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henanthroline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8초

재조합균주 E. coli CNU312가 생산하는 Catechol 2,3-Dioxygen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techol 2,3-Dioxygenase from Recombinant Strain E. coli CNU312.)

  • 임재윤;최경호;최병돈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6-32
    • /
    • 2000
  • Toluene, phenyl 등의 분해균주인 Burkholderia cepacia G4로부터 tomB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얻은 재조합 균주 E. coli CNU312로부터 catechol 2,3-dioxygenase를 정제하여 효소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Catechol 2,3-dioxygenase는 native 분자량이 약 140.4 kDa이었으며 4개의 동일한 35 kDa subunit로 구성된 homotetramer로 생각된다. Catechol의 $K_(m)$값과 $V_(max)$값은 372.6 $\mu$M과 39.27 U/mg이었으며, 1.56 mM 이상의 기질 농도에서는 활성이 감소되었다. 효소 활성의 최적 pH는 8.0이었으며, pH 7.0-8.0 범위에서 안정하였다. 최적 활성온도는 $40^{\circ}C$였으며, $60^{\circ}C$이상에서 완전히 활성을 상실하였다. 또한 $Fe^(2+)$, $Fe^(3+)$ 를 비롯한 대부분의 금속 이온에 의해 활성이 감소되었으며, $Mg^(2+)$, $K^(+)$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효소 활성부위를 알아보기 위해 화학변형제를 처리한 결과, tryptophan과 histidine이 효소 활성부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10%의 유기용매에 안정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H_(2)$$O_(2)$, EDTA, ο-phenanthroline에도 활성이 감소되었다. 또한 2-mercaptoethanol, dithiothreitol, 그리고 ascorbic acid와 같은 환원제에 대해서도 안정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효소는 catechol에 대해 높은 기질 특이성을 보였으며, 3-methylcatechol, 4-methylcatechol, 그리고 4-chlorocatechol에 대해 약간의 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2,3-dihydroxybiphenyl에 대해서는 거의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 PDF

Eu-PEG로 구성된 상변환 발광재료의 합성 및 물성에 대한 연구 (Study of Synthesis and Property of Eu-PEG Phase Change Luminescent Materials)

  • Gu, Xiao-Hua;Xi, Peng;Shen, Xin-Yuan;Cheng, Bo-Wen
    • 폴리머
    • /
    • 제32권4호
    • /
    • pp.305-312
    • /
    • 2008
  • A novel TPC-PEG-TPC with active end-groups was obtained from the end-groups of polyethylene glycol (PEG) modified by terephthaloyl chloride (TPC). These active end-groups can link up with a rare earth ion, which is a luminescent center of a rare earth fluorescent complex. Complexes of Eu-PEG with novel ligands (TPC-PEG-PTC) were synthesized by the coordination of the active reactant (as the first ligand) and phenanthroline (as the second ligand) with $Eu^{3+}$.IR, $^1H$-NMR, element analysis, DSC, WAXD, fluorescent spectroscopy, TGA, and SEM were used to characterize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these complexes. The results showed that this type of complex is a heat storage material with the phase change character of polyethylene glycol (PEG) and the luminescent properties of europium. There was no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complex of Eu-PEG until $300^{\circ}C$. SEM showed that the complex of Eu-PEG can be dispersed in PE.

Structural Diversity of Five New Lanthanide Coordination Polymers Tuned by Different Salt Anions

  • Tao, Yinhua;Lou, Yongbing;Li, Yang;Chen, Jinx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5호
    • /
    • pp.1417-1421
    • /
    • 2014
  • Five new lanthanide coordination polymers, $[Ln_2(1,4-NDC)_2(1,4-HNDC)_2(phen)_2]_n$ (Ln = Er (1), Yb (2)), and $[Ln_2(1,4-NDC)_3(phen)_2(H_2O)_2]_n$ (Ln = Nd (3), Gd (4), Er (5)) ($1,4-H_2NDC$ = 1,4-naphthalenedicarboxylic acid, phen = 1,10-phenanthroline), have been successfully prepared via the reaction of corresponding trivalent lanthanide salt, $1,4-H_2NDC$ and phen in the presence of NaOH and pyridine under hydrothermal condition. Pyridine plays a key role in the synthesis of these lanthanide coordination polymers. Single-crystal X-ray diffraction analyses indicate that compounds 1-5 all form a 2-D network while different salt anions result in the diversity of crystal structures. These lanthanide coordination polymers showed a considerable thermal stability in TGA analyses.

전하생성층을 사용하여 제작한 백색유기발광소자의 발광 메커니즘과 색안정성에 대한 연구

  • 조인환;전영표;김태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5년도 제49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43.2-143.2
    • /
    • 2015
  • 백색유기발광소자는 저전력, 높은 명암비 및 빠른 응답속도와 넓은 시야각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대형 디스플레이, 모바일 디스플레이, 백색 광원 등에 사용되는 차세대 광원으로써 각광 받고 있고 이를 상용화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다층 발광층을 가지는 백색유기발광소자는 발광층에 지역이 인가된 전압에 의해 바뀌어 색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백색유기발광소자의 발광 메커니즘 규명하고 색안정성을 고찰하였다. 이 백색유기발광 소자는 indium-tin-oxide (ITO) 양극전극에 진공 증착 방법을 통해 전하생성층으로 tungsten oxide(WO3)층과 5,6,11,12-tetraphenyltetracene(rubrene)가 도핑된 N,N',-bis-(1-naphthyl)-N,N'-diphenyl1-1'-biphenyl-4,4'-diamine(NPB)층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ITO를 양극으로, NPB를 정공수송층으로, DPVBi를 발광층으로, 4,7-diphenyl-1,10-phenanthroline(BPhen)을 전자수송층으로, WO3와 0, 1, 2, 또는 3 wt% rubrene 도핑된 NPB를 전하생성층으로, Liq를 전자주입지연층으로, Al을 음극 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였다. 전하생성층으로 사용한 NPB층의 rubrene 도핑농도가 변화하여 백색유기발광소자의 발광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rubrene 도핑된 NPB층에서 발광하는 노란빛과 발광층에서 발생하는 파란빛에 의해 백색광을 방출, NPB층에 도핑된 rubrene 도핑 농도가 증가할수록 소자의 전류밀도와 밝기가 증가했다.

  • PDF

Oxidative DNA Damage in Rats with Diabetes Induced by Alloxan and Streptozotocin

  • Lee, Young-Jin;Park, Young-Mee;Choi, Eun-Mi
    • BMB Reports
    • /
    • 제32권2호
    • /
    • pp.161-167
    • /
    • 1999
  • The role of oxidative stress in the initiation and the complication of diabetes was examined by monitoring blood glucose increase and oxidative DNA damage in rats treated with alloxan or streptozotocin (STZ). Oxidative DNA damage was assessed by quantitating 8-oxo-2'-deoxyguanosine ($oxo^8dG)$ excreted in urine and the $oxo^8dG$ accumulated in pancreas DNA. Both alloxan and STZ treatments resulted in an abrupt increase in blood glucose and significant increases in urinary and pancreatic $oxo^8dG$. Pretreatment of buthionine sulfoximine (BSO), a glutathione-depleting agent, slightly potentiated the increase of blood glucose and urinary $oxo^8dG$ in the alloxan- and STZ-treated rats. Furthermore, the BSO pretreatment caused significant amplification of pancreatic $oxo^8dG$ increase in the rats. On the other hand, pretreatment with 1,10- phenanthroline (o-phen), a chelator of divalent cations, showed different results between alloxan- and STZ-treated rats. The o-phen pretreatment completely blocked diabetes and the increase of $oxo^8dG$ by alloxan treatment, while it potentiated the increase of blood glucose and $oxo^8dG$ by STZ treatment.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ausative effect of alloxan on diabetes may be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through a Fenton type reaction, but that of STZ may not.

  • PDF

알긴산 분해균 Vibrio sp. AL-145가 생산하는 균체내 효소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ntracellular Alginase from Vibrio sp. AL-145)

  • 주동식;이정석;박중제;조순영;안창범;이응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32-438
    • /
    • 1995
  • The intracellular alginase from Vibrio sp. AL-145 was purified by ion chromatography on DEAE-Cellulose column, Q-Sepharose column, and gel filtration on Sephadex G-100 column.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the activity of the purified intracellular enzyme were 8.0 and 37$\circ$C, respectively. The enzyme was stable at the pH range of 7.5-8.5, and at 30$\circ$C for 30 min. The molecular weight of the intracellular enzyme was estimated to be about 23, 000 daltons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NaCl was required for enzyme activity and the optimum concentration was 0.5 M. The activity of intracellular enzyme was inhibited by Co$^{2+}$, Hg$^{2+}$, Zn$^{2+}$, 0-phenanthroline, $\rho$-CMB, EDTA and iodoacetate, and stimulated by Ca$^{2+}$, L-cysteine and 2-mercaptoethanol. This enzyme was an alginase specifically degrading alginic acid.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Fibrinolytic Enzyme from Snake Venom of Macrovipera lebetina turanica

  • Kwon, Ki-Rok;Park, Do-Il;Lee, Seung-Bae;Choi, Suk-Ho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14
    • /
    • 2011
  • Objectives: Fibrinolytic enzyme preparations were isolated from the snake venom of Macrovipera lebetica turanica in this study. Methods: The purity of the preparations was determined using SDS-PAGE and the enzymic characteristics of the purified fibrinolytic enzyme were determined. Results: 1. All of the two preparations with fibrinolytic activity obtained from the snake venom of M. l. turanicat contained the major polypeptide with the molecular weight of 27,500. One of the preparation showed purified fibrinolytic enzyme. 2. The purified fibrinolytic enzyme hydrolyzed ${\alpha}$-chain of fibrinogen faster than ${\beta}$-chain but not ${\gamma}$-chain. 3. The fibrinolytic activity was inhibited completely by EDTA, EGTA, 1,10-phenanthroline, and dithiothreitol. 4. The fibrinolytic activity was inhibited completely by calcium chloride, iron(III) chloride, mercuric chloride, and cobalt (II) chloride. 5. The fibrinolysis zone formed after addition of zinc sulfate was smaller but clearer than the control.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fibrinolytic enzyme purifed from the snake venom of M. l turanica was a metalloprotease containing dithiol group.

유기물 n형 물질을 사용한 저전압 유기발광소자

  • 김기태;이광섭;전영표;김태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509-509
    • /
    • 2013
  • 유기발광소자는 빠른 응답속도, 높은 색재현성 및 높은 명암비의 장점을 가지며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소형 및 대형 디스플레이로 각광 받고 있다. 저전압구동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기 위해 p-i-n 유기발광소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p형 물질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 되었으나 n형 유기물질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진행되고 있지 않다. n형 무기물질로 알칼리 금속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공기 중에 쉽게 산화되고 금속 이온의 확산에 의한 발광층 여기자 소멸 효과에 의한 효율 감소문제가 있다. 또한, 무기물질의 높은 증착온도에 따른 유기층의 손상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기물 n형 물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n형 유기물 도펀트인 bis (ethylenedithio)-tetrahiafulene (BEDT-TTF)를 4,7-diphenyl-1,10-phenanthroline (BPhen) 전자수송층에 도핑하여 유기발광소자의 전자 수송 능력을 향상하였다. BEDT-TTF의 낮은 증착온도와 공기 중에 산화가 되지 않으며, 유기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발광층 여기자 소멸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수송층에 도핑된 BEDT-TTF 분자는 산화 반응에 의한 전자 증가에 따른 에너지 장벽을 감소시켜 전자의 주입을 향상하였다. BEDT-TTF의 농도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광학적 및 전기적 특성을 각각 관찰하여 BEDT-TTF의 농도에 따른 전자 수송 향상에 따른 저전압 유기발광소자 구동을 관측하였다.

  • PDF

혼합 형광체를 사용하여 제작한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

  • 장재승;김대훈;김태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508-508
    • /
    • 2013
  •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전색 디스플레이, 액정디스플레이의 backlights, 조명에서 잠재적인 가능성 때문에 디스플레이와 조명 업계에서 각광 받고 있다.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으로 형광체를 이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가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 색순도와 색좌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무기물 형광체를 이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전기적 특성과 광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광원으로 사용된 청색 유기발광소자에 적색과 녹색의 무기물 형광체를 결합하는 방법으로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광원으로 사용한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양극으로는 투명전극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ITO를 사용하였고 정공 수송층으로는 N,N'-bis-(1-naphthyl)-N,N'-diphenyl-1,1'-biphenyl-4,4'-diamine, 청색 발광층으로는 1,3-bis(carbazol-9-yl) benzene 호스트에 bis (3,5-difluoro-2-(2-pyridyl)phenyl)-(2-carboxypyridyl) iridium (III) 청색인광도 펀트를 사용하였다. 정공 저지층과 전자 수송층으로는 각각 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orlene와 4,7-diphenyl-1,10-phenanthroline을 사용하고 전자 주입층으로는 lithium quinolate를 사용하였으며 음극으로는 Al을 사용하였다. 색 변환층으로 사용된 유기물 형광체는 sol-gel 방법으로 제작된 적색 형광체와 녹색 형광체를 사용하였다. Sol-gel 방법으로 제작된 형광체에 대한 주사현미경 측정 결과 입자의 표면이 고르고 크기가 작고 균일하였고, 높은 온도 열처리에 따라서 용매제가 대부분 제거되어 형광체 발광 특성이 잘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제작한 백색유기발광소자에서 혼합비율에 따른 전계발광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 PDF

다층 전자주입층을 가진 녹색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효율 향상 메커니즘

  • 안준성;이광섭;김태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504-504
    • /
    • 2013
  • 유기발광소자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받으며 모바일 디스플레이에 이어 대형 디스플레이의 상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다. 유기발광소자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구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유기물 내에서는 정공 이동도가 전자 이동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유기발광소자의 발광층에서 전자와 정공이 효율적으로 균형을 이루기 위하여 전자 주입효율 증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녹색 유기발광소자의 전자 주입 효율을 향상 하여 소자의 발광 효율을 증진하는 발광효율 향상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Cesium nitrate(CsNO3)와 lithium quinolate (Liq)를 다층 전자주입층으로 사용한 녹색 유기발광소자는 indiumtin-oxide 양극전극 위에 진공 증착 방법을 사용하여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정공수송층으로 N,N'-di(1-naphthyl)-N,N'-diphenylbenzidine (NPB), 발광층으로 tris (8-hydroxyquinoline) (Alq3), 전자수송층으로 Alq3와 4,7-diphenyl-l-10-phenanthroline (BPhen), 전자주입층으로 CsNO3/Liq와 Liq, Al을 음극 전극으로 각각 사용하였다. CsNO3/Liq와 Liq를 전자주입층과 Alq3와 BPhen 전자 수송층으로 각각 사용한 녹색 유기발광소자의 전자 주입 성능을 비교 하여 발광 효율 향상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CsNO3/Liq 전자주입층을 사용한 유기발광소자가 Liq 전자주입층을 사용한 유기발광소자보다 전극으로부터 전자 주입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전자주입효율 향상으로 발광층의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을 증가하여 녹색 유기발광소자의 효율이 증진되었고 구동전압이 낮아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