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al absorption

검색결과 962건 처리시간 0.048초

화학 흡수를 이용한 KOH 수용액의 이산화탄소 포집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rbon Dioxide Capture Performance of KOH Aqueous Solution via Chemical Absorption)

  • 유미란;한상준;신지윤;위정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5-62
    • /
    • 2012
  • 수산화칼륨(KOH) 수용액을 이용한 $CO_2$ 포집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K_2CO_3$ 생성 및 $KHCO_3$가 생성되는 화학흡수 반응이 순차적으로 일어났고 그 후 $CO_2$ 물리흡수가 일어남으로써 전 반응이 종료되었다. KOH가 한계 반응물인 회분식 흡수에서 $K_2CO_3$의 생성 속도는 $OH^-$ 농도에 관해 1차 반응이며 $KHCO_3$ 생성 속도는 $CO_3^{2-}$ 농도에 0차 반응으로 흡수 속도는 $0.18gCO_2/mi$n으로 계산되었고 이 값은 $K_2CO_3$ 수용액에서의 흡수 속도와 일치한다. 5% KOH 흡수제의 $CO_2$ 포집율의 경우 1구간에서 57%, 2구간에서 12% 이었으며 전체 19%로 측정되었다. KOH 흡수제의 $CO_2$ 포집양은 이론값보다 2~3% 정도 작았는데 그 이유는 $KHCO_3$ 이외 $K_2CO_3{\cdot}KHCO_3{\cdot}1.5H_2O$가 생성되는 부 반응이 동반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재생골재의 혼입률과 목표공극률에 따른 포러스콘크리트의 흡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und Absolution Properties of Porous Concrete by Recycled Aggregate Contents and Target Void Ratio)

  • 박승범;서대석;이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541-548
    • /
    • 2004
  • 본 연구는 도로, 철도, 주택가 및 도심지역의 소음저감과 건설부산물로 발생하는 폐콘크리트 재생골재의 유효이용을 위하여 포러스콘크리트의 목표공극률과 재생골재 혼입률에 따른 물리 역학적 특성 및 흡음특성을 평가하였다. 시험결과, 목표공극률과 실측공극률과의 차이는 1.7% 이내로 나타났고 압축강도는 목표공극률이 25%, 재생골재의 혼입률이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급격한 강도저하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폐콘크리트 재생골재를 사용한 포러스콘크리트의 흡음 특성은 NRC의 경우 목표 공극률이 25%에서 가장 우수한 흡음특성을 나타냈으며, 재생골재의 혼입률에 따른 영향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포러스콘크리트의 강도 및 흡음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적정 목표공극률은 25%, 폐콘크리트 재생골재의 혼입률은 50% 정도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다.

건조방법에 따른 분말마의 흡습특성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Yam Powder by Different Drying Methods)

  • 차원섭;박준희;오상룡;조영제;이원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9-235
    • /
    • 2000
  • 현재 마차나 마죽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는 마분말을 사용하여 열풍건조, 진공건조, 동결건조를 이용 하여 건조를 행하였다. 각 건조 방법별로 마분말의 물리적 특성치인 공극률은 열풍 건조한 시료가 12.26%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진공건조 31.17%, 동결건조가 41.00%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 공 극 면적 역시 동결, 진공, 열풍건조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극의 평균지름은 반대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성분에서는 초기 수분함량에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전체적인 차이는 크게 나지 않았다. 또한 총 페놀 함량에서도 동결건조한 것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그 10-2mg 단위로 량에 있어서는 거 의 비슷하였다. 과실이나 야채류의 저장에서 신선도를 판정하는 중요한 지표로 이용되고 있는 Ascorbic acid 의 함량은 건조방법별로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동결건조 제품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 타내었고 증습에 따라 ascorb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저장 적정 수분함량을 구하기 위해 단분자층 수분함량을 구한 결과는 BET식과 GAB식에서 공히 동결건조한 시료가 다른 시료보다 높은 값을 나타 내었고, 등온 흡습선으로서 두 식의 접합도는 BET식이 건조 방법별로 0.95 이상의 상관계수 값을 나타 낸 반면 GAB식은 동결, 진공건조의 경우에는 0.99이상의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으나 열풍건조의 경 우에는 다소 낮은 상관계수 값을 나타내었다.

  • PDF

폴리우레탄 폼의 미세구조와 흡음 관계 밑 Low Monos 폴리올의 응용 (Microstructure-Sound Absorption Relationships of Polyurethane Foam and Application of Low Monos Polyol)

  • 이부연;김소연;이광희;진병석
    • 폴리머
    • /
    • 제31권4호
    • /
    • pp.289-296
    • /
    • 2007
  • 셀 구조는 유사하나 흡음성능에서 차이가 있는 시편을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폼의 흡음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을 FT-IR, 소각 X-선 산란(SAXS)과 dynamic mechanical thermal analyzer(DMTA)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이영역에서의 damping 특성이 흡음성능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최근 개발된 low monol 폴리올(LMP)을 흡음용 폴리우레탄 폼에 적용할 수 있는가를 검토하기 위하여 LMP와 산화프로필렌계 폴리올(PPG)을 기본으로 한 폴리우레탄을 용액중합법으로 제조하고, 이들의 내부구조와 물리적 성질을 상호 비교하였다. Monol 성분을 다량 포함하는 PPG는 LMP에 비하여 분자 유동성이 커서 보다 발달된 상분리 구조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monol 성분에 의해 고분자량으로 성장하지 못한 분자사슬의 비효율적인 damping 거동으로 인하여 LMP의 경우가 PPG에 비하여 전이영역이 넓고, damping 양도 훨씬 더 컸다.

피복 화산암재를 이용한 경량콘크리트의 강도특성에 관한 실험적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Strength for Lightweight Concrete of Coated Scoria Lightweight Aggregate)

  • 이시우;서치호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61-68
    • /
    • 1990
  • 화산암재 경량골재의 구조용 경량콘크리트로서의 활용방안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4종류의 피복 화산암재를 제조하여 각 시료의 비중, 흡수율, 단위용적중량, 공극율과 실적율등을 측정하고 각 시료를 사용하여 경량콘크리트를 제조하여 각 조건에 따라 압축강도, 단위용적중량, 슬럼프 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피복 화산암재의 흡수율은 1.7~10.1%, 단위용적중량은 0.91~0.97t/㎥으로 나타났으며, 이 시료로 제조된 경량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162~215kg/$\textrm{cm}^2$으로 나타났다. (2)물시멘트비와 단위시멘트량을 증가시켰을 때 사용한 피복시료의 흡수율이 클수록 압축강도 감소율이 크게 나타나다. (3) 본 실험결과 피복 화산암재 제조시의 부착불량 현상만 해소된다면 표면피복제와 시멘트 페이스트를 함께 사용한 피복시료를 이용하여 낮은 흡수율과 높은 압축강도의 경량골재콘크리트를 제조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출토 직금직물의 세척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leaning Method of Excavated Gold Brocade)

  • 홍문경;이미식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162-1174
    • /
    • 2010
  • Excavated gold brocade, often shows signs of serious damage and contamination from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exposure to soil or human remains. Therefore, most of the conservation procedures are focused on the consolidation of the gold thread and on cleaning with water or organic solvents. Indiscreet cleaning using solvents could damage the gold leaf, which identifies the features of fabric. There is a need to develop cleaning protocols appropriate for relics through the careful analysis of the condition of the relics. This study finds the appropriate cleaning method for the excavated gold brocade. Four different cleaning methods, vacuum cleaning, kneaded rubber eraser cleaning, immersion wet cleaning, and absorption wet cleaning were applied to the excavated gold brocade. The degree of cleaning and damage were examined depending on the cleaning methods, changes to the physical condition (before and after cleaning) were also analyzed through the surface observation. Although immersion cleaning showed the best cleaning result, this method had a risk of damage to the gold thread. Absorption wet cleaning safely eliminated the various soluble contaminants and the rotten smell of relics. Kneaded rubber eraser was suitable for the excavated gold brocade fabric because it can be applied to selective parts, intentionally excluding some sensitive parts such as the gold thread. The vacuum cleaning method required special attention because of a possibility of suctioning off loosely attached gold leaf. Dual cleaning, the kneaded rubber eraser cleaning, followed by the absorption cleaning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preserve and clean excavated gold brocade.

광섬유 온도센서를 위한 InP의 광학적 특성 연구 (A study on optical properties of InP for implementation of fiber-optic temperature sensor)

  • 김영수;신건학;전병실
    • 센서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36-44
    • /
    • 1994
  • Inp 소자를 이용하여 광섬유 온도 센서를 제작하고 InP센서의 기초 광흡수단의 이동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일반 반도체의 흡수계수에 적용하여 InP 소자의 광흡수 계수(${\Omega}$)를 유도하였다. 광흡수 계수와 InP 센서소자의 두께 파라미터를 전달특성에 대입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기초 광흡수단 가장자리의 이동특성을 세점의 온도($249^{\circ}K$, $298^{\circ}K$, $369^{\circ}K$)에서 컴퓨터로 계산하고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InP 소자의 기초 광흡수단이 온도에 비례하여 장파장 영역으로 이동하였으며 단위 온도 상승시 광흡수단의 이동거리는 약 0.42 nm / $^{\circ}K$ 였다. 또 반도체 소자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광 파워 밀도 곡선이 낮은 온도로 이동하였다.

  • PDF

Dissolution Characteristics of Hydrophobic Drug-Soluble Carrier Coprecipitate (I)-Enhanced Dissolution Rates of Furosemide from Furosemide Polymer Coprecipitates-

  • 신상철;이민화;우종학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6권3호
    • /
    • pp.48-57
    • /
    • 1976
  • An enhancement in the dissolution rate of the drug should facilitate its GI absorption if the absorption process is dissolution rate limited. One of the need for the techniques that can potentially enhance the dissolution rate and extent of absorption of hydrophobic drugs is the formation of coprecipitates with pharmacologically inert, polymeric materials. The physicochemical modification offers the advantage of possibly enabling one to administer the drug orally in a form from which it is most available for GI absorption. Several $investigation^{1-15)}$ demonstrated that the formation of solid dispersions or coprecipitates of relatively water-insoluble drugs with various pharmacologically inert carriers can increase singnificantly their in vitro dissolution rates. However,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in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dissolution rate patterns of furosemide, a water-insoluble diurectices, with respect to the sort of copolymer and the ratio of coprecipitates as a function of time, respective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ascertain, the general applicability of the copolymers to use fore more fast, enhanced dissolution techniques of furosemide. To accomplish the need for enhancement in the dissolution rate of furosemide, varying ratio coprecipitates with different water-soluble polymers, such as polyvinylpyrrolidone (PVP), polyethylene glycol 4000(PEG 4000), and polyethylene glycol 6000 (PEG 6000), were quantitatively studied by comparing their dissolution characteristics of furosemide. The dissolution patterns of pure furosemide, varying ratio furosemide-PVP coprecipitates, (1:2, 1:5, and 1:9(w/w)), furosemide-PEG 4000 coprecipitates (1:4, 1:9, and 1:19(w/w), furosemide-PEG 6000 coprecipitates(1:4, 1:9, and 1:19(w/w)), and the same ratio physical mixtures, respectively, were compared by the amount dissolved as a function of time.

  • PDF

GaAs 웨이퍼의 적외선 영상기법 및 콘트라스트 반전 영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 (Infrared Imaging and a New Interpretation on the Reverse Contrast Images in GaAs Wafer)

  • 강성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085-2092
    • /
    • 2016
  • IC 기판의 가장 중요한 성질들의 하나는 넓은 영역에 걸쳐 균일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웨이퍼 결함 분석의 다양한 물리적 접근 방법 중에서 적외선 조사 기법에 특별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높은 공간적 분해력을 가지고 있는 근적외선 흡수 방법은 반-절연 GaAs 내의 결함들을 직접적으로 관찰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적외선 전송에 기초를 둔 이 기법은 신속하고 비파괴 적이다. 이 방법은, 직접적으로 GaAs 반도체의 적외선 영상은 결함의 광흡수 작용에 기인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반-절연 GaAs 내의 EL2에 관련된, 비 균일 적으로 분포된 결함들의 적외선 흡수 영상에서 콘트라스트가 반전되는 현상에 대해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저온 포토퀀칭 실험은, 직접적인 방법으로, GaAs 웨이퍼의 콘트라스트 반전 영상은 밴드갭의 지엽적인 변동이나 전하 재분포에 의한 것이 아니라 흡수와 산란의 두 메커니즘에 의한 것임을 증명하고 있다.

인공경량골재 특성의 발포제 및 융제 첨가 의존성 (Dependence of physical properties of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upon a flux and a bloating agent addition)

  • 강승구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8-53
    • /
    • 2009
  • 점토와 석분오니로 비중이 1 이하인 인공경량골재를 제조할 때 발포제와 융제의 종류 및 소성온도가 미세구조, 부피 비중 흐리고 흡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 종류의 기포 발포제를 첨가한 경우 부피 비중 $0.5{\sim}1.0$, 흡수율 $41{\sim}110%$ 범위의 다공성 인공경량골재 제조가 가능하였으나 골재 외형이 거칠고 미세구조가 불균일하였다. 융제 된 발포제가 각각 한 종류씩만 첨가된 골재는 소성 중 시편이 폭발하여 표피층(shell)의 일부가 소실되었다. 발포제로서 진공오일외에 ${Fe_2}{O_3}$와 탄소를 복합 첨가할 경우 black core와 shell 구조가 잘 형성되어 균일한 미세구조론 나타내었다. 융제된 발포제가 복합적으로 첨가된 $1200^{\circ}C$ 소성체의 경우, 점토 및 석분오니로만 제조된 시편에 비해 부피비중이 67% 줄고 흡수율은 48배 증가하여 우수한 발포특성을 좌였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복합 첨가 계열 시편은 부피비중 $0.5{\sim}1.0$, 흡수율 $50{\sim}125%$의 다양한 물성을 나타냈으며, 따라서 각종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