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ase I clinical trials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5초

Early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tagonist start improves follicular synchronization and pregnancy outcome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ntagonist protocol

  • Park, Chan Woo;Hwang, Yu Im;Koo, Hwa Seon;Kang, Inn Soo;Yang, Kwang Moon;Song, In Ok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1권4호
    • /
    • pp.158-164
    • /
    • 2014
  • Objective: To assess whether an early GnRH antagonist start leads to better follicular synchronization and an improved clinical pregnancy rate (CPR). Method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A total of 218 infertile women who underwent IVF between January 2011 and February 2013. The initial cohort (Cohort I) that underwent IVF between January 2011 and March 2012 included a total of 68 attempted IVF cycles. Thirty-four cycles were treated with the conventional GnRH antagonist protocol, and 34 cycles with an early GnRH antagonist start protocol. The second cohort (Cohort II) that underwent IVF between June 2012 and February 2013 included a total of 150 embryo-transfer (ET) cycles. Forty-three cycles were treated with the conventional GnRH antagonist protocol, 34 cycles with the modified early GnRH antagonist start protocol using highly purified human menopause gonadotropin and an addition of GnRH agonist to the luteal phase support, and 73 cycles with the GnRH agonist long protocol. Results: The analysis of Cohort I showed that the number of mature oocytes retrieve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arly GnRH antagonist start cycles than in the conventional antagonist cycles (11.9 vs. 8.2, p=0.04). The analysis of Cohort II revealed higher but non-significant CPR/ET in the modified early GnRH antagonist start cycles (41.2%) than in the conventional antagonist cycles (30.2%), which was comparable to that of the GnRH agonist long protocol cycles (39.7%). Conclusion: The modified early antagonist start protocol may improve the mature oocyte yield, possibly via enhanced follicular synchronization, while resulting in superior CPR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ntagonist protocol, which needs to be studied further in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123}I]$Idoxifene 합성과 유방암의 세포섭취에 관한 연구 (Study for the Synthesis of $[^{123}I]$Idoxifene and Its Uptake in the Breast Cancer Cell)

  • 조영섭;양승대;서용섭;전권수;안순혁;임수정;임상무;유국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10-417
    • /
    • 2000
  • 목적: 현재 유방암 치료제로서 임상실험 제 2단계에 들어간 idoxifene은 항에스트로겐 의약품으로서 기존의 tamoxifen보다도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연구결과 밝혀졌다. 또한 방사성 동위원소 $[^{123}I]$를 표지한 $[^{123}I]$idoxifene은 SPECT을 이용한 유방암세포를 영상화하여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진단시약으로서 널리 각광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doxifene의 전구체를 합성하고 $[^{123}I]$를 표지하여 세포 내 섭취론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23}I]$idoxifene을 위한 전구체는 McCague가 연구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2-chloroethoxy)benzene과 2-phenylbutanoic acid를 출발물질로 하여 합성하였다. 표지는 $[^{123}I]$를 사용하였으며 분리는 Silica Sep-Pak을 사용하였으며 세포 내 섭취실험은 에스트로겐 리셉터를 가진 MCF-7과 대조군으로서 에스트로겐 리셉터가 없는 MDA-MB-468을 이용하였다. 결과 및 결론: Idoxifene의 전구체인 4-stannylated 화합물의 합성수율은 약 30%이었으며, $[^{123}I]$ 표지는 60분 경과에서 $90{\sim}92%$로 최대의 표지수율을 보였으며 방사화학적 순도는 98%이상이었다. 또한 세포 내 섭취실험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섭취비율은 180분에서 1.7:1로 나타나 idoxifence은 항에스트로겐 효과가 아주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배양세포와 동물모델을 이용한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하며, 유방암 환자에게도 임상이용이 기대된다.

  • PDF

Enhancement of radiation effect using beta-lapachone and underlying mechanism

  • Ahn, Ki Jung;Lee, Hyung Sik;Bai, Se Kyung;Song, Chang Wo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1권2호
    • /
    • pp.57-65
    • /
    • 2013
  • Beta-lapachone (${\beta}$-Lap; 3,4-dihydro-2, 2-dimethyl-2H-naphthol[1, 2-b]pyran-5,6-dione) is a novel anti-cancer drug under phase I/II clinical trials. ${\beta}$-Lap has been demonstrated to cause apoptotic and necrotic death in a variety of human cancer cells in vitro and in vivo.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beta}$-Lap toxicity against cancer cells has been controversial. The most recent view is that ${\beta}$-Lap, which is a quinone compound, undergoes two-electron reduction to hydroquinone form utilizing NAD(P)H or NADH as electron source. This two-electron reduction of ${\beta}$-Lap is mediated by NAD(P)H:quinone oxidoreductase (NQO1), which is known to mediate the reduction of many quinone compounds. The hydroquinone forms of ${\beta}$-Lap then spontaneously oxidizes back to the original oxidized ${\beta}$-Lap, creating futile cycling between the oxidized and reduced forms of ${\beta}$-Lap. It is proposed that the futile recycling between oxidized and reduced forms of ${\beta}$-Lap leads to two distinct cell death pathways. First one is that the two-electron reduced ${\beta}$-Lap is converted first to one-electron reduced ${\beta}$-Lap, i.e., semiquinone ${\beta}$-Lap $(SQ)^{{\cdot}-}$ causing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hich then causes apoptotic cell death. The second mechanism is that severe depletion of NAD(P)H and NADH as a result of futile cycling between the quinone and hydroquinone forms of ${\beta}$-Lap causes severe disturbance in cellular metabolism leading to apoptosis and necrosi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aforementioned two mechanisms, i.e., generation of ROS or depletion of NAD(P)H/NADH, may vary depending on cell type and environment. Importantly, the NQO1 level in cancer cells has been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in normal cells indicating that ${\beta}$-Lap may be preferentially toxic to cancer cells relative to non-cancer cells. The cellular level of NQO1 has been found to be significantly increased by divergent physical and chemical stresses including ionizing radiation. Recent reports clearly demonstrated that ${\beta}$-Lap and ionizing radiation kill cancer cells in a synergistic manner. Indications are that irradiation of cancer cells causes long-lasting elevation of NQO1, thereby sensitizing the cells to ${\beta}$-Lap. In addition, ${\beta}$-Lap has been shown to inhibit the repair of sublethal radiation damage. Treating experimental tumors growing in the legs of mice with irradiation and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beta}$-Lap suppressed the growth of the tumors in a manner more than additive. Collectively, ${\beta}$-Lap is a potentially useful anti-cancer drug, particularly in combination with radiotherapy.

제 3상 임상시험에서 여러 형태 반응변수의 다변량 검정법인 P값 병합법 (Methods of Combining P-values for Multiple Endpoints of Various Data Types)

  • 김수영;송혜향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1호
    • /
    • pp.35-51
    • /
    • 2008
  • 제 3상 임상시험에서 치료효과가 여러 반응변수(endpoints)로 측정될 때, 이들 반응 변수가 대둥하게 중요하여 주요 반응변수(primary endpoint)를 선택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O'Brion (1984)은 이들 반응변수 모두를 종합하여 치료효과에 대한 단축검정(one-tailed testing) 통계량으로서 반응변수가 연속형(continuous) 자료로 측정되었을 때 Ordinary Least Square(OLS)와 Generalized Least Square(GLS) 검정 통계량을 제시하였다. Pocock 등 (1987)은 여러 형태, 즉 연속형, 이산형(binary), 생존(survival) 자료의 반응변수를 함께 분석할 수 있음을 언급하고 있으나 실제로 이와 같이 여러 형태의 반응변수 병합에 대한 문제점을 설명하거나 구체적으로 모의 실험으로서 이러한 경우의 OLS와 GLS통계량의 효율성을 알아보지는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여러 형태의 반응변수를 종합하여 치료효과에 대한 결론을 내리는데 P값의 병합 통계량을 제안하며, 이때 각 반응변수의 치료효과에 대한 검정 결과인 P값은 서로 상관성이 존재하는 P값이다. OLS 및 GLS 검정 통계량보다 장점을 지닌 P값의 병합방법 중, 방법 F와 G는 제 1종 오류가 유의수준보다 커서 검정의 결론이 잘못 내려질 수 있는 경우가 있고 방법 B는 제 1종의 오류가 잘 통계되고 또한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reliminary Results of a Phase I/II Study of Simultaneous Boost Irradiation Radiotherapy for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 Xiang, Li;Wang, Yan;Xu, Bing-Qing;Wu, Jing-Bo;Xia, Yun-Fe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569-7576
    • /
    • 2013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preliminary results of simultaneous boost irradiation radiotherapy for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NPC). Methods: Fifty-eight patients who underwent simultaneous boost irradiation radiotherapy for NPC in Cancer Center of Sun Yat-sen University between September 2004 and December 2009 were eligible. Acute and late toxicities were scored weekly according to the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RTOG) acute and late radiation morbidity scoring schemes. An especial focus was on evidence of post-radiation brain injury. Also quality of life was analysed according to the EORTC (European Organis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ecommendations. Discrete variables were compared by ${\chi}^2$ test. The Kaplan-Meier method was used to calculate the survival rates and generate survival curves. Results: A total of 58 patients with a mean follow-up time of 36 months completed clinical trials.Fifty-seven patients (98.3) achieved complete remission in the primary sites and cervical lymph nodes, with only one patient (1.7%) showing partial remission.The most frequently observed acute toxicities during th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were mucositis and leucopenia. Four patients (6.9%) had RTOG grade 3 mucositis, whereas four patients (6.9%) had grade 3 leucopenia. No patient had grade 4 acute toxicity. Three (5.17%) of the patients exhibited injury to the brain on routine MRI examination, with a median observation of 32 months (range, 25-42months). All of them were RTOG grade 0. The 3-year overall, regional-free and distant metastasis-free survival rates were 85%, 94% and 91%, respectively. Conclusion: Simultaneous boost irradiation radiotherapy is feasible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The results showed excellent local control and overall survival, with no significant increase the incidence of radiation brain injury or the extent of damage. A larger population of patients and a longer follow-up period are needed to evaluate ultimate tumor control and late toxicity.

Efficacy and Safety of COVID-19 Vaccines in Adolescents: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and Observational Studies

  • Soo-Han Choi;Su-Yeon Yu;Jimin Kim;Miyoung Choi;Youn Young Choi;Jae Hong Choi;Ki Wook Yun;Young June Choe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1권1호
    • /
    • pp.12-24
    • /
    • 2024
  • 본세계적으로 소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2019 (COVID-19) 환자 수가 질병 초기와 비교하여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고도로 전염성이 있는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변이와 성인 COVID-19 백신 접종 증가와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 대상 COVID-19 백신 접종의 무작위 임상시험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후향적 관찰연구를 대상으로 신속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 분석을 수행했다.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17개의 연구가 최종적으로 포함되었다. 메타 분석 결과, 청소년 대상 예방접종은 후향적 관찰 연구에서 COVID-19 감염을 예방하는 데 유의미하게 효과적이었으나 (risk ratio [RR], 0.29; 95% confidence interval [CI], 0.22-0.37; I2=100%), RCT보다 COVID-19 감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낮았다 (RR, 0.05; 95% CI, 0.01-0.27). 5개의 후향적 관찰 연구에서, 국민 10만 명당 심근염 및/또는 심낭염 비율은 2.33명 (95% CI, 0.97-5.61 명)이었다. 성별 및 백신 접종 횟수에 따른 하위 그룹 분석 결과, 남성 (국민 10만 명당 5.35 명) 및 두 번째 접종 (국민 10만 명당 9.71명)은 여성 (국민 10만 명당 1.09명) 및 첫 번째 접종 (국민 10만 명당 1.61명)보다 심근염 및/또는 심낭염 발생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mRNA COVID-19 백신을 접종하는 것은 RCT 및 관찰연구 모두에서 COVID-19에 대해 효과적이었다. 또한 청소년 대상 BNT162b2 백신의 안전성 결과를 탐색하였으며, 성별 및 백신 접종 횟수에 따른 안전성의 차이를 확인했다. 향후 mRNA COVID-19 예방접종 후 부작용 발생은 계속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다발성 간전이 대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조사와 병합한 수지상세포 면역치료의 1, 2상 임상시험 (A Phase I/II Trial of $DCVac/IR^{(R)}$ Dendritic Cell Immunotherapy Combined with Irradiation in Cases of Refractory Colorectal Cancer with Multiple Liver Metastases)

  • 최영민;이형식;권혁찬;한상영;최종철;정주섭;김창원;김동원;강치덕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104-112
    • /
    • 2008
  • 목적: 기존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다발성 간전이를 동반한 대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와 병합한 수지상세포 면역치료의 독성과 반응도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5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다발성 간전이가 동반된 대장암 환자들 중에서 항암화학 요법에 반응하지 않은 환자 중 지원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임상 시험에 대하여 동아대학교병원과 부산대학교병원의 임상윤리심의위원회의 허가를 획득하였고, 동의서에 서명한 환자들을 임상 시험의 대상으로 등록하였다. 환자의 말초 혈액으로부터 수지상세포를 추출하여 배양하였다. 임상시험 일자에 맞추어서 $6{\times}10^6$개의 수지상세포를 바이알(0.5 ml)에 넣어서 디씨백/아이알 주사를 만들었다.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는 2주 간격으로 간전이암조직에 3회 주사하고, 5주에 내약성 평가를 하였다. 내약성 평가를 통과한 환자에게는 8주에 4번째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를 하였다. 병의 악화가 없거나 임상시험에 대한 환자의 동의 철회가 없는 경우에는 5, 6번째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를 각각 12, 16주에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를 주사할 간전이암 부위에 주사하기 전일 및 당일에 4 Gy씩을 조사하였다. 내약성 평가는 $3{\times}10^6$개의 수지상세포로부터 시작하여, $12{\times}10^6$개의 수지상세포까지 시행하였다. 내약성 평가의 최대 내성 용량으로 추가 임상시험을 하였다. 수지상세포 면역치료 주사를 맞은 모든 환자들에서 안전성 평가를 하였다. 4회 이상 주사를 맞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10주에 치료 반응을 평가하여 유효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임상시험에 등록한 24명 중 22명에서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를 시행하였다. 내성약 평가에는 14명이 등록하여 11명에서 평가를 완료하였다. 시험약과의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grade 3 이상의 약물반응으로 인한 이상반응은 없었다. $12{\times}10^6$개의 수지상세포를 내성용량으로 확인하였고, 내성용량인 $12{\times}10^6$개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를 이용하여 8명에서 추가로 시험을 하였다. 치료에 대한 환자들의 내성은 양호하였고, grade 3을 초과하는 치명적인 부작용은 발생되지 않았다. 4회 이상의 수지상세포 면역치료 주사를 받은 환자가 17명이었고, 이 중의 15명에서는 종양의 반응도 평가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성 평가이지만, 면역치료의 유효성 평가를 위해, 방사선치료와 수지상세포 면역치료 주사가 시행된 부위 외의 간전이암에서 반응도를 조사 하였다. 면역치료의 반응은 평가가 이루어진 환자들에서 정지성 병변이 4명, 진행성 병변이 11명 이었다. 결론: 수지상세포 면역치료와 병행한 방사선치료는 이론적으로 국소 및 전신 제어에 상승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매우 진행된 직장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치료와 병합한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의 발생은 없었다는 결과와 4예에서의 정지성 병변의 관찰을 보고한다. 수지상세포의 최대 투여 용량, 적절한 투여 방법, 적절한 방사선의 양, 방사선과 수지상 세포의 적절한 투여 간격 등에 관한 추가 연구를 통하여, 향후 제 2상, 3상 시험으로서의 진행 여부에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