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troleum hydrocarbon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6초

중국 교래분지의 층서와 석유지화학적 특성 (Stratigraphy and Petroleum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Jiaolai Basin in Shandong Province of China)

  • 정태진;오재호;이영주;김지훈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8
    • /
    • 2006
  • 중국 산동반도에는 백악기 육상 퇴적분지인 교래분지가 발달하고 있으며, 여러 지역의 노두에서 다양한 형태의 유징이 나타난다. 교래분지는 전기 백악기와 후기 백악기에 걸쳐 발달한 인리형 분지로 하호성 퇴적물과 화산암으로 구성된다. 교래분지의 퇴적층은 3개의 층으로 구분되는데 하부로부터 래양층 (萊陽層), 청산층 (靑山層), 왕씨층(王氏層)이다. 전기 백악기에 속하는 래양층은 적색과 비적색 하호성 퇴적물로 구성되며 역암, 사암, 셰일을 포함한다. 청산층 역시 전기 백악기에 속하는데 여러 종류의 화산암으로 구성된다. 후기 백악기에 속하는 왕씨층은 적색의 역암, 사암, 셰일 등으로 구성된다. 아스팔트, 기름 냄새, 스며 나온 기름통의 다양한 형태의 유징이 여러 지역의 노두에서 관찰되지만 유전은 발견되지 않았다. 3개의 지층 중에서 비교적 풍부한 유기물을 포함하는 지층은 래양층이다. 래양층의 일부 흑색 혹은 회색 세일의 유기물 함량은 1% 이상이며, 타이프 I 혹은 타이프 II의 특성을 가지는 유기물 기원의 케로젠을 포함하는 층준들이 있다. 열적 성숙도는 주 석유 생성단계에 도달하였고, 석유생성 잠재력도 비교적 높아 래양층의 흑색 세일은 석유 근원암으로 유망하다.

  • PDF

국내 유류오염 군부지 내 자연저감기법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Monitored Natural Attenuation at a Military Site Contaminated by Petroleum Hydrocarbon in Korea)

  • 이환;강선홍
    • 환경영향평가
    • /
    • 제25권5호
    • /
    • pp.333-34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유류오염 지역인 유류보급 군부대 일대의 지하수에 대한 수질 측정 및 분석, 추적자시험, 지하수유형분석 등 수리지질학적 특성을 통하여 오염부지에서 나타나는 자연저감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거리별 자연 저감율 및 발현된 생분해능 등을 평가하였다. 거리에 따른 자연저감율을 평가한 결과, 선형기울기($K/V_x$)는 -0.0248로 계산되었으며 산정된 체적저감율은 $1.7{\times}10^{-3}/day$로 나타났다. 연구지역의 발현된 BTEX 총 생분해능은 9.1~10.0 mg/L의 범위(평균 9.7 mg/L)에 있으며 탈질화 과정이 약 63.6%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redox 과정임을 확인하였다. 본 유류오염지역의 지하수 BTEX 오염농도 평균 1.326 mg/L임을 고려할 때 생분해능은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Vegetable Oil Esters에 따른 Offset 잉크의 물성 변화에 관한 연구 (The Variation of Offset Ink Properties according to the Vegetable Oil Estersr)

  • 박정민;김성빈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9
    • /
    • 2012
  • According as gradually increasing the demand for eco-friendly at the printing process, it has been progressed fairly development. Especially, the inks are used by soy oil beginning of ink industry for preventing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make eco-friendly inks with vegetable ester. So it is not necessary to use petroleum-based solvents at all for preventing environment. These eco-friendly inks have a benefits they are able to use the renewable resource. But basically vegetable oils have that reduce the VOC(Volatile Organic Compound) and high viscosity, high solubility properties. So if the vegetable oils use in the ink, set off problem occur on the paper because of slow drying time. In case of vegetable ester, it has similar the molecular weight and kinetic viscosity with hydrocarbon solvent, it is able to control the power of dilution about the resin. So, it has benefit that solve the problem of the existing eco-friendly inks. In this study, different types of ester were made by six types of vegetable oils and used ester in the varnishes and inks properties are comparison with hydrocarbon solvent based ink. By considering the intrinsic properties of vegetable oil, ester used to analyze the changes in ink properties, using ester varnish is applied to study the rheology characteristics and emulsification with inks.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Hexadecane- and Naphthalene-Enriched Gas Station Soil

  • Baek, Kyung-Hwa;Kim, Hee-S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7호
    • /
    • pp.651-657
    • /
    • 2009
  • Shifts in the activity and diversity of microbes involved in aliphatic and aromatic hydrocarbon degradation in contaminated soil were investigated. Subsurface soil was collected from a gas station that had been abandoned since 1995 owing to ground subsidence. The total petroleum hydrocarbon content of the sample was approximately 2,100 mg/kg, and that of the soil below a gas pump was over 23,000 mg/kg. Enrichment cultures were grown in mineral medium that contained hexadecane (H) or naphthalene (N) at a concentration of 200 mg/l. In the Henrichment culture, a real-time PCR assay revealed that the 16S rRNA gene copy number increased from $1.2{\times}10^5$to $8.6{\times}10^6$with no lag phase, representing an approximately 70-fold increase. In the N-enrichment culture, the 16S rRNA copy number increased about 13-fold after 48 h, from $6.3{\times}10^4$to $8.3{\times}10^5$. Microbial communities in the enrichment cultures were studied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d by analysis of 16S rRNA gene libraries. Before the addition of hydrocarbons, the gas station soil contained primarily Alpha- and Gammaproteobacteria. During growth in the H-enrichment culture, the contribution of Bacteriodetes to the microbial community increased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during N-enrichment, the Betaproteobacteria population increased conspicuous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ecific phylotypes of bacteria were associated with the degradation of each hydrocarbon.

The Production of Algal Hydrocarbons in Outdoor Cultivations of Dunaliella salina 1650

  • Pak, Jin-Hong;Lee, Shin-Young;Kim, Young-Na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46-50
    • /
    • 1993
  • In 12:12 hour light/dark cycle cultivation of D. salina 1650,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of 0.59 (l/day) and 0.35 (g-crude hydrocarbons/l/day) were obtained. The cell growth was inhibited at above 15$\times$$10^{-4} (kcal/cm^2/h)$ of light intensity in an outdoor cultivation. It was also showed that temperature is one of the critical growth parameters in the outdoor cultivation. The hydrocarbon production from D. salina 1650 seems to be partially growth related production process, and these algal hydrocarbons can be used for subsituting petroleum directly or through cracking processes. The value of weight fraction carbon of D. salina 1650 was similar to that of Botryococcus braunii and so was the hydrocarbon productivity.

  • PDF

경기만에서 석유분해세균의 분포 및 석유분해능

  • 이정래;황열순;이기승;이건형;김상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87-192
    • /
    • 1992
  • 서해 경기만의 6개 정점을 대상으로 1990년 3월부터 1991년 10월까지 총 8외에 걸처 석유 분해세균의 공간적, 시간적 분포를 조사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배양 조건하에서의 해양 세균 군집의 석유 뷴해능도 연구하였다. 연구 기간 중, 종속 영양세균수와 석유분해세균수는 각각 7,000-108,000 CFU/ml, 0-2, 800 MPN/100 ml 로 측정되었다. 석유분해세균의 공간적 분포는 석유 탄화수소의 존제에 의하여 심하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혐실내 실험에서, 석유 분해는 배양액에 yeast extract, cell free extract 의 첨가 그리고 석유뷴해세균의 접종에 의하여 증진되었다.

  • PDF

Effect of gas composition on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blowout gas on offshore platform

  • Yang, Dongdong;Chen, Guoming;Shi, Jihao;Li, Xinh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11권2호
    • /
    • pp.914-922
    • /
    • 2019
  • Gas composi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ispersion behavior and accumulation characteristics of blowout gas. However, few public studies has investigated the corresponding effect of gas composition. Therefore, this study firstly builds the FLACS-based numerical model about an offshore drilling platform. Then several scenarios by varying the composition of blowout gas are simulated while the scenario with the composition of "Deepwater Horizon" accident is regarded as the benchmark. Furthermore, the effects of the gas composition on the flammable cloud volume, the influenced area of flammable cloud, the influenced area of hydrogen sulfide and the critical time of the hydrogen sulfide spreading to the living area are analyzed.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gas composition is a driving factor for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blowout gas. All the results can give support to reduce the risk of the similar accidents incurred by real blowouts.

Effects of Plant and Soil Amendment on Remediation Performance and Methane Mitigation in Petroleum-Contaminated Soil

  • Seo, Yoonjoo;Cho, Kyung-S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104-114
    • /
    • 2021
  • Petroleum-contaminated soil is considered among the most important potential anthropogenic atmospheric methane sources. Additionally, various rhizoremediation factors can affect methane emissions by altering soil ecosystem carbon cycles. Nonetheless,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soil have not been given due importance as a potentially relevant parameter in rhizoremediation techniqu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plant and soil amendments on both remediation efficiencies and methane emission characteristics in diesel-contaminated soil. An indoor pot experiment consisting of three plant treatments (control, maize, tall fescue) and two soil amendments (chemical nutrient, compost) was performed for 95 days. 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removal efficiency, dehydrogenase activity, and alkB (i.e., an alkane compound-degrading enzyme) gene abundance were the highest in the tall fescue and maize soil system amended with compost. Compost addition enhanced both the overall remediation efficiencies, as well as pmoA (i.e., a methane-oxidizing enzyme) gene abundance in soils. Moreover, the potential methane emission of diesel-contaminated soil was relatively low when maize was introduced to the soil system. After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various TPH-degrading microorganisms (Nocardioides, Marinobacter, Immitisolibacter, Acinetobacter, Kocuria, Mycobacterium, Pseudomonas, Alcanivorax) and methane-oxidizing microorganisms (Methylocapsa, Methylosarcina) were observed in the rhizosphere soil. The effects of major rhizoremediation factors on soil remediation efficiency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discussed herein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biological remediation technologies in response to global climate change.

압축공기 분사시스템을 이용한 유류오염 해안의 효율적 정화 및 이에 따른 미생물군집분석 (Efficient Clean-up of Oil Spilled Shorelines Using the Compressed Air Jet System and Concomitant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 장재수;김경희;이재식;;고성철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53-359
    • /
    • 2013
  • 본 연구의 목표는 압축공기분사시스템을 이용하여 원유로 유출이 된 해안을 정화함에 있어서 그 정화효율성과 정화 전후의 총석유탄화수소(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농도 및 미생물군집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그 최적 정화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압축공기제트시스템을 2-5회 연속적용 시 오염지의 TPH가 약 66%까지 저감이 된 반면에 대조구인 해수를 펌핑한 경우에는 40% 정도의 저감효과가 관찰이 되었다. 압축공기의 분사 후 PCR-DGGE에 의한 미생물군집분석 결과에서는 유류분해미생물의 군집은 확인이 되지 않았다. 이는 정화에 의한 낮은 TPH 농도(약 100 mg/kg 수준, 탄소원), 처리환경에 내재적인 제한적인 질소 및 인의 농도에 기이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잔여분의 유류는 에어제트시스템을 적용시 제한적 영양염류(질소 및 인 등)를 적절한 방식과 농도로 투여할 경우 거의 완전하게 제거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본 기술은 고농도의 유류 및 유기물로 오염된 다양한 수질환경 및 토양환경의 효율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정화에 활용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한 만리포 유분의 시·공간 변동 패턴 분석 (A Spatio-Temporal Variation Pattern of Oiling Status Using Spatial Analysis in Mallipo Beach of Korea)

  • 김태훈;최현우;김문구;심원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90-103
    • /
    • 2012
  • 만리포는 2007년 12월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로 유류오염 피해를 입은 대표적인 해변이다. 본 연구는 만리포 전체 영역과 5개로 분할된 영역을 대상으로 유분(TPH: Total Petroleum Hydrocarbon)의 시 공간적 변화 패턴에 대해 두 계절(동계와 하계)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만리포 전체 영역에서 4년간 시간에 따른 유분농도의 감소율은 동계가 하계보다 약 두 배 크게 나타났다. 유분농도의 가중공간중심(weighted mean center)과 가중표준거리(weighted standard distance)를 이용한 유분분포의 공간적 변화 패턴 분석 결과, 동계에는 유분이 만리포의 남서 해변으로 군집된 패턴을 보인 반면, 하계에는 전 영역으로 분산된 패턴을 보였다. 만리포 내 분할 영역에서 유분의 시간적 변동은 동계에 모든 영역에서 농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하계에는 2009년 이후 남서 해변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농도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유류오염의 진행 상황을 평가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동계와 하계와 같이 시기를 구분하여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한 유분의 시 공간 변동 패턴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적으로 불균등한 유분분포의 시간적 변동 패턴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전체 해변에서 보다는 공간분할을 통한 지역 규모에서의 시계열적 분석이 유용하다.