이 높았고, 소립종은 넓은 분산을 보였다. 2) 립중의 증가에 미치는 립장, 립후 및 립폭의 영향의 정도는 립장보다 립후와 립폭이 컸다. 3) 등숙 시기별 립중의 변화에 있어서 영광은 개화후 14일부터 35일까지, NB 68513은 14일부터 28일까지에 급증하였고, 대립종인 영광은 소립종인 NB68513에 비하여 등숙기간이 길었으며 배란비율도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4) 1000립중은 대체로 저온에서보다 고온에서, 다습보다 건조한 공중습도 조건에서 가벼웠고, 저온이나 고온에서라도 다습 조건하에서는 무거운 경향을 보였다. 또한 서광의 영향은 저온에서보다 고온에서 컸으며, 다습한 경우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5) 등숙기간중 온도, 습도 및 서광의 영향은 소립종인 NB 68513보다 대립종인 영광에서 컸으며, 1000립중의 증감과 등숙일수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다. 6) 1000립중과 1$\ell$중은 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무거워졌으나, 보비와 다비구간에는 그 증가율이 비교적 낮았고, 조숙재배는 만파재배보다 무거웠으며, 이와 같은 경향은 수원에서 현저하였고 광주 및 이리에서는 미미하였다. 2. 제분성: 7) 동일 품종에서 1000립중이 무겁게 나타난 저온다습 조건 및 조숙재배가 고온, 건조, 조건 및 만파재배에 비하여 제분율이 높았고, 지역간 차이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8) 제분율은 영광이 가장 높고 수계 169호가 가장 낮았으며, 경질 소립종인 Caprock, NB 68513은 연질 소립종인 수계 169호보다 높았다. 9) 회분 함량은 지역, 시비량 및 재배시기에 따른 차이는 작았고, 품종간 차이는 컸으며, NB 68513 및 Caprock는 영광 및 수계 169호보다 현저히 높았다. 3. 단백질 함량: 10) 단백질 함량은 1000립중이 가벼웠든 고온, 건조 및 서광 조건에서 저온, 다습 조건에서보다 높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영광에서 현저하고 NB 68513에서 적었다. 11) 종질의 단백질 함량은 개화후 1~2주일 사이에 높았는데, 이는 배란에 대한 배와 종피의 비율이 크기 때문이었고,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배, 종피의 영향은 감소되며, 달서 단백질 함량도 감소되었으나 개화후 3~4주부터는 다시 단백질함량이 증가되어 개화후 7주에 최대에 달하였다. 등숙 중기(개화후 3~4주) 이후의 단백질함량 증가는 대체로 1000립중의 증가와 비슷하였으나, 성숙된 종실의 단백질 함량의 증감은 등숙기간의 장단의 영향보다는 역일상에 따른 기상적 환경, 특히 기온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였다. 12) 소맥분의 단백질 함량은 종실의 단백질 함량의 변화와 같아서 이 양자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다. 13) 단백질 함량은 각 품종 모두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또 재배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수원에서는 광주, 이리에서보다 그 경향이 현저하였다. 14) 품종별로 존 단백질 함량은 영광, NB 68513 및 Caprock은 비슷하였으며 비교적 높았고, 수계 169호는 낮았는데 이 품종은 재배법에 따른 단백질 함량의 변이도 적었다. 15) 단위 면적당 단백질 수량은 시비량이 많을수록, 재배시기가 빠를수록 높은 경향이었고, 조숙재배에서는 질소질 비료의 이용율이 높았으며, 영광은 시비량 증가에 따른 단백질 수량 증가가 비교적 컸다. 4. 분의 물리화학적 특성: 16) Sedimentation value는 저온, 다습, 소비 조건에서보다 고온, 건조, 다비 조건에서 컸고, NB 68513 및 Caprock는 그 경향이 현저하였는데 영광 및 수계 169호는 뚜렷하지 않았었고, 광주, 이리보다는 수원에서 Sedimentation value의 변이가 컸다. Sedimentation value의 증감은 단백질 함량의 증감과 관계가 깊으나, 다습조건에서는 Sedimentation value가 감소되었다. 한편 Sedimentation value는 단백질 함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성숙기에 최대에 달하였다. 17) Pelshenke value는 재배방법 및 지역 간의 차이가 Sedimentation value의 경우와 대체로 같은 경향을 보였다. 18) Mixing time은 NB 68513이 4~6분, Caprock가 5~7분 소요되었으며, 영광 및 수계 169호는 NB 68513 및 Caprock보다 지역 및 재배법에 따른 변이가 컸다. Mixing height와 Mixing area는 NB 68513 및 Caprock에서 컸고 영광 및 수계 169호에서는 작았으며, 재배방법에 따른 변이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지역에 따른 차이는 이리, 광주에서 낮고 수원에서 높았다. 19) NB 68513 및 Caprock의 품질에 있어서 제분성은 고온, 건조 조건, 또는 다비, 만파재배에서 떨어졌으나 분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양호하여 제빵 적성이 좋고, 조숙재배는 물리화학적 특성이 다소 불량하였으나 제분성이 높고 단위 면적당 단백질 수량인 높은 경향이었다. 지역간에서 보면 이리, 광주보다는 수원이 NB 68513 및 Caprock의 재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 분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상호관계: 20) 제분율 및 회분함량과 분의 물리화학적 특성과는 직접적인 상관이 없었으며, 1000립중이 가벼운 것이 단백질 함량이 높았고 분의 물리화학적 특성도 양호하였다. 21) NB 68513 및 Caprock에 있어서 단백질 함량과 Sedimentation value, Pelshenke value 및 mixing height와는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단백질 함량이 높으면 분의 Gluten strength도 강하고 따라서 제빵 적성도 양호하였다. 영광 및 수계 169호에 있어서는 단백질 함량과 Sedimentation value와는 정의 상관이 있으나 Pelshenke value와 Mixing height와는 상관이 없었다. 따라서 단백질 함량 증가에 따라 Gluten strength 양자와 연결됨이 크고, Pelshenke value와 Mixogram은 Gluten strength와 연관됨으로 경질과 연질의 품종 구분에는 Mixogram, Pelshenke value의 검정이 유리하고, Sedimentation valuer검정은 같은 품종내에서 재배법 차이에 따른 품질 평가에 알맞은 것으로 보았다.

  • PDF

Horseradish peroxidase가 변성된 탄소복합 바이오센서 개발 및 전기화학적 H2O2분석 (Development of HRP-modified Carbon Composite Biosensor and Electrochemical Analysis of H2O2)

  • 박덕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571-576
    • /
    • 2012
  • Horseradish peroxidase (HRP), alkoxysilane인 TEOS의 겔 용액과 graphite를 혼합하여, 전기전도성을 나타내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안정성을 향상시킨 carbon composite electrodes (CCEs) 바이오센서를 제작하였다. TEOS의 졸-겔 전이반응을 이용하여 HRP를 silicate gel network포획시킨 바이오센서는 -0.2 V에서 $H_2O_2$의 환원이 시작되었으며, HRP의 함량과 pH를 변화시켜 최적 분석 조건을 구하였다. 분석 최적 조건에서 검량선 및 검출한계를 구한 결과, 0.2~2.2 mM의 $H_2O_2$ 농도 범위에서 직선적인 감응을 나타내며 검출한계는 0.035 mM이었다. ascorbic acid, acetaminophene, uric acid의 방해작용을 조사한 결과 $H_2O_2$의 전기화학적 분석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