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salon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유기인계 살충제 Phosalone 원제 중의 불순물 동정 및 독성효과 (Identification and Toxic effects of Impurities present in the Technical grade of Phosalone)

  • 임금춘;허장현;한대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1-178
    • /
    • 1995
  • 본 연구는 원제 phosalone (94.4%)에 함유된 불순물들의 동정과 원제 및 정제 phosalone의 in vitro와 in vivo에서의 독성효과를 조사하였다. 원제 phosalone에 대한 GC/MS 분석에서 phosalone oxon, 6-chloro-3-methylthio-2-oxobenzoxazole, 6-chloro-2-oxobenzoxazole, O,O,S-triethylphosphorodithioat (OOSTEPDT), dichlorophosalone 들 5개의 불순물이 동정되었으며, P-NMR 분석에서 OOSTEPDT와 phosalone oxon 등 2종의 불순물이 확인되었다. In vitro에서 원제 Phosalone과 정제 phosalone의 AchE와 BuChE에 대한 $k_i$ 값을 비교한 결과, 원제 phosalone이 정제 phosalone보다 약 10배 빠르게 ChE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ytosolic esterases에 대해서도 10배 정도 더 강한 저해력을 보였다. In vivo에서도 원제 phosalone이 정제 phosalone 보다 생쥐의 뇌 AChE의 활성을 약 35% 더 저해 하였으며, 쥐의 혈액 erythrocyte AChE와 plasma BuChE 그리고 cytosolic esterases의 활성도 더 심하게 저해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원제 phosalone 중 함유된 불순물들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특히 phosalone oxon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Effects of phosalone consumption via feeding with or without sodium bentonite on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its transition to milk of Iranian Baluchi sheep

  • Kazemi, Mohsen;Torbaghan, Ameneh Eskandary;Tahmasbi, Abdoul Mansour;Valizadeh, Reza;Naserian, Abbas Ali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9권5호
    • /
    • pp.10.1-10.11
    • /
    • 2017
  • Background: Transfer of pesticides from environment to animal products is inevitable, so the purpose of the present work was to evaluate phosalone consumption via feeding with or without sodium bentonite (SB) on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its transition to milk of Iranian Baluchi sheep. Methods: Twenty Baluchi ewes were divided into four treatments (P1 as control, P2, P3, and P4) of five animals in which phosalone, an organophosphate pesticide, was given via diet (only for P2 and P3) at a dose of 280 mg/sheep/day for 63 consecutive days. The SB (32 g/sheep/day; for P3 and P4) was also evaluated for its ability to reduce deleterious effects of phosalone in the sheep diets. The control group (P1) did not receive any phosalone and SB during the experiment. Sampling was conducted in two periods of time including weeks 5 and 9. Results: Phosalone residues were observed in the milk samples of P2 and P3 groups during two sampling periods. During period 1, the transfer rate of phosalone from feed to milk was 0.23 and 0.02%, respectively for the contaminated diets (P2 and P3), which is relatively similar to period 2 (0.22 and 0.02%). Only 0.34 (period 1) and 0. 36% (period 2) of phosalone residue are excreted in the feces of P2 group following its daily consumption. Transfer of phosalone from feed to milk was affected (P < 0.05) by the dietary inclusion of a commercial SB, as it (SB) decreased excretion of phosalone via milk (P3). The phosalone and SB alone or together had no significant effect (P > 0.05) on the dry matter intake (DMI) and body weight (BW) gain, but feed efficiency, milk production, milk fat, dry matter (DM) and organic matter (OM) digestibility, acetylcholinesterase (AChE) inhibitory activity, hemoglobin (Hb), red blood cell (RBC), serum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SGPT),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SGOT), albumin and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MCHC) affected by the treatments in period 1 or 2 (P < 0.05). The Hb, RBC, and MCHC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5) by about 9.72, 20.77, and 9.71%, respectively in the group P2 as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during period 1. The AChE inhibitory activity (period 1 and 2)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phosalone administered via the diet (P < 0.05). Conclusions: Although there were no adverse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sheep following the intake of phosalone alone (P2 vs. P1), but other research on the long and short times to the phosalone in high and low doses with more animals is suggested. Overal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ddition of SB in the diet of sheep improved nutrient digestibility, animal performance, and milk health.

Dichlorvos와 Phosalone의 공존의 Zebrafish(Brachydanio rerio)의 생물농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existence of Dichlorvos and Phosalone on the Bioconcentration in Zebrafish (Brachydanio rerio))

  • 민경진;박장우;차춘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51-256
    • /
    • 2003
  • 본 연구는 zebrafish를 실험어류로 하여 국내에서 혼합제로 사용되고 있는 dichlovos와 phosalone을 선정하여 단독 및 혼합폭로시 생물농출계수와 배설속도상수를 측정함으로써, 두 농약의 공존이 개별농약의 생물농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Dichlorvos와 phoslone의 혼합폭로시(dichlorvos : 0.55${\mu}g$/ml, phosalone : 0.01 ${\mu}g$/ml) zebrafish 체내에서 dichlorvos의 농축정도는 6시간에 정류상태에 도달하여 72시간까지 거의 일정하였으며 단독폭로시 (12시간)보다 더 빠르게 정류상태에 도달하였다. 6시간에서 72시간 사이의 BCF평균값은 0.80(n=5)으로 단독 폭로시의 12시간에서 72시간 사이의 BCF평균값 0.74(n=4)보다 더 높게 측정되었다. 배설속도상수는 $0.12h^{-1}$으로 단독 폭로시와 차이가 거의 없었다. Dichlorvos와 phosalone의 혼합폭로시(dichlorvos: 0.55${\mu}g$/ml, phosalone : 0.01${\mu}g$/ml) zebrafish 체내에서 phosalone의 농축정도는 단독폭로시와 같이 12시간에 정류상태에 도달하여 72시간까지 거의 일정하였고, 12시간에서 72시간 사이의 BCF평균값은 53.89(n=4) 로 단독폭로시의 BCF평균갑 48.88(n=4)보다 더 높게 측정되었다. 배설속도상수는 단독폭로시와 같이 6시간 안에 어류체내에서 phosalone이 모두 배출되어 구하지 못했다. 두 농약(dichlorvos, phosalone)의 혼합폴로시의 BCF평균값이 단독폭로시의 BCF평균값이 단독폴로시의 BCF평균값보다 더 높게 나왔으나, 각 실험시간대(6, 12, 24, 48, 72시간)의 BCF실험값을 t-test로 분석한 결과 phosalone의 48시간을 제외하고는 두 농약의 단독폭로와 혼합폴로시의 BCF값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때, dichlorvos와 phosalone을 zebrafish에 혼합폭로시 개개 농약의 생무농축성과 배설속도상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hosalone의 활성화과정을 통한 acetylcholinesterase와 butyrylcholinesterase에 대한 활성 저해 (Inhibi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nd Butyrylcholinesterase by Phosalone via Bioactivation)

  • 임금춘;한대성;허장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2호
    • /
    • pp.174-178
    • /
    • 1995
  • 유기인계 살충제인 phosalone의 활성화과정을 통한 독성발현기작에서 cytochrome $P_{450}$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험관 내와 생체 내 system을 이용하였다. Phosalone의 AChE와 BuChE에 대한 이분자 저해 속도상수$(k_i)$는 약 1$10^2\;M^{-1}{\cdot}min^{-1}$으로 측정되어 그 자체로는 저해력이 상당히 낮은 약제임이 관찰되었다. AChE 또는 BuChE/MFO coupling system에서는 $I_{50}$값이 control에서 각각 $3.7{\times}10^{-6}$, $2.5{\times}10^{-7}M$로 관찰되었고, cytochrome $P_{450}$의 조효소인 NADPH를 첨가한 oxidase에서는 $1.2{\times}10^{-8}$$6.0{\times}10^{-9}M$로 나타나 약 $40{\sim}300$배 정도의 활성화 효과가 관찰되었다. Cytochrome $P_{450}$의 특이적 저해제인 PB를 처리하였을때 저해곡선이 control쪽으로 이동하여 phosalone의 활성화과정에 cytochrome $P_{450}$이 관여하고 있슴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생체 내 실험에서 생쥐의 뇌 AChE 활성저해는 phosalone만을 투여한 경우 $I_{50}$이 170 mg/kg, PB를 전처리 하였을 경우에서 42.5 mg/kg으로 나타나 PB 처리에 의하여 오히려 약 4배의 상승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쥐 혈액에서의 AChE와 BuChE활성저해 결과는 PB 전처리가 phosalone의 저해 경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시험관 내 실험에서의 결과와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 PDF

Flow-through fish test를 이용한 일부 농약의 생물농축예수의 측정 (Determination of the Bioconcentration Factor in Some Pesticides by Flow-through Fish Test)

  • 민경진;차춘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7-42
    • /
    • 2001
  • Zebrafish(Brachdanio rerio)를 실험어류로 하여 methidathion 과 phosalone의 생물농축계수(bioconcentration factor : BCF)와 배설속도상수 (depuration rate constant) 및 LC$_{50}$를 측정하였다. Methidathion의 24, 48, 72, 96시간 LC$_{50}$는 각각 28.34, 35.98, 24.43, 22.03 mg/$\ell$로 측정되었다. Methidathion 0.22 mg/$\ell$(고농도)와 0.022 mg/$\ell$(저농도)에서 어류 체내에서의 농축정도는 두 농도군에서 각각 12시간 이후에 정류상태에 도달하여 72시간동안 거의 일정하였고, BCF값도 12시간에서 72시간 사이에 고농도와 저농도에서 8.72(n=4)와 11.25(n=4)로 조사되었다. 배설속도상수는 고농도와 저농도에서 6시간 이내에 모두 배설되어 배설속도상수를 구할 수 없었다. Phosalone의 24, 48, 72, 96시간 LC$_{50}$는 각각 3.76, 2.43, 1.86, 1.05 mg/$\ell$로 측정되었다. Zebrafish 체내에서의 농축정도와 BCF값은 고농도(0.01 mg/$\ell$)에서 12시간 이후에 정류상태에 도달하여 72시간동안 거의 일정하였고, BCF값은 12시간에서 72시간 사이에 48.88(n=4)로 측정되었다. 저농도(0.001 mg/$\ell$)에서는 실험 전기간동안 zebrafish 체내에서 phosalone이 검출되지 않아 BCF값을 산출할 수 없었다. Zebrafish 체내에서 phosalone(고농도)의 배설속도상수와 반감기를 구하기 위하여 6,12시간의 배설실험 결과 각각 0.17$hr^{-1}$과 4.01 시간이었다. Methidathion과 phosalone의 BCF값은 phosalone이 methidathion 보다 약 5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농약의 배설속도는 phosalone이 methidathion보다 빨랐다.

  • PDF

Brachydanio rerio와 Xiphophorus hellieri를 이용한 Dichlorvos, Methidathion 및 Phosalone의 단기간 생물농축계수의 측정 (Detemination of Short-term Bioconcentration Factor on Dichlorvos, Methidathion and Phosalone in Brachydanio rerio and Xiphophorus hellieri)

  • 민경진;전봉식;차춘근;김근배;조영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99-106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ioconcentration of dichlorvos, methidathion and phosalone in zebrafish (brachydanio rerio), red sword tail(Xiphophorus hellieri). The fishes were exposed to 0.05 ppm, 0.01 ppm, 0.50 ppm, one-hundredth concentration of 96-hrs LC$_{50}$ and one-thousandth concentration of 96-hrs LC$_{50}$ and test periods were 3, 5 and 8 days. The deputation rate of each pesticide from the whole body of fish was determined over the 24-hr period after treatment. Obtained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dichlorvos, dichlorvos concentration in zebrafish extract and BCF$_{s}$ of dichlorvos were increased as increasing test concentration. In the case of same experimental concentrations, dichlorvos concentration in zebrafish extract and BCF$_{s}$ of dichlorvos were decreased as proloning test periods, especially dropped after 5days. Dichlorvos concentration in red sword tail extract were increased as increasing test concentration, lyat BCF$_{s}$ in concentration of 0.05 ppm, 0.01 ppm and one-hundredth of 96-hrs LC$_{50}$ were decreased. Methidathion and phosalone concentration in zebrafish extract in zebrafish extract were increased as increasing test concentration,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BCF$_{s}$. In the case of same experimental concentrations,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BCF$_{s}$ and concentration in zebrafish extract. In the case of red sword tail, it was impossible to calculate on BCF$_{s}$ data because test concentration was under the detecting limit on GC or test fish were die. Determined deputation rate conatant were highest on dichlorvos, and followed by methidathion, and phosalone. The results of determining depuration rate of these pesticides showed that the high BCF in fish might be due to the slow depuration rate in fish, it is thought to be responsible for vapor pressure, water solubility and partition coefficient. It is suggested that one-hundredth concentration of 96-hrs LC$_{50}$ will be proper test concentration because one-thousundth of LC$_{50}$ was under the detecting limit on GC. Dichlorvos, methidathion and phosalone,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were examined to their BCF$_{s}$ and depuration rates by means of fish test.

  • PDF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의 화학적 방제와 골프장의 금잔디(Zoysia matrella) 및 새로운 기주의 피해 (Chemical Control of Popillia quadriguttata(Coleoptera: Scarabaeidae) and Damage of Zoysia matrella and Newly Recorded Host Plants in Golf Courses)

  • 이동운;추호렬;신홍균;최병귀;이근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5-44
    • /
    • 2003
  •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는 우리 나라골프장의 중요해충 중의 하나이다. 녹색콩풍뎅이 성충은 활엽수나 초본류의 잎을 먹고, 유충은 잔디의 뿌리를 가해한다. 녹색콩풍뎅이 성충의 화학적 방제를 위하여 골프장 잔디 해충방제용으로 고시된 carbaryl+phosalone WP, chlorpyrifos+diflubenzuron WP, chlorpyrifos-methyl EC, deltamethrin EC, ethofenprox WP, etofenprox+diazinon WP, etofenprox+tebufenozide EC, fenitrothion EC, imidacloprid SC, pyraclofos WP, tralomethrin EC의 녹색콩풍뎅이 성충에 대한 효과를 실내와 온실, 야외에서 조사한 결과, 실내와 온실실험에서 carbaryl+phosalone WP, chlorpyrifos+diflubenzuron WP, etofenprox+diazinon WP, fenitrothion EC가 기준량에서 녹색콩풍뎅이 성충에 대하여 95% 이상의 치사율을 보였고, field 실험에서는 carbaryl 40%+phosalone 20% WP와 fenitrothion 50% EC 처리에서 녹색콩풍뎅이 성충의 보정사충율이 각각 95.2%와 80.9%였다. 전착제 첨가는 carbaryl+phosalon 20% EC를 제외하고는 약효의 증대와 상승을 나타내었다. 경남 진해 용원골프장의 조경수인 칸나(Canna generalis)와 경기도 군포의 안양 베네스트골프장에의 조경수인살구나무(Prunus ameriaca var. ansu)와 자두나무(P. Salicina)에서 녹색콩풍뎅이에 의한 피해가 확인되어 녹색콩풍뎅이의 기주식물은 총 19과 26속 29종이 된다. 2002년 10월과 2003년 3월에 안양베네스트골프장 페어웨이와 러프의 금잔디(Zoysia matrella)에서는 녹색콩풍뎅이의 유충에 의하여 피해를 받는 것이 확인되었다. 녹색콩풍뎅이 유충의 피해를 받은 금잔디는 황화되거나 시들음 증상이 있었고, 이듬해 봄에는 잔디의 회복이 지연되었다.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VII. 침투성 살충제의 수간주입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Chemical Control of the Pine Gall Midges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VII. Improvement of the Trunk Implantation Methods of Systemic Insecticides)

  • 최승윤;박형만;정부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91-194
    • /
    • 1982
  • 본 시험은 Omethoate (Folimat) 외 6종의 침투성 살충제를 공시하여 수간주입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는 한편 관행 Drilltlr 수간주입방법을 보다 성력적인 방향으로 개량코자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hosalone$(Rubitox^{(35)}\;EC)$을 제외한 Omethoate $(Folimat^{(R)}\;50\;EC)$, Vamidothion (Kilval 40 EC), Methamidophos $(Tamaron^{(R)}\;60\;SL)$, Phosphamidon $(Dimecron6{(R)}\;50\;EC)$, Monocrotophos $(Nuvacron^{(R)}\;24\;EC)$ 및 Dimethoate $(Roger^{(R)}\;50\;EC)$의 수간주입은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비교적 우수하였다. 2. 관행 Drill 식 수간주입과 개량 Mauget식 수간주입간에는 그 효과발현에 차이가 없었다. 3. 관행 Drill식 수간주입에서 주입공의 상처회복율은 $14\%$인데 비하여 개량 Mauget식 수간주입에서는 $100\%$ 완전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개량 Mauget식을 도입하므로서 보다 성력적인 수간주입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가 가능하다고 본다.

  • PDF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V. 고농도 ULV 엽면살포효과 (Chemical Control of the Pine Gall Midges(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V. Effect of ULV Foliar Spray of Some Insecticides)

  • 최승윤;박형만;정부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5-98
    • /
    • 1982
  • ULV기에 의한 살충제의 농도(50배희석) 엽면살포를 실시하여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비교검토하였다. 본 시험은 1980년도 경기도 시흥군 의왕면 의왕읍 일대, 10년생미만 적송림에서 수행되었다. 공시살충제 Salithion(25 EC), Decamethrin$(Decis^{(R)},\;1EC)$, Phenthoate$(Elsan^{(R)},\;47.5\%)$, Diazinon(34 EC), Chlorfevinphos$(Birlane^{(24)},\;24\;EC)$, Phosalone$(Zolone^{(R)},\;25\;EC)$ 및 Methamidophes$(Tamaron^{(R)},\;60\;SL)$를 50배로 희석, 1구 10주당 500ml씩 6월 6일에 건전시용 ULV기(12v, Union Carbide 제)로 일동 엽면처리하였다. 충영엽율은 무처리 $53.3\%$에 비하여 Salithion, Decamethrin, Phenthoate 처리에서 각각 $11.8\%,\;15.4\%,\;15.5\%$로서 가장 낮았으며 다음은 $Diazinon(19.3\%),\;Chlorfevinphos(20.4\%),\;Phoslaone(24.3\%),\;Methamidophos(31.5\%)$ 순으로 방제효과가 낮았다. Salithion, Decamethrin, Phenthoate 처리의 방제 70 이상을 보였으나 그 밖에 살충제들은 비교적이다. 고농도 엽면살포에 의한 솔잎혹파리방제용 살충제 Salithion을 대체할 저독성살충제는 Decamthrin Phenothoate라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