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nylpropanoid glucosid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A New Phenylpropanoid Glucoside from the Fruits of Illicium verum

  • Lee, Sung-Won;Li, Gao;Lee, Kyong-Sun;Song, Dong-Keun;Son, Jong-Ke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8호
    • /
    • pp.591-593
    • /
    • 2003
  • One new phenylpropanoid glucoside (3), along with one known phenylpropanoid (1), and one known alkyl glucoside (2) were isolated from the fruits of Illicium verum and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elucidated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studies.

일엽초의 페놀성 물질 (Phenolic Compound from Lepisorus thunbergianus)

  • 이민원
    • 생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2-145
    • /
    • 1998
  • Two phenylpropanoids and one flavan 3-ol were isolated from Lepisorus thunbergianus (Polypodiaceae, fern), which is used as folkmedicine. Phenylpropanoids were identified as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and flavan 3-ol was elucidated as (-)-epicatechin 7-O-${\beta}$-D-glucoside by physico-chemical and spectral evidences (HMQC, NOESY).

  • PDF

11-Methoxyviburtinal, A New Iridoid from Valeriana jatamansi

  • Chen Ye-Gao;Yu Li-Li;Huang Rong;Lv Yu-Ping;Gui Shi-H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10호
    • /
    • pp.1161-1163
    • /
    • 2005
  • Five compounds of iridoids, lignan and phenylpropanoid glycosides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Valeriana jatamansi by column chromatography.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11-methoxyviburtinal (1), baldrinal (2), prinsepiol-4-O-${\beta}$-D-glucoside (3), coniferin (4), and hexacosanic acid (5) by spectroscopic analysis. 11-Methoxyviburtinal was a new compound, and others were isolated from the plant for the first time.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수피의 추출성분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Stem Barks of Fraxinus rhynchophylla)

  • 양은주;이동근;이종원;김예실;임선하;송경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348-351
    • /
    • 2007
  • 물푸레나무(F. rhynchophylla)의 수피를 95% EtOH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CH_2Cl_2$, n-BuOH 및 $H_2O$ 순으로 분획하였다. 이 중 $CH_2Cl_2$, 가용성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1종의 sterol 화합물(1)을 분리하였다. 한편 n-BuOH 가용성 분획에 대해서도 silica gel, RP-18 및 Sephadex LH-20 등의 충진제를 사용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하여 3종의 phenylpropanoid 화합물(2-4)을 얻었다. 각 화합물의 구조는 $^1H-NMR$와 LC-MS data를 해석하고 문헌과 비교하여 daucosterol(1), caffeic acid(2), 6,8-dihydroxy-7-methoxycoumarin(3) 및 coniferaldehyde glucoside(4)로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진피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콩 발아기간 중 isoflavone 생합성 유전자 발현 변이 (Differential Expression of Isoflavone Biosynthetic Genes in Soybean During Germination)

  • 임진수;김서영;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365-374
    • /
    • 2021
  • 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으며 장류콩인 대풍2호와 이소플라본 함량이 낮으며 나물콩인 풍산나물콩을 재료로 하여 콩 발아기간 동안 이소플라본 생합성 관련 유전자 6종(CHS6, HID, IF7GT, IF7MaT, GmIMaT1 및 GmIMaT3)의 발현량을 qRT-PCR로 분석하였다. 1. 공시재료 모두 발아기간 경과에 따라 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아졌으며, 총 이소플라본 함량 중 malonyl-glucosides 함량이 80% 이상을 차지하여 제일 높았으며 acetyl-glucosides는 거의 분석되지 않았다. 한편, 자엽과 배축에서 이소플라본 축적 정도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며 개별 이소플라본 함량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2. 이소플라본 생합성 관련 유전자들은 콩 발아시기 경과에 따라 발현량이 높아져 이소플라본 축적 정도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유전자들의 발현량이 시기별로 각각 달라 개별 이소플라본 함량과 유전자간 뚜렷한 상관은 찾을 수 없었다. 3. HID 유전자는 대풍2호와 풍산나물콩 모두 발아 3일차를 제외하고는 발아시간 경과에 따라 유전자의 발현량이 높아졌으나 다른 유전자들의 상대적 발현량은 품종 간 차이가 있었으며, 또한 발아시간 경과에 따른 유전자의 발현 양상은 유전자별로 각각 달랐다. 4. 발아시간 별로 유전자들의 상대적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 품종 간 차이가 있었으며 자엽과 배축에서도 상대적 발현량이 다르게 나타났다. 자엽에서는 GmIMaT1을 제외한 다른 유전자들의 발현량이 대풍2호와 풍산나물콩에서 비슷하게 나타난 반면, 배축에서는 HID 발현량이 2품종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유전자들은 유전자 발현량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